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계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화의 남해원정과 그 세계사적 의의
1.1. 머리말
1.2. 명초 정치와 원정 배경
1.2.1. 배경
1.2.2. 전개 과정
1.3. 정화의 원정이 갖는 의의 및 한계
1.3.1. 의의
1.3.2. 한계
1.4. 정화의 원정과 '지리상의 발견'의 비교
1.5. 맺음말
1.6. 참고문헌
2. 세계사 속 무역분쟁의 사례 및 끼친 영향과 결과
2.1. 탐구 동기
2.2. 무역분쟁의 정의 및 사례, 발발 이유
2.2.1. 무역분쟁의 정의
2.2.2. 무역분쟁의 사례 및 발발 이유
2.3. 무역분쟁의 경과 및 끼친 영향
2.3.1. 아편전쟁
2.3.2. 한일무역분쟁
2.3.3. 미중무역분쟁
2.4. 결론 및 미래의 무역분쟁 대처방안
3. 세계경제사의 흐름
3.1. 산업혁명과 절대왕정
3.2. 중상주의
3.3. 영국의 산업혁명과 노동혁명
3.4. 프랑스의 산업혁명과 현대경제
3.5. 독일 공화국의 발전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화의 남해원정과 그 세계사적 의의
1.1. 머리말
서양에 아메리카를 발견한 콜럼버스가 있다면 동양에는 정화가 있다고 할 정도로 정화의 남해 원정은 세계사적으로도 커다란 사건이었다. 정화의 원정은 '지리상의 발견'으로 불리는 콜럼버스의 항해보다 약 1세기 가량 앞섰으며, 규모가 컸고 긴 시간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된 항해사업이었다. 그러나 서양의 항해사업과는 달리, 명대의 원정은 정화 이후 지속적이고 발전된 모습으로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해 크게 다뤄지지 않았다.
명 영락제 당시 정화가 단행한 남해 원정은 총 7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동남아지역에 명의 우수한 문화와 풍습을 전파하고 동남아 및 주변 국가를 복속시켰으며, 해당 국가의 사신은 명으로 와서 황제를 알현하고 조공을 바쳤다. 명 왕조는 주변 국가는 물론이고 멀리 동아시아 국가들까지 복속시키면서 외교적으로 당 이후 최대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비록 정화 사후 명이 쇄국정책으로 돌아서면서 더이상 항해사업이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정화의 남해 원정은 현재까지도 국가 정책의 방향 설정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사건이다.
1.2. 명초 정치와 원정 배경
1.2.1. 배경
정화(鄭和, 1371-1433)는 서역에서 운남으로 이주해 온 이슬람교도의 후손으로 본래 성은 마(馬), 자는 삼보(三寶)이다. 1382년(홍무 15) 태조의 운남 공략 당시 명에 끌려가 연왕 주체(朱?)의 환관이 되었다. 이후 주체가 일으킨 정난(靖難)의 변(變)에서 뛰어난 공을 인정받아 정(鄭)씨 성을 하사받고 환관의 최고 우두머리인 내관감 태감 자리까지 올랐다. 당시에는 보르네오가 중심이 된 오늘날 중국 기준의 남해 서쪽 해양과 연해 각지, 멀리는 인도 및 아프리카 동부를 대략적으로 '서양(西洋)'이라 불렀다. 명대의 서양은 또한 지금의 동남아를 포괄한다. 성조의 명에 따라 정화가 일곱 번에 걸쳐 남해원정을 단행하게 된 동기와 원인에 관해서 몇 가지 주장이 존재한다. 첫째는 건문제의 행방을 추적하기 위해서였다는 것이다.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이 사망한 후 장자 주표(朱標)마저 일찍이 요절하자 황태손 주윤문(朱允?)이 혜제(惠帝)로 즉위하였다. 그러자 주원장의 넷째 아들인 연왕 주체가 정난의 변을 일으켜 건문제를 폐위시키고 자신이 성조로 등극하였다. 그런데 정변 당시 건문제의 행적이 묘연해졌고, 후환을 걱정한 성조가 정화를 파견하여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건문제의 종적을 탐지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둘째로 해외에 국위를 선양하기 위함이었다는 것이다. 명초에 해금정책(海禁政策)을 실시한 결과 대외무역이 위축되고, 번국들의 조공도 격감하였으며, 대외통교도 부진하여 명조의 국제적 지위는 크게 추락했다. 이것은 '천조상국(天朝上國)'을 표방하는 명조의 위상과 걸맞 지 않았다. 그리하여 성조는 국면전환용으로 대규모 선단을 해외에 파견하여 추락한 국제적 위신을 회복하고 국위를 선양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셋째로 경제적으로 대외무역을 진작시키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성조는 대외무역의 쇠퇴를 막고 전통적인 조공무역을 부활시키기 위하여 시박사(市舶司)를 증설하고 '사해일가(四海一家)'를 제창하면서 대외무역을 권장하였다. 국내 생산도 점차 회복되어 대외무역의 물질적 기반이 조성되었는데, 서북방과 중앙아시아에서 흥기한 타타르와 티무르제국에 의하여 오아시스로를 통한 서방 교역은 난항을 겪고 있었다. 그리하여 성조는 해로를 통한 대서방교역에 주력하게 되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황족과 귀족들의 부귀영화에 필요한 이방의 진귀한 보물을 취득하기 위함이었다. 선단은 매번 중국의 각종 특산물을 싣고 가서는 향료를 비롯한 외국의 여러 진귀한 물품을 대량으로 교역하여 황족이나 귀족을 비롯한 특권층들에게 공급하거나 상납함으로써 그들의 재욕(財慾)과 사치욕을 만족시켰다.
1.2.2. 전개 과정
1405년(영락 3) 첫 원정 이래로 정화는 매번 대규모의 선단을 조직해 출항하였다. 선단은 보통 보선과 전선(戰船), 양선(糧船), 마선(馬船), 좌선(坐船) 등 대형선박 60여 척을 포함해 200여 척의 각종 선박으로 구성되었으며, 승선 인원은 2만 7천여 명에 달하였다. 오늘날의 기함 격인 가장 큰 보선은 길이가 44장 4척(약 138m)에 너비가 18장(약 56m)이고, 적재량은 1,500톤이며 승선인원은 1천여 명에 달했다. 제1차 원정 당시에는 대박(大舶) 62척에 선원, 병사, 서기, 의사, 통역 등 승선인원이 27,800여 명이나 되었으며, 마지막 7차 원정 때에도 대박 61척에 승선인원은 27,550명이었다. 배마다 항해도와 나침반이 있었고 금, 은, 주단, 자기 등 온갖 귀중품을 가득 실었다. 통상 선단의 항로는 소주(蘇州)의 유가항(劉家港)에서 출발하여 복건의 장락를 거쳐 오호문(五虎門)으로부터 남해를 향해 나아갔다. 남해와 말라카 해협을 지나 인도양을 횡단하는데, 인도 남단을 지나 아라비아해에 들어서서는 페르시아만으로 북항하거나, 아니면 홍해나 아프리카 동해안으로 서항한다. 때로는 스리랑카 남단과 몰디브 제도를 지나 아프리카 동해안에 직행하기도 한다. 정화의 7차에 걸친 원정 개황은 아래의 표와 같다.
1.3. 정화의 원정이 갖는 의의 및 한계
1.3.1. 의의
정화의 남해 원정이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화의 원정을 통해 전통적인 조공관계를 회복하여 명 제국 중심의 화이질서를 재정립하였다. 정화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30여 개 해로 연안국을 방문하면서 명조의 국위를 선양하고 전통적인 조공관계를 회복하였으며, 상호 내왕을 촉진시켰다. 영락 연간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각국으로부터 조공사절이 끊이지 않았고, 명은 주변국은 물론이고 멀리 동아시아 국가들까지 복속시키면서 외교적으로 당 이후 최대의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둘째, 정화의 원정을 통해 명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 여러 지역 간의 물적·인적 교류가 추진되었다. 정화의 선단을 통해 양측 간에 조공무역의 형태로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중국인들의 동남아시아 이주도 본격화되었다. 이로써 중국의 해외진출과 동남아시아 개발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셋째, 정화의 남해원정은 세계항해사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정화의 일곱 차례 원정의 항정거리와 기간, 선박의 규모와 수량, 선박의 적재량, 승선인원수, 선단 조직, 항해술 등은 15세기 당시 세계 최대의 원양항행으로 평가된다. 또한 제작한 『정화항해도』와 각종 기행문은 15세기 초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역사와 지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1.3.2. 한계
정화의 원정이 갖는 한계는 다음과 같다.
정화의 남해 원정은 처음에는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 규모 면에서도 당시로서는 세계 최대 수준이었으나, 성조 영락제 이후 더 이상 지속되지 못했다는 문제가 있다. 막대한 비용이 들었던 정화의 원정은 명 조정에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지웠고, 이로 인해 영락 연간 이후 더 이상 대규모 항해를 지속할 수 없었다. 성조의 죽음 이후 정화의 7차 항해가 종결되면서 중국은 더 이상 해외로 진출하지 못하고 쇄국정책으로 돌아섰다. 이는 중국이 당시 세계시장에서 상당한 위상을 누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인 사정으로 인해 신항로 개척에 실패한 한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정화의 원정이 정치적 목적이 강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정화의 선단은 주로 외국 국가의 통치자들을 복속시켜 명 왕조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파견되었다. 따라서 경제적 이익보다는 정치적 이익을 우선시하여 실질적인 무역 및 교역관계 발전은 제한적이었다. 이로 인해 중국은 유럽 열강들이 신항로를 통해 구축한 식민지 제국주의의 발전을 따라잡지 못했고, 결국 19세기 이후 세계 경제 질서에서 완전히 배제되게 되었다.
정화의 남해 원정에서 구축된 동남아시아와의 연결고리는 명 왕조 이후에 지속되지 못했다. 중국 화교들의 동남아 이주가 지속되었지만,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연계가 약해짐에 따라 화교들의 발전 기회는 오히려 제약을 받았다. 이후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등 유럽 열강들이 동남아시아에 진출하면서 지역 내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게 된다. 즉 정화의 원정으로 구축되었던 중국의 동남아지역 영향력은 명대 이후 점차 약화되어 결국 서구 열강에 의해 잠식당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화의 남해 원정은 당시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해...
참고 자료
강정만,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서울: 주류성, 2017.
단죠 히로시, 『영락제: 화이질서의 완성』, 완주군: 아이필드, 2017.
데라다 다카노부, 『중국의 역사: 대명제국』, 서울: 혜안, 2006.
르언홍, 『중국 고대의 환관』, 울산: UUP: 울산대학교출판부, 2009.
미야자키 마사카쓰, 『정화의 남해 원정』, 서울: 밀빛, 1999.
박인수, 『황제의 비서실장 환관』, 서울: 석필, 2003.
範文瀾, 박종일 역, 『중국통사: 20세기 중국 사학 명저 下』, 고양: 인간사랑, 2009.
上杉 千年, 『1421 세계 최초의 항해가 정화』, 서울: 이치, 2007.
안진, 『천추흥망 : 명나라, 대항해의 선구자』, 서울: 따뜻한손, 2010.
정성환,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 서울: 신원문화사, 1994.
정수일, 『씰크로드학』, 서울: 창작비평사, 2001.
조관희, 『한 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서울: 청아, 2013.
화강·장국호, 『아주 특별한 중국사 이야기』, 서울: 신서원, 2008.
강희정, 「中國人의 南洋 移住와 近代 東南亞의 中國系 美術」,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83권 0호, 2013, pp. 37-61.
김광수, 「정허(Zheng He)의 항해를 통해 바라본 중국과 아프리카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아시아학회, 아시아연구 제16권 1호, 2013, pp. 29-75.
에릭 밀런츠, 柳翰秀 역, 「유럽과 중국의 비교사」, 창비, 창작과비평 120호, 2003, pp. 280-301.
이준태,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 제17권 2호, 2010, pp. 241-253.
전순동, 「명초(明初) 환관(宦官)의 외교(外交) 활동(活動) 실태(實態)와 그 특성(特性)」,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77권 0호, 2012, pp. 109-155.
전순동, 「명조(明朝) 전기(前期) 환관(宦官) 세력(勢力)의 추이(推移)와 기능(機能)」,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61권 0호, 2009, pp. 39-82.
정유선, 「15세기 초 명(明) 제국의 ‘세계’ 인식과 재현 ―명 정화(鄭和) 원정대 출신 작자의 해외견문록을 중심으로―」, 한국중문학회, 중국문학연구 72권 0호, 2018, pp. 71-102.
조원일·김종규, 「명대 후기의 해상무역 정책에 관한 연구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 18권 0호, 2014, pp. 131-152.
최소자, 「中國에서 본 西洋」,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 제80권 0호, 2002, pp. 97-126.
최형록, 「정화(鄭和) 대항해와 해양 국가 및 해양 도시와의 교류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해항도시문화교섭학 (5), 2011, pp. 133-161.
한지선, 「鄭和의 出使와 인도양 네트워크」, 명청사학회, 명청사연구 제49집, 2018, pp. 43-82.
돈쌤 정현두, <아편전쟁에서 미중 무역분쟁까지 무역분쟁의 역사>.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h__7gMSQaE4
쑹훙빙, <화폐전쟁>, 2008, 알에이치코리아
윤주영, <일본 경제 침략 실패 시나리오>, 2019, 책들의 정원
The World Bank, , 2021,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E.EXP.GNFS.ZS?name_desc=false
컬툰스토리, <아편전쟁 근대 중국의 운명을 결정짓다>, 2015, 주식회사 태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