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절제술 환자의 호흡운동 프로그램 적용
1.1. 사업배경
폐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폐포 환기와 폐활량 및 기능적 잔기량 등이 크게 감소하고,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으로 인해 폐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엽절제술 또는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은 12%에서 2%로 줄었으나 폐 합병증 발생률은 49%로 여전히 높게 보고되며, 수술 후 폐 기능이 회복되기까지는 약 3개월이 걸린다. 수술 후 발생하는 폐 합병증은 입원 기간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에 대한 폐 합병증 예방과 폐 기능 회복은 매우 중요한 간호문제이다. 하지만 임상에서 시행하는 간호는 정해진 간호 수행 없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폐 기능 향상을 위해 표준화된 호흡 운동 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수술 환자의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2. 목표 설정
목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 합병증 발생율을 20% 미만으로 줄이는 것이다. 둘째, 흉관 삽입 기간을 7일 미만으로 단축하는 것이다. 셋째, 재원일을 15일 미만으로 단축하는 것이다. 넷째, Spirometer 수행 횟수를 일 5set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다섯째, 병동 걷기 운동 수행율을 일 6회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여섯째, mBS(운동자각도)를 2점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일곱째, 간호사의 호흡운동 교육 수행율을 9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폐절제술 환자의 폐 기능 향상과 합병증 예방, 그리고 간호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3. 자료수집
자료수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참여자 및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QI 활동 전과 후의 자료수집 기간, 대상, 건수, 그리고 자료수집 방법 등을 명시하였다. 폐 합병증 발생율, 흉관 삽입 기간, 재원일, 호흡운동 항목별 수행 횟수, mBS 등의 지표에 대해 QI 활동 전과 후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간호사의 호흡운동 교육 수행율 또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지표별로 자료수집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QI 활동 전후의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4. 현황 및 문제분석
폐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폐포 환기와 폐활량 및 기능적 잔기량 등이 크게 감소하고,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으로 인해 폐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본 QI 활동에서 폐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폐 합병증 발생율은 QI 활동 전 8명 중 3명으로 37.5%였으나, 이는 기존 연구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흉관 삽입 기간은 평균 7.75일로 선행연구와 유사하였으나, 재원일은 평균 16.6일로 선행연구 보다 약 2일 더 길었다. 호흡 운동 항목별 수행 횟수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폐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의 Spirometer 수행율은 일평균 3.27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