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데페이즈망 기법의 이해
1.1. 데페이즈망 기법의 개념 및 특징
데페이즈망은 초현실주의의 중요한 표현방법 중 하나로, 어떤 물체를 원래의 장소에서 가져와 어울리지 않는 환경으로 옮겨 사물의 기이한 만남을 연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주로 전치법, 혹은 전위법으로 번역되는데, 이는 지각의 자동화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일상적이고 낯익은 물체라도 거리가 먼 두 사물을 결합하거나 의외의 장소에 놓게 되면 보는 사람은 심리적 충격을 받게 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데페이즈망 기법을 이용하여 경이와 신비에 찬, 꿈속에서만 볼 수 있는 화면을 구성했으며 비현실적인 현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잠재해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해방시키고 상상의 세계를 개척하였다.
데페이즈망의 대표적인 표현 특징은 시공간의 변조,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 물체의 변형 및 변환 등이다. 시공간의 변조는 실제의 공간과의 불일치를 만들어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은 일상의 체험 세계에서 합쳐질 수 없는 것들을 결합하여 시적이거나 해학적이거나 극적이거나 당혹스런 효과를 자아낸다. 물체의 변형 및 변환은 예를 들어 인체의 일부가 새의 머리나 깃털로 되어 있도록 하여 무생물과 생물, 식물과 동물을 접합하는 등 불가사의한 이미지를 창출한다.
이처럼 데페이즈망 기법은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시간과 공간을 변조하고 현실적이지 않은 물체의 결합과 변형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1.2. 데페이즈망 기법의 발생과 전개 과정
1.2.1. 낭만주의와 데페이즈망
낭만주의와 데페이즈망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낭만주의 작가들은 "무한한 대상에 대한 동경"을 추구하고자 했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꿈의 세계를 표현했다. 이러한 꿈의 세계에서 초현실적이고 환상적인 풍경이 연출되었는데, 이는 데페이즈망 기법의 원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낭만주의 작가들은 현실의 제약에서 벗어나 상상력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그들은 이를 위해 꿈의 세계를 화폭에 구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상적인 사물들이 전혀 다른 맥락이나 환경에 배치되어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었다. 이는 데페이즈망의 핵심 기법인 "어떤 물체를 원래의 장소에서 가져와 어울리지 않는 환경으로 옮겨 사물의 기이한 만남을 연출하는 것"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낭만주의 작가들이 꿈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활용한 기법들은 데페이즈망의 전조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상상력을 현실화시키는 과정에서 사물의 일상적 배치와 의미를 파괴하고, 새로운 맥락 속에 배치함으로써 초현실적 효과를 창출했던 것이다. 이는 후에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데페이즈망 기법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2. 상징주의와 데페이즈망
상징주의 작가들은 상징을 통하여 작품 속에 일정한 의미를 불러들이고자 했다. 즉, 상징화를 통해서 인습적이고 정형화된 현실의 제약과 예속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다. 그들은 하나의 신화를 그린다 하더라도 정교하고 치밀한 묘사로 현실화 시키려 했지만, 그 의도 속에서 모든 현실적인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치환시켜 초현실적 환상을 창조하고자 함은 찾아 볼 수 없다. 하지만 그들이 상징화를 통해 상상력을 현실화 시켰다는 점에서는 데페이즈망의 계보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2.3. 다다이즘과 데페이즈망
다다이즘과 데페이즈망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다다이즘은 우상 파괴와 우연에 의한 작업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데페이즈망 기법의 출현에 토양을 마련해주었다"".
첫째, 다다이즘이 시도한 우상 파괴는 기존의 가치관과 의식구조에 대한 거부로, 이는 데페이즈망이 추구한 허구화와 무의미화를 실현시키는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었다"".
둘째, 다다이즘의 '우연'에 의한 작업은 겉으로 드러나는 우연적 선택과 그것의 자유로운 작품화 과정에서 작가의 은밀한 열망이나 의미지향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니게 되었다"". 이는 데페이즈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