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미숙아는 NICU에 입원한 신생아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신생아 합병증의 빈도도 가장 높다. 심각한 선천성 기형과 같은 위험요인도 흔히 나타나며 신생아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미숙아는 신체 및 생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문제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전체 신생아 출생률이 감소하는 것는 대조적으로 미숙아 출생률을 계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통계청이 발표한 지표에 따르면 2016년에는 미숙아 출생률이 7.2%로 2006년 4.6%, 2011년 6.0%와 비교하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성들의 흡연과 음주 증가, 스트레스, 고령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숙아 출산률은 증가하고 있다. 미숙아는 영양결핍, 감염의 위험성, 호흡곤란 등 건강문제가 많이 뒤따르게 된다.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 간호하기 위해 계속하여 연구가 필요하다.
1.2. 문헌고찰
1.2.1. 신생아의 분류
신생아는 제태기간, 출생 체중, 체중-제태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째, 제태기간에 의해 신생아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preterm infant(조산아) or premature infant(미숙아)는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하며, term infant(만삭아)는 37주~41 6/7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 post-term infant(과숙아)는 42주 이상에 출생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둘째, 출생 체중에 의해 신생아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low birth weight infant(LBW)(저출생체중아)는 2500g 미만, very low birth weight infant(VLBW)(극소 저출생체중아)는 1500g 미만,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ELBW)(초극소 저출생체중아)는 1000g 미만, high birth weight infant(과체중아)는 4000g 초과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셋째, 체중-제태기간에 의해 신생아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appropriate-for-gestational-age(AGA) infant(적정 체중아)는 재태기간 체중이 10~90% 범위, small-for-gestational-age(SGA) infant(부당 경량아)는 10% 미만, large-for-gestational-age(LGA) infant(부당 중량아)는 90% 이상인 신생아를 말한다.
1.2.2. 미숙아 문헌고찰
미숙아는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는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숙아 출산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1,2,3].
태아 요인으로는 태아 스트레스, 다태아, 비면역성 태아수종, 감염 등이 있으며, 모체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여건이 낮은 계층,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의 여성, 다태아 출산, 조산의 기왕력, 조기양막파수, 전치태반, 태반기능부전, 태반조기박리, 쌍각자궁, 자궁과도신장, 경관무력증, 모체의 전신감염, 임신당뇨병, 임신성 고혈압, 임신 중 부적절한 체중증가, 영양장애, 약물, 흡연, 알코올 장애 등이 있다"" [1,2,3].
미숙아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신체에 비해 큰 머리, 주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