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후변화 리포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
1.1. 탄소 중립의 의의
1.2. 국가적 노력
1.3. 개인의 노력
2. Mount St. Helens 화산 폭발 과정
2.1. 전조 현상
2.2. 화산 폭발 과정
2.3. 폭발로 인한 피해
3. 미래 사회와 직업
3.1. 10년 후의 세상
3.2. 미래 사회의 변화 방향 및 내용
3.3. 미래 유망 직업
3.4. 직업 전망과 선호도의 차이
4. 능력 중심의 사회
4.1. 100대 기업이 중시하는 능력
4.2. OECD가 제시하는 핵심역량
4.3. 창의 인성 교육과 역량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
1.1. 탄소 중립의 의의
개인이나 회사와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인 ZERO로 만드는 것이 바로 탄소 중립의 의의이다. 즉,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아지게 해 탄소 배출이 순 배출이 0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넷제로(Net Zero)라고 부르기도 한다. 탄소 중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2016년에 발효된 파리 협정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전 세계 각국이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내세우면서 이를 위한 정부와 개인의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1.2. 국가적 노력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국가적 노력은 다음과 같다.
탄소중립은 2016년에 발효된 파리의 협정 이후에 121개 국 각각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이후 동맹에 가입하는 노력을 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유엔이 제출 시한이 2020년 말로 다가옴으로써 주요국의 탄소 중립선언이 가속화되었다. 실제로 2019년에 12월 유럽연합을 시작하여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28일에 탄소중립 선언을 하였다.
우리 정부는 2020년 10월에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의 탄소 중립 계획을 처음으로 발표하고 2050년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마련하였다. 또한 2050년 탄소중립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2021년 10월18일에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해 2050년에는 순 배출량을 0으로 달성하겠다는 2050년의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확정하였다.
우리나라의 2050년 탄소 중립 시나리오는 화력발전 전면 중단, 재생에너지 비율 확대, 에너지 자급자족 건축물 건립, 무공해차 보급 확대 등이다. 농축산 분야에서는 영농법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는 법제화와 함께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3. 개인의 노력
개인의 노력으로는 우선 온실가스를 흡수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의 양을 계산하고 그만큼의 나무를 심는 것이다. 숲이 있는 지역의 대기 중 탄소량은 여름철 낮 동안 현저하게 줄어드는데, 나무가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나무의 탄소 흡수량은 생장 속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기존의 삼림 상태를 재점검하고 더 체계적인 방법으로 삼림을 가꾸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은 또한 풍력, 태양력 발전과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하여 오염을 상쇄할 수 있다. 지구 온도를 작년 대비 2도 상승보다 낮게 유지하려면 전 세계 청정에너지 투자가 2배가량 증가해야 한다고 전망되고 있다.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무공해에너지인 태양열과 풍력에너지 등에 투자하는 것이다.
개인은 또한 환테크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환테크는 환경보호 효과를 창출하면서도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신개념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제도, 탄소 포인트 제도, 자동차 탄소 포인트 제도 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도 실내 적정온도 유지,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콘센트 제거,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 대중교통 혹은 자전거 이용, 텀블러 및 재활용품 사용 등의 방법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
이처럼 개인은 나무 심기, 청정에너지 투자, 환테크 활용, 일상적 실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의 노력은 국가적 노력과 더불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2. Mount St. Helens 화산 폭발 과정
Mount St. Helens 화산의 전조 현상은 1980년 3월 1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했다. 3월 15일부터 3월 21일 사이에 100개가 넘는 지진이 기록되었는데, 특히 3월 20일에 발생한 진도 4.1의 큰 지진은 과학자들에게 화산이 곧 폭발할 것이라는 신호였다. 이 지진은 화산의 측면에서 일어난 눈사태를 유발했다.
3월 22일부터 3월 28일 사이에는 지진의 수...
참고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네이버 지식백과] 탄소중립 [carbon neutral, 炭素中立]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생명과환경 교재 및 강의 참고
탄소포인트누리집
탄소중립실천포인트누리집
자동차탄소포인트누리집
탄소를 막는 방법!탄소중립과 나무심기.KBS2021.5.21.방송
볼보 “‘탄소중립 실현’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 청정에너지 투자 촉구.동아닷컴 김민범기자.2021.11.3.
2050 탄소 중립과 RE100, 우리의 역할은?/사이언스타임즈 정수빈 리포터/2022.3.31
생동하는 지구/시그마 프레스
火山 / 타임-라이프 북스 서울 : 한국일보 타임-라이프, 1986
The volcano Bienvenido N. Santos. Quezon City : Phoenix Pub. House, 1965.
Volcanoes Cliff Ollier. Oxford, UK : Blackwell, 1988.
Volcanoes of the earth Fred Mason Bullard.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c1976.
과학동아 2001. 12. 4
중앙일보 2003. 3. 6
http://plaza4.snut.ac.kr/~recycle/soil_pollu/soil_01.htm
http://www.carplus.or.kr/goods_5.php
http://www2.rda.go.kr/fshp/kb004/korean/06_route/route.htm
박영숙(2012). 유엔미래보고서 14~22쪽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