소개글
"간호연구방법론 학술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논문 검색 및 선택
2.1. 문헌검색 방법
2.2. 연구 논문 선정
3. 조사연구 특성
3.1. 연구제목과 연구 유형
3.2. 연구 대상자
4. 연구 설계
4.1. 연구 문제 및 목적
4.2. 연구 도구
4.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5.1. 주요 결과
5.2.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6. 연구의 의의와 한계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환자가 50만 명을 넘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때 외국인 의료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 환경에서 문화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은 다른 문화를 가진 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 간호사는 다양한 외국인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전문가로서 외국인 환자의 문화와 행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기반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이 '다문화 간호'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에서는 '다문화 간호'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화 간호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연구논문에 대해 고급간호연구 문제가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2. 연구논문 검색 및 선택
2.1. 문헌검색 방법
학술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한국 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RISS(http://www.riss.kr/index.do)를 활용한다. RISS 검색창에 '다문화 간호'를 검색하면 학위논문 검색 결과가 2건, 국내 학술논문 검색 결과가 3건이다. 이후 학위논문 부분에서 2021년 1월 이후 출판된 간호학 분야의 조사연구인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다.
2.2. 연구 논문 선정
'2.2. 연구 논문 선정'은 연구논문을 찾는 과정과 선정 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논문을 찾을 때 문헌검색 방법을 활용하게 되는데, 제공된 문서에서는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KISS(한국학술정보), KoreaMed, 의과학연구정보센터, 간호학연구정보센터, 한국간호학논문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사이언스온(ScienceON),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등의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와 MEDLINE, CINAHL, EMBASE, Cochrane Library 등의 국외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문헌검색을 수행한 후, 연구 논문을 선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1년 1월 이후 출판된 간호학 분야의 조사연구 논문을 선정한다. 둘째, 연구 목적과 내용이 고급간호연구 과제와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셋째, 연구 설계, 대상자, 변수, 결과 등이 고급간호연구 과제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검토한다. 넷째, 연구 논문의 질적 수준과 신뢰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 논문들은 고급간호연구 과제를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3. 조사연구 특성
...
참고 자료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서명진(2021). 간호사의 다문화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XX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주미(2019). 간호 윤리강령의 유용성. 디딤과 돌다리
김경희(2021), 재활병원 뇌졸중환자 가족의 돌봄부담감,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비교,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양경희 외(2018). 간호연구. 한국간호연구학회.
이상미,정성희(2017).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전선화,이미향,최미정(2021). COVID-19에 대한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가정간호학회지 제28권 제1호, 2021년 4월.
질병관리본부(2019). 인간대상 및 인체유래물 연구 관련 연구자 교육. 질병관리본부.
서울아산병원(2021). 연구대상자를 위한 임상시험참여안내서. 서울아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