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할로알케인
1.1. 할로알케인이란?
할로알케인이란 sp³ 혼성 탄소 원자에 공유 결합된 할로젠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알코올, 에테르, 싸이올, 아민, 알켄 등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분자이며, 실제로 유용한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출발물로 종종 사용된다. 화학식으로는 R-X로 나타내며, 여기서 X는 F, Cl, Br, I 등의 할로젠 원소이다. 할로알케인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기 화합물이다.
1.2. 할로알케인 명명법
할로알케인 명명법에는 IUPAC명과 일반명에 따른 두 가지 명명법이 존재한다.""
IUPAC 명명법에 따르면, 첫째, 어미 사슬에 낮은 번호가 오도록 어미 사슬 번호를 매기고, 둘째, 치환기들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적는다. 할로젠 치환기들은 접두사 fluoro-(F), chloro-(Cl), bromo-(Br)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또한 할로알켄에서 이중 결합의 위치는 어미 탄화수소의 번호 매김으로 결정하며, 접미사로 표시된 작용기를 가진 분자의 경우 접미사로 표시된 작용기의 위치가 번호 매김을 결정한다.""
일반명 명명법에서는 알킬기의 일반명 뒤에 한 칸을 띄우고 할로젠화물의 이름을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sec-Butyl fluoride, Vinyl chloride와 같이 명명한다.""
1.3. 할로알케인의 특징적 반응
1.3.1.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치환 반응은 할로알케인에서 일어나는 대표적인 반응으로, 하나의 친핵체가 다른 친핵체를 치환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sp^3 혼성 탄소 원자에서 일어나며, 할로젠 원소(X)가 좋은 이탈기가 될 수 있다. 친핵체란 비공유 전자쌍을 제공하여 새로운 공유 결합을 만드는 시약으로, 일반적으로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다. 친핵성 치환 반응의 메커니즘에는 S_N2와 S_N1 두 가지가 있다.
S_N2(Substitution Nucleophilic Bimolecular) 메커니즘은 결합의 절단과 형성이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이다. 할로알케인과 친핵체 모두가 속도 결정 단계에 관여한다. 속도 = k[할로알케인][친핵체]의 속도 법칙을 따르며, 친핵체가 이탈기의 뒷부분을 공격하여 결합의 절단과 생성이 동시에 일어나는 전이 상태를 거쳐 최종 생성물이 만들어진다.
S_N1(Substitution Nucleophilic Unimolecular) 메커니즘은 결합 절단이 먼저 일어난 후 친핵체와의 결합 형성이 일어나는 과정이다. 할로알케인만이 속도 결정 단계에 관여하며, 속도 = k[할로알케인]의 속도 법칙을 따른다. 먼저 C-X 결합이 이온화되어 탄소 양이온 중간체가 생성되고, 이후 친핵체와의 반응으로 새로운 공유 결합이 형성된다.
S_N2 반응은 상대적으로 강한 친핵체, 입체장애가 적은 1차 할로알케인, 그리고 안정한 이탈기에서 잘 일어난다. 반면 S_N1 반응은 상대적으로 약한 친핵체, 입체장애가 큰 3차 할로알케인, 그리고 불안정한 이탈기에서 잘 일어난다. 용매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양성자성 용매는 S_N1을, 비양성자성 용매는 S_N2를 선호한다.
따라서 할로알케인의 형태와 친핵체의 세기, 이탈기의 안정성, 그리고 용매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S_N2 또는 S_N1 중 어떤 메커니즘이 우세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친핵성 치환 반응은 유기화합물 합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1.3.2. β 제거반응
β 제거반응은 할로알케인의 또 다른 특징적 반응으로, 할로젠화수소 이탈 반응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두 가지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그 근본적인 차이는 결합절단과 결합형성 시기에 있다.
첫 번째 메커니즘은 E1(Elimination, unimolecular) 메커니즘이다. 이 반응은 염기와 반응이 일어나서 수소가 제거되기 전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형성되기 전에 C-X 결합이 먼저 끊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한 분자만이 속도 결정 단계에 관여하기 때문에 SN1 반응의 속도 법칙과 같다.
E1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I 결합이 끊어져 탄소 양이온 중간체가 형성된다(속도 결정 단계). 그 후 염기에 의해 양성자가 제거되면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형성된다.
두 번째 메커니즘은 E2(Elimination, bimolecular) 메커니즘이다. 이 반응은 염기가 β 수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C-X 결합이 끊어져 할로젠화 이온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두 분자가 속도 결정 단계에 관여하기 때문에 SN2 반응의 속도 법칙과 형태가 같다.
E2 메커니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염기가 β 수소를 공격하고, 동시에 C-X 결합이 끊어져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형성된다. 이때 X-는 좋은 이탈기로 떨어져나간다.
이처럼 할로알케인에서는 친핵성 치환 반응과 β 제거반응이 종종 경쟁하게 된다. 이 두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생성물의 비율은 각 반응의 상대적인 반응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1.4. 친핵성 치환반응과 β 제거반응의 경쟁
친핵성 치환반응과 β 제거반응의 경쟁은 많은 화합물에서 종종 일어나는 현상이다. 많은 치환기들은 동시에 염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두 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경쟁 반응에서 어떤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는지는 두 반응의 상대적인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S_N1 반응과 E1 반응은 모두 1단계에서 탄소 양이온 중간체를 거쳐 진행된다. 이어서 수소를 잃어 알켄을 생성하면 E1 반응이 되고, 용매와 반응하여 치환 생성물을 만들면 S_N1 반응이 된다. S_N1과 E1 반응은 유사한 조건에서 동시에 경쟁적으로 일어난다.
S_N2 반응과 E2 반응은 작용기의 구조에 따라 그 경쟁 정도가 달라진다. α-탄소나 β-탄소에 가지기가 있으면 S_N2 반응이 느려지는 반면 알켄 생성물의 안정도가 증가하여 E2 반응이 더 빨라진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