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치료적 의사소통
1.1. 치료적 의사소통의 정의
치료적 의사소통이란 간호사와 대상자의 관계 속에서 대상자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도적이고 계획된 의사소통 방법이다."
치료적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치료와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1.2. 치료적 의사소통의 유형
치료적 의사소통의 유형이란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을 의미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개방형 질문은 대상자의 관점, 사고, 의견, 행동에 대한 사실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개방형 질문은 대상자에게 대화의 주도권을 주어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공감은 대상자의 감정이나 느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을 통해 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요약은 대상자의 이야기를 정리하여 반복해서 말함으로써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하는 기술이다.
수용하기는 대상자와 눈을 맞춤으로써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방성을 표현하는 기술이다.
반영은 대상자의 감정을 함축적인 언어로 표현하여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더욱 분명히 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1.3.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모성간호실습 중 대상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통해 문제해결이 된 상황은 다음과 같다." 9월 20일 1109호 소히OOO님이 제왕절개술 후 병실로 오셨는데, 수술 당시 두려움과 공포로 인해 전신마취를 했다고 한다. 간호사들이 회음부 확인과 자궁저부 위치 확인을 하려 갔을 때 환자는 "아파요 아파요 만지지마세요"라고 표현하였다. 이에 간호사는 "아니에요 지금 만지지 않았어요. 손 댄거 아니에요"라고 현실감을 제공하며 진정이 되고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왔다."이는 지각한 것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현실감을 제공하는 등의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2. 비치료적 의사소통
2.1. 비치료적 의사소통의 특성
비치료적 의사소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방의 감정과 경험을 무시하고 거절하거나 명령한다. 대상자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지 않은 채 자신의 판단과 견해만을 강요하여 대상자의 자율성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지금 현재 별로 되고 있는 것 같으니 진통제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요"라고 말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상대방을 비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