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학대에 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학대에 대한 이해
1.1. 아동학대의 정의 및 유형
1.2. 아동학대의 원인
1.3. 아동학대의 실태 및 현황
2. 아동학대의 영향
2.1. 신체적 영향
2.2. 정서적 영향
2.3. 행동적 영향
3.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3.1. 신고 및 보고체계
3.2. 경찰의 역할
3.3. 상담기관의 역할
3.4. 의료기관의 역할
3.5. 정부의 역할
4. 아동학대 대책 및 정책제언
4.1. 법적 규정 정비
4.2. 실태조사 및 현황 파악
4.3. 예방 프로그램 및 가족복지 서비스 개발
4.4.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홍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학대에 대한 이해
1.1. 아동학대의 정의 및 유형
아동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처럼 아동학대의 정의에는 적극적인 가해행위뿐만 아니라 소극적인 의미의 방임행위까지 포함하고 있다.
아동학대의 유형은 크게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그리고 방임으로 구분된다.
첫째, 신체적 학대는 부모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신체 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모든 행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때리기, 꼬집기, 물어뜯기, 흔들기, 화상입히기, 무기로 위협하기 등의 행위가 포함된다.
둘째, 정서적 학대는 보호자가 아동에게 정서적 손상이나 두려움을 유발하는 언어적·상징적 행위로, 거부, 고립, 위협, 무시, 모욕 등의 행위가 포함된다. 이는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형의 학대이다.
셋째, 성적 학대는 성인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아동에게 행해지는 모든 성적 행위를 의미한다. 성추행, 성기삽입, 아동 성매매 등이 포함된다.
넷째, 방임은 보호자가 아동에게 필요한 의식주, 의무교육, 의료적 조치 등을 제공하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신체적 방임, 교육적 방임, 의료적 방임, 정서적 방임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아동학대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단순한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성적 학대와 방임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학대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1.2.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부모 요인으로는 부모의 미성숙과 양육에 대한 지식 부족, 부모의 경제적 어려움과 스트레스, 부모의 정신적 불건강 등을 들 수 있다. 아동 요인으로는 미숙아와 기형아, 신체적·정신적·기질적으로 특이한 아동, 발달이 늦은 아동,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가정적·사회적 요인으로는 가족관계의 문제, 한부모가족이나 재혼가족 등 가족구조의 특성, 사회 전반의 폭력적 문화와 체벌에 대한 관용적 태도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아동학대의 발생에는 부모의 성격과 심리적 요인, 아동 개인의 특성, 그리고 가족과 사회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소외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부모의 양육 능력을 떨어뜨리고 학대로 이어지게 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체벌에 관대한 사회문화적 분위기도 아동학대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1.3. 아동학대의 실태 및 현황
아동학대의 실태 및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보건복지부의 2001년도 아동학대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2,105건의 아동학대 사례가 조사되었다. 단일학대의 경우 방임이 672건(31.9%)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학대가 476건(22.6%), 유기가 134건(6.4%), 정서학대가 114건(5.4%), 성학대가 86건(4.1%) 순으로 나타났다. 중복학대의 경우에는 신체학대와 정서학대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가 많았으며, 신체학대와 정서학대, 방임이 함께 발생한 경우도 다수 존재했다.
이러한 학대 사례 중 신체학대의 경우 전체 1,288건 중 멍듦이 743건(57.7%)으로 가장 많았고, 긁힘이 181건(14.1%), 꼬집힘이 64건(5.0%), 찢김이 44건(3.4%)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각한 수준의 상해도 적지 않았는데, 뇌손상이 13건, 화상이 9건, 두개골 골절이 8건, 목조름이 26건, 복부출혈이 2건, 호흡곤란이 5건 등으로 확인되었다.
정서학대의 경우 심한 욕설이 340건(32.3%), 소리지름이 325건(30.9%), 내쫓거나 죽이겠다는 협박이 113건(10.7%), 무시가 103건(9.8%)으로 나타났다. 성학대 유형으로는 성추행이 93건(61.2%), 성기삽입이 33건(21.7%), 구강성교가 8건(5.3%) 등으로 보고되었다.
피해아동의 특성을 살펴보면, 여아와 남아의 비율이 50.7%와 49.1%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연령별로는 9-11세가 498건(23.7%)으로 가장 많았고, 12-14세가 437건(20.8%), 6-8세가 388건(18.4%) 순이었다. 피해아동 가족유형에서는 편부가정이 662건(32%)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가정이 536건(25%), 편모가정이 217건(10%)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아동학대의 실태와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 등 다양한 유형의 학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취학 및 초등학생 연령대의 아동들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고 있으며, 편부모 가정과 같이 가정환경이 취약한 곳에서 더 많은 학대가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아동학대의 영향
2.1. 신체적 영향
아동학대로 인한 신체적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아동학대 피해 아동은 키와 몸무게가 적은 경우가 많으며, 영양 상태가 불량하고 질병에 걸리는 확률이 높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대받은 아동은 심한 타박상, 골절, 두개골 골절 및 복부·흉부·고막파열, 열창, 화상, 시력상실, 치아·사지골절, 담뱃불로 지진 상처·할퀴거나 깨문 상처 등의 외상이 남는다. 이로 인해 아동은 심각...
참고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박문각, [네이버 지식백과] 인천 어린이집 아동 학대 사건 (시사상식사전)
보건복지부, ⌜2014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 2014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이배근, 「아동과 성문제 : 제 3 분과 / 아동학대 , 교정 , 약물 마약 , 윤락 ; 아동학대방지법 제정과 아동학대 예방 대책」, 『한국아동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98권 1호, 한국아동복지학회, 1998, 140쪽
엄지원 · 진명선, 「1명이 하루 최대 117건…아동학대 상담원 일에 혹사당한다」, 『한겨레 뉴스』, 2016.03.17.
장수왕, 「‘학대’ 이젠 인식이 바뀌어야 할 때」, 『시민일보』, 2016.05.25.
허령, 「아동학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분위기 조성 중요」, 『울산매일뉴스』, 2016.05.18.
네이버 지식 백과사전 , 「심리학 용어 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315&cid=41991&categoryId=41991, 2014.4. (2016.06.08.).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실태조사」, 2012.07.24. (2016.06.08.).
중앙 아동보호 전문기관, 「아동학대」, http://korea1391.org/new_index/sub/sub2_04.php, 2016. (2016.06.08.).
- , 「정부, 올해를 아동학대 근절 시스템 구축 원년으로 선포하다」, 2016.3.31. (2016.06.08.).
보건 복지부, 「아동학대 신고 전년동기 대비 45.5% 증가」, 2016.05.20,
http://blog.naver.com/puremassage/220715048866
엄지원 · 진명선, 「1명이 하루 최대 117건…아동학대 상담원 일에 혹사당한다」, 『한겨레 뉴스』, 2016.03.17.
가정·아동복지과, "2001년도 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보건복지부, 2002
곽영숙·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6, 1996.
권은주, "아동학대의 원인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7.
김광일·고복자, "아동구타의 발생률 조사",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6, 1987
김정준, "고사가 인식한 영세지역 새마을유아원 어린이의 학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김혜영, "아동학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김태영, "한국과 미국의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대책의 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고정자·김갑숙, "부부갈등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13권 1호.
나동석, "아동방임의 실태와 대책", 「아동방임의 실태와 대책」,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세미나, 1993.
박복근, "부모들의 아동학대 유발가능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박성수, "교육상황에서 체벌 문제의 교육학적 음미", 교육상황에 있어서의 체벌, 한국아동 학대예방협의회, 1990.
박태정,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아동학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변화순, "영세지역 취업모의 자녀방치와 대책",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서은주, "아동학대의 발생현황과 관계변인데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소숙희, "부모의 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송성자, "방임아동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 관한 연구", 「버려진 아이들과 요보호 아동에 대한 분석적 고찰과 대안」, 92 한국 아동복지 학회 제2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아동복지 학회, 1992.
송성자, "가정에서 버려진 아이들 : 방임아동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992.
신연호,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신영화, "한국 아동학대의 사회」인구 및 가정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안동현·홍강의, "한국에서의 아동학대 현황", 정신건강 연구 제 6집, 1987.
연진영, "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유춘식, "아동의 권익 보호 신고소를 중심으로 한 아동학대 현황", 아동문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 14, 1988.
윤정숙, "미국의 아동보호 서비스 프로그램", 「사회복지」겨을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윤혜미, " 아동 성 학대와 사회사업적 접근방법 모색", 「한국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1994.
이배근, "한국아동에 대한 신체적 학대의 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이배근, "아동학대 현황과 대책방안", 아동학대 및 방임 예방과 대책에 관한 세미나 자료,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