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황산구리 중 구리의 정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분석화학의 개요
1.2.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1.3. 중량분석과 침전법
2. 실험 원리
2.1. 황산구리의 화학적 성질
2.2. 침전반응을 통한 구리의 정량
3. 실험 방법
3.1. 시약 제조
3.2. 수산화구리 침전 및 산화구리 생성
3.3. 감압 여과 및 세척
3.4. 소성 및 냉각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산화구리의 무게 측정
4.2. 구리 함량 계산
4.3. 실험 오차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분석화학의 개요
분석화학은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석하여 물질의 조성, 화학적 구조, 형태 그리고 그 특성을 알아내는 학문이다. 전통적으로 분석화학은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으로 나누어 왔는데, 정성 분석은 그 양을 분석하지 않고 원소 번호나 화학 구성물을 알아내는 것이며, 정량 분석은 그 구성 성분의 양을 알아내는 분석이다. 예를 들어 물이 산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면 그것은 정성 분석이고, 공기 중 산소나 수소의 구성률을 판단할 때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정량 분석이다. 오늘날에는 분석 대상에 따른 분류와 분석 방법에 따른 분류로 두 가지 관점에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처럼 분석화학은 물질의 정성적, 정량적 특성을 파악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정성 분석은 화학 종과 반응 등에 대한 비수치적 정보를 결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용액에서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을 관찰하거나 반응으로 인해 색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는 등의 분석 방법을 포함한다. 비록 정성 분석은 정량 분석만큼 실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높지는 않지만, 수행이 훨씬 쉽고 빠르며 비용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
정량 분석은 시료에 포함된 성분의 양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석 방법이다. 주로 시료에 포함된 성분의 종류를 알아내는 정성 분석 후에 정량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량 분석은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기기분석과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화학분석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기기분석 방법으로는 폴라로그래피, 광흡수 분석법 등이 있고, 화학분석 방법으로는 비색분석, 비탁분석, 전기분해분석 등이 있다"".
1.3. 중량분석과 침전법
중량분석은 시료 중의 목적성분을 침전, 휘발, 추출, 전해 등의 방법으로 분리하여 조성이 일정한 화합물로 만든 다음 칭량하여 목적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분석방법이다. 중량분석법의 주된 방법은 침전법이다.
침전법은 용해도가 아주 작은 난용성 화합물을 만들어 불순물을 세척한 다음 열처리를 가해 조성을 아는 생성물로만 만든 뒤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침전형은 침전제에 의하여 침전된 화합물을 말하며, 칭량형은 칭량하기 위하여 목적성분과 일정한 양적관계를 가지도록 침전을 건조 또는 강열하여 만든 일정한 조성의 화합물이다.
침전법의 장점은 질량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무게 분석에서 가장 정확한 분석방법에 속한다. 분석저울을 사용하는 일상적인 분석방법에서 주로 0.1~0.3% 정도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어 분석의 측정단계에서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거른 액으로써 침전의 완결도를 쉽게 검사할 수 있고, 불순물에 대한 침전도 직접 조사할 수 있다. 절대법으로써 존재하는 분석물의 양을 결정하는 데 어떤 형태의 검정도 필요하지 않으며, 간단하고도 기초적인 화학적인 침전반응만 알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간단하지만 그 분석과정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목적성분은 용액 중에서 침전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몇 가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2. 실험 원리
2.1. 황산구리의 화학적 성질
황산구리는 무기 화합물로서 보통 5수화물의 CuSO4·5H2O와 같은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과거에 Blue vitriol 또는 Bluestone, Roman vitriol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처럼...
참고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Analytical_chemistry, 분석화학
맹원재, 사료분석실험, 선진문화사,p91-92,(1982)
goo.gl/cQrRiT, 침전법
goo.gl/7mj9dF, 공침
https://en.wikipedia.org/wiki/Copper(II)_sulfate, 결정황산구리
https://en.wikipedia.org/wiki/Litmus, 리트머스
박경호, 정선희, 박진태, 남철우, 김홍인/ 구리, 니켈 코발트 혼합용액으로부터 침전법에 의한 구리의 분리/ Vol.14 No.6/ 2005/ p18-19
김민식, 기본분석화학실험, 형설출판사, p266~269,(1998)
goo.gl/i9oZDZ, 중량분석(황산구리 중의 구리의 정량)
goo.gl/G7smRV, 항량
CuSO4·5H2O의 흡습성, https://en.wikipedia.org/wiki/Copper(II)_sulfate
CuO의 몰질량, https://en.wikipedia.org/wiki/Copper(II)_oxide
Cu의 몰질량, https://ko.intl.chemicalaid.com/tools/molarmass.php?formula=Cu
CuSO4의 몰질량, https://en.wikipedia.org/wiki/Copper(II)_sulfate
Spectrophotometry, https://en.wikipedia.org/wiki/Spectrophotometry
구리의 정량, 분석화학 4(2), 김용남 외 3인, 자유아카데미, p.163-167, (1991)
실험수업자료-01.황산구리 중의 구리의 정량
정량 분석, https://www.scienceall.com/%EC%A0%95%EB%9F%89-%EB%B6%84%EC%84%9Dquantitative-analysis/
정성 분석, https://chem.libretexts.org/Bookshelves/Analytical_Chemistry/Supplemental_Modules_(Analytical_Chemistry)/Qualitative_Analysis
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C%84%9D%ED%99%94%ED%95%99, 분석화학
안승구, 최신환경화학, 동화기술교역, p.327 (2001년)
http://ywpop.tistory.com/5669, 가수분해 반응
http://www.docbrown.info/page07/transition09Cu.htm, 산화구리
http://web.lemoyne.edu/giunta/chm151L/copper.html, 물리적 변화
촉매첫걸음, 김영철, 전남대학교출판부, p.118 (2003년)
촉매공정, 서울대 유공연구실 동문, 서울대학교 출판부, p.54 (2002년)
https://en.wikipedia.org/wiki/Desiccator, 데시케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