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제 선정 및 배경
1.1.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
현재 시점에서 마스크 착용은 개인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예방 수단이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85% 감소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감염 가능성이 5배 이상 높아진다. 마스크 착용을 통한 추가 감염 예방 사례로, 확진자가 7일간 입원하며 접촉했던 병원 의료진 17명이 전원 음성 판정을 받은 사례와, 확진자가 28명 발생했던 카페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종사자들이 전원 음성 판정을 받은 사례가 있다. 이처럼 저비용으로 고효율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2. 환자 및 간병인들의 마스크 미착용 관찰
현재 시점에서 입원환자는 대부분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층의 환자들로 50~80대로 감염에 취약하며, 대부분이 자가 간호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환자들과 간병인들이 병실 안, 공동생활 공간(데이룸, TV 시청)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에 취약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3. 문제 선정 및 우선순위 평가
문제 선정 및 우선순위 평가는 현재 병동 내 환자 및 간병인의 마스크 착용 관리 부족이 가장 우선적인 문제라고 평가하였다"이다.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입원 환자 대부분이 고령층으로 감염에 취약하다는 점, 그리고 환자와 간병인들의 마스크 미착용이 관찰되었다는 점에서 이 문제가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환자 범위, 문제의 확실성, 환자 결과 개선, 간호업무 개선 등 모든 평가 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우선순위가 1순위로 선정되었다.
2. 원인 및 영향요인 분석
2.1. 어부 Bone 차트
어부 Bone 차트는 문제의 잠재적 원인들을 도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도구이다. 이 차트에는 간호사 요인, 환자 요인, 환경 요인 등 마스크 착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어 있다.
간호사 요인에는 업무가 많아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기 힘든 점이 포함되어 있다. 간호사들의 과다한 업무로 인해 환자 개개인의 마스크 착용을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자 요인에는 병원은 수시로 소독하니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점,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뭐라고 하는 사람이 없어 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