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갑상선과 부갑상선
1.1. 갑상선(Thyroid gland)
갑상선은 목의 전면에 위치하며, 목 부위에 튀어나온 부분(울대, 갑상선연골)의 2~3cm 아래에 있는 나비 모양을 한 장기이다. 갑상선은 내분비 기관 중 하나로,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혈액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인체의 대사 과정을 촉진하여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태아와 신생아의 뇌와 뼈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준다.
갑상선은 여포세포와 C-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세포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인 T3와 T4를 분비하고, C-세포에서는 칼시토닌을 분비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온 조절, 심박수 증가, 신경계 흥분 등에 관여하여 신체 기능 유지에 필수적이다. 칼시토닌은 혈중 칼슘 농도를 감소시켜 뼈 형성과 칼슘 배출을 조절한다.
따라서 갑상선은 호르몬 분비를 통해 인체의 성장, 발달, 대사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내분비 기관이라 할 수 있다.
1.2.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은 갑상선의 뒤쪽에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내분비 기관이다. 부갑상선은 주세포와 호산성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세포에서 부갑상선 호르몬(PTH)을 분비한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체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 골격에서 칼슘을 동원하고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 반대로 혈중 칼슘 농도가 높아지면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여 칼슘 수치를 낮춘다. 이처럼 부갑상선 호르몬은 체내 칼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저칼슘혈증이 발생하여 신경 및 근육 흥분성이 증가하고 근육 경련, 1차 신경기능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부갑상선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고칼슘혈증이 발생하여 골다공증, 신결석, 위궤양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부갑상선에는 총 4개의 선이 있으며, 이중 하나라도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부갑상선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갑상선 선종이나 과형성 등으로 인한 부갑상선 호르몬 과다 분비는 고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부갑상선 선의 용적 감소나 외상,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부갑상선 기능 이상은 식습관, 약물 복용,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갑상선 기능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2. 갑상선암의 종류
2.1. 분화암의 병기분류(TNM)
분화암의 병기분류(TNM)은 다음과 같다.
종양의 크기(T)에 따라 TX, T0, T1, T1a, T1b, T2, T3, T4a, T4b로 구분되며, 림프절 전이(N)에 따라 NX, N0, N1, N1a, N1b로 분류된다. 그리고 원격 전이(M)에 따라 MX, M0, M1로 나뉜다.""
예를 들어, T1은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인 경우, T2는 2-4cm, T3은 4cm 초과 또는 갑상선 피막 침윤이 있는 경우이다. N1은 경부 림프절 전이, N1a는 중앙경부 림프절 전이, N1b는 측경부 또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이다. M1은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이다.""
이를 바탕으로 갑상선암은 연령과 병기에 따라 1기부터 4기까지 나뉘는데, 55세 미만의 경우 T, N, M 상태와 무관하게 1기와 2기로 나누고, 55세 이상의 경우 T, N, M 단계에 따라 1기부터 4기까지로 구분된다.""
3. 갑상선암의 원인 및 위험요소
갑상선암의 원인 및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사선 노출이 주요 위험요인이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소아에서 갑상선암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 갑상선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목과 머리에 고용량의 외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소아에게 갑상선암 발생 빈도가 높으며, 또한 원자력 발전소 재난 시 방사선 노출은 갑상선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
둘째, 유전적 요인도 갑상선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염색체 1과 19의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가족성 갑상선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