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일본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조선대 일본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1.1. 자음 발음의 어려움
1.1.1. 평음과 경음, 격음의 오류
1.1.2. 종성 발음의 오류
1.1.3. 유음의 오류
1.2. 모음 발음의 어려움
1.2.1. /ㅓ/ 발음의 어려움
1.2.2. /ㅡ/발음의 어려움

2. 한국어 교육의 연구동향
2.1. 한국어 교육의 시작
2.2. 한국어 교육의 연구동향
2.2.1. 한국어교육 관련 정책의 발전
2.2.2. 한국어교육 관련 법의 시행
2.2.3. 한국어교육학 학위 과정 및 학술 단체
2.2.4. 한국어교육학 연구 내용
2.3. 시사점

3. 시인 김수영의 삶과 문학
3.1. 김수영의 생애
3.2. 김수영의 작품세계
3.2.1. 초기시
3.2.2. 한국전쟁
3.2.3. 4.19 혁명
3.3. 문학사적 의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1.1. 자음 발음의 어려움
1.1.1. 평음과 경음, 격음의 오류

한국어 자음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자음이 무성음이며, 장애음은 평음과 경음, 격음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이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 나뉘는 영어, 일본어와는 다른 양상이다. 따라서 영어와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유성음을 배제하고 무성음으로만 자음을 발음하는 것이 어렵다. 이들 언어권의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토끼, 도끼, 토기" 혹은 "불, 뿔, 풀"을 모두 같게 발음하거나,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발음하는 것을 똑같은 단어로 듣는 등의 오류가 나타난다.

중국어 학습자들은 평음과 경음을 구별하는 것을 특히 어려워한다. '바지'를 [빠지], '뿌리'를 [부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는 중국어에 평음과 경음의 구분이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의 삼분법은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에게 큰 발음 오류를 유발한다. 모국어의 음운 체계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발음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1.1.2. 종성 발음의 오류

한국어 자음의 두 번째 특징은 음절 종성에서 비음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산, 강, 잠/ 등 음절 종성의 위치에서는 비음의 성격이 강하게, /나, 무/ 등 음절 초성에서는 그 성격이 약하게 나타난다. 이 /ㄴ, ㅁ, ㅇ/ 종성 발음의 경우 특히 일본인 학습자들이 분별하기 어려워한다. 이는 이 세 가지 종성 대표음이 한국어에서는 변별적 자질을 가지지만 일본어에서는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n, m, ŋ, N/의 네 가지로 구별되는 하나의 음소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단풍'을 [담풍], '생선'을 [생성], '장난감'의 경우는 [장낭간], [참난강]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한다.


1.1.3. 유음의 오류

한국어 자음의 세 번째 특징은 유음 /ㄹ/에 변별적 자질이 없다는 것이다. /ㄹ/은 환경에 따라 변이음인 설측음과 탄설음으로 실현되는데,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특히 중국어에서는 음절 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n]과 [ŋ]뿐이기 때문에 음절 말 유음 /l/을 비음 [n]이나 중국어의 얼화음, 권설음으로 대치하거나 아예 탈락시키기도 한다. '얼마예요'를 [어마에요], '질문'을 [진문]으로, '들다'를 [드다]로 발음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1.2. 모음 발음의 어려움
1.2.1. /ㅓ/ 발음의 어려움

/ㅓ/ 발음의 어려움은 특히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들에게서 자주 발견된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ㅓ/를 /ɔ:/로 발음하여 원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한국어 모국어 화자에게는 /ㅗ/와 같이 들린다. 일본어권 학습자들 또한 /ㅓ/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그들의 모국어인 일본어에 /ㅓ/ 모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신 /ㅓ/를 /ㅗ/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오모니], "아버지"를 [아보지], "전화하다"를 [존화하다], "허리"를 [호리]로 발음한다. 이와 함께 /ㅕ/ 모음도 /ㅛ/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형"을 [횽], "겨울"을 [교울]로 발음하는 것이다. 이처럼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ㅓ/ 발음을 습득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할 수 있다."


1.2.2. /ㅡ/발음의 어려움

/ㅡ/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에서 중설 고모음인 /ㅡ/는 독특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의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준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에는 한국어의 /ㅡ/와 같은 중설 고모음이 없기 때문이다.

먼저, 영어 모어 화자의 경우 /ㅡ/와 /ㅜ/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영어에는 이 두 모음의 중간 정도의 발음을 가지는 /ʊ/가 있어 영어 모어 화자들은 한국어의 /ㅡ/와 /ㅜ/를 혼동하여 "버스"를 [bʊs]로 발음하거나 "흐르는"을 [hʊrɨnæn]으로 발음하는 오류를 범한다.

일본어 모어 화자의 경우에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일본어의 /ウ/[u]는 한국어의 /ㅡ/와 /ㅜ/의 중간적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본어 모어 화자들은 /ㅡ/와 /ㅜ/의 발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버스"를 [bɯsu], "흐르는"을 [hurunæ]로 발음한다.

중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에도 /ㅡ/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중국어에는 /ㅡ/와 유사한 모음이 없기 때문에 한국어 /ㅡ/를 중국어의 근접한 모음 /i/나 /u/로 ...


참고 자료

김서형(2016) 외 3,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모음의 발음 설명, 한민족어문학 제72, 한민족어문학회
서춘란(2019), 한국어와 중국어 모어 화자가 발음하는 한중 파열음 발음 차이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52, 연세대학교 언어대학 연구원 한국어학당
장향실(2016),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환자의 한국어 음성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우리어문연구 제55, 우리어문학회
전미순(2001),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향란(201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오류 교정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중섭(2010), 한국어 교육의 이해.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2),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재영 외(2011), 한국어교육 용어해설, 신구문화사.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 제155권 (2010): 국어국문학회.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교육.
김윤배, 「모더니티와 리얼리티의 회통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박영만, 「김수영 시의식의 변모 양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박지영, 「김수영 시 연구 : 시론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엄경희, 「김수영 시에 내포된 자발적 소외와 설움의 정념」, 『한민족문화연구』, 53권, 한민족문화학회, 2016, 201~231쪽
전병준, 「김수영 초기시의 감정 구조와 그 의미」, 『우리어문연구』, 37권, 우리어문학회, 2010, 483~522쪽
김수영문학관 제공 http://kimsuyoung.dobong.g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