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숙아특징에 간호사정 작성 문제 특징 자료수집 사정/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미숙아 개요
2.1. 정의 및 원인
2.2. 미숙아 관련 문제
2.3.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3. 미숙아 관리
3.1. 치료
3.2. 간호중재
4. 미숙아 예후
4.1. 사망 원인
4.2. 장기적 예후
5. 미숙아와 만삭아의 차이
6. 간호과정
6.1. 간호사정
6.2. 간호진단
6.3. 간호계획 및 수행
6.4. 간호평가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미숙아(preterm infant)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아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미성숙은 신생아 합병증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미숙아의 실제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으나 산모의 사회경제적, 만성 의학적 상태와 행동 등 다양한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신체기관의 미성숙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도 나타난다. 이번 사례에서는 신체기관 미성숙으로 인해 분유를 먹을 시 위 잔여물이 남고, 이로 인해 구토증상이 나타나서 생기는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해질 불균형은 체온증가의 가능성, 저혈압, 빈맥 또는 서맥 등 미숙아에게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와 예방법 등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적절한 간호와 정보를 제공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간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이 사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2. 미숙아 개요
2.1. 정의 및 원인
미숙아(premature infant)는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이다. 미숙아의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으나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 나이가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산모의 감염, 이전의 조산경험, 오랜 기간 서 있거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다 태아인 경우,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우, 자궁기형이나 전치태반,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2.2. 미숙아 관련 문제
미숙아는 신체기관의 미성숙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점을 나타낸다. 첫째, 체온조절 능력이 미약하여 발한 기전이 불충분하고, 떨림에 의한 열 생산이 부족하며, 체표면적이 크고 피하지방이 부족해 열손실이 크다. 또한 체온조절 중추가 미숙하여 체온조절이 불안정하다".
둘째, 호흡관련 문제로는 구역질 반사와 기침 반사가 약해 기도 흡인의 위험이 있고, 호흡 중추가 미숙하며, 폐포의 발육이 불완전하여 호흡장애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 물질이 부족하고 폐 모세혈관과 폐 탄성 조직이 적으며, 흉벽과 호흡근육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셋째, 순환기계는 혈관계와 지지조직의 미발달로 출혈성 경향이 높고, 빈혈의 경향이 높으며, 갑작스런 혈액 순환 증가 시 뇌출혈의 위험이 있다".
넷째, 위장관계의 경우 sucking 능력 부족, 위 기능 저하, 장관 기능 감소, 간 미성숙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 음식흡수가 어렵고 탄수화물, 지방 흡수가 저하되며, 하부 식도괄약근 미성숙으로 인한 잦은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영양소 흡수와 저장 능력이 저하되어 있고, Vitamin D가 부족한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신장기능이 미숙하여 소변의 농축 능력이 낮고 배설물 배출 기능이 낮아 탈수, 부종, 산독증의 가능성이 크다".
여섯째, 망막이 34주 무렵 거의 완성되므로 그 이전에 과도한 산소 공급 시 망막혈관의 협착과 무산소성 파괴가 초래된다".
일곱째, 신경계가 미숙하여 자극에 대한 반사가 느리고, 호흡조절중추, 체온조절능력 등 활력 조절 기능이 미약하다. 특히 흡철반사, 연하, 재채기, 기침반사가 미약하다".
마지막으로 면역기능이 미숙하여 감염의 위험이 높으며, 무기질과 비타민 등의 결핍으로 구루병과 빈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피부도 방어기능이 부족하여 세균, 바이러스 등의 침입이 용이하고 수분 소실량이 많다".
이처럼 미숙아는 각 신체 기관의 미성숙으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에 노출되어 있어 세심한 관찰과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미숙아를 위해서는 체온관리, 호흡관리, 영양공급, 감염예방 등 전반적인 생리적 기능을 지지하는 중재가 필수적이다.
2.3.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피부는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붉은 빛에 윤기가 나며 얇고 투명하여 복부에서 정맥을 쉽게 볼 수 있다. 재태 연령 28주 이전에 출생한 미숙아는 온 몸에 솜털이 나 있고 특히 등, 전박, 이마, 얼굴 옆면에 두드러진다. 태지는 거의 없으며 주름이 많다.
머리는 몸체에 비해 크게 보...
참고 자료
이은미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 http://www.snuh.org/intro.do
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김영혜 외 (2018), 아동간호학 총론(현문사)
방경숙 외 (2014), 아동간호학(정담미디어)
김희순 외 (2009), 아동간호학Ⅰ(수문사)
원종순, 김남초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현문사)
박은영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
심인옥 외 공저, 2020 『아동간호학』 3rd, 학지사메디컬
이은희 외 공저,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미숙아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최종배, 양종은, (2019), 구강안면의 감각자극과 구강운동이 병행된 중재가 신생아중환자실의 미숙아에 구강수유 및 발달에 미치는 효과, 51-57
Makin JW, Porter RH. Attractiveness of lactating females’ breast odors to neonates. Child Development. 1989;60(4):803-810.
6. Schriever VA, Gellrich J, Rochor N, Croy I, Cao-Van H, Rüdiger M, et al. Sniffin’ away the feeding tube: The influence of olfactory stimulation on oral food intake in newborns and premature infants. Chemical Senses. 2018;43(7):469-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