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의 개념과 변천과정 및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애 개념의 변천
1.1. 의학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
1.2. 세계보건기구의 장애 분류체계 발전
1.2.1. ICIDH (1980)
1.2.2. ICIDH-2 (1997)
1.2.3. ICF (2001)
1.3. 장애 개념의 핵심 요소
1.3.1. 손상(Impairment)
1.3.2. 능력장애(Disability)
1.3.3. 사회적 불리(Handicap)
1.4. 장애의 범위 확대와 사회적 책임 강조
2. 장애에 대한 다양한 관점
2.1. 의학적 관점
2.2. 사회적 관점
2.3. 생태학적 관점
3.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제
3.1. 편견과 차별의 문제
3.2. 사회의 포용성 향상을 위한 노력
3.3. 장애 개념의 확대와 정책적 대응
4. 결론: 장애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지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애 개념의 변천
1.1. 의학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
기존의 장애에 대한 이해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손상에 초점을 맞추는 의학적 모델이었다. 이 모델에서는 장애가 개인의 문제로 간주되었고, 장애인에 대한 치료와 재활 중심의 접근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장애인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회적 모델은 장애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환경과 구조의 문제라고 본다. 즉,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과 불편은 의료적 접근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사회 구조와 편견이 장애를 만들어내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모델에서는 장애인의 권리 보장과 사회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춘다. 교육, 고용, 이동권 등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가로막는 장벽을 제거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힘쓴다.
이처럼 장애에 대한 관점이 개인의 결함에서 사회적 구조의 문제로 전환되면서, 장애인 복지 정책 또한 그에 맞추어 변화하게 되었다. 단순한 치료와 재활에서 벗어나 자립생활 지원, 편의시설 확충, 차별 금지법 제정 등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권리 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은 더 이상 수동적인 대상이 아닌 권리의 주체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처럼 장애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단순히 개념의 차이에 그치지 않고 실제 장애인의 삶과 사회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도 장애인의 자립과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노력은 지속될 것이다.
1.2. 세계보건기구의 장애 분류체계 발전
1.2.1. ICIDH (1980)
세계보건기구(WHO)는 1980년 국제장애분류(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를 통해 장애의 계층적 차별화를 정의하고 장애 사회적 불이익의 일반적인 개념을 동시에 다루고 있다.
ICIDH에서 장애인에 대해 일반적인 개념을 손상, 기능장애, 사회적 불리 라는 개념으로 포괄하면서 장애의 형태와 범위를 동시에 정의하고 있다. 첫째로, 손상(impairments)은 신체구조학과 해부학적 관점에서 신체조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둘째로, 능력장애(disabilities)는 인간이 정상적으로 생각하는 일상생활과 경제활동능력이 저하되거나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불리(disabilities)는 손상, 또는 능력의 저하로 인해서 일상적인 생활이나 사회적 생활을 하는데에 제한이 있거나 지장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종합하면, ICIDH는 장애를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손상에서 시작하여 개인의 능력장애와 사회적 불이익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장애 개념을 의학적 모델에 기초하여 바라보고 장애인의 기능 회복과 재활에 주목했다고 볼 수 있다.
1.2.2. ICIDH-2 (1997)
ICIDH-2는 1997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국제장애분류 개정판이다. ICIDH-2는 ICIDH(1980)의 분류 체계를 보완하고 발전시킨 모델로, 장애를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 참여의 3가지 수준에서 분류하고 있다.
ICIDH-2는 장애를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보는 의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사회적 모델을 도입하였다. 즉, 장애는 개인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과의 부적절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관점이다.
ICIDH-2는 장애를 다음과 같은 3가지 수준에서 분류하고 있다. 첫째, 신체기능 및 구조 수준으로, 이는 ICIDH의 손상(Impairment) 개념과 유사하다. 둘째, 활동(Activity) 수준으로, 이는 ICIDH의 능력장애(Disability) 개념과 유사하다. 셋째, 참여(Participation) 수준으로, 이는 ICIDH의 사회적 불리(Handicap) 개념과 유사하다.
ICIDH-2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을 채택함으로써, 장애인을 단순히 의료적 문제를 가진 개인이 아니라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가진 존재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장애 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대응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1.2.3. ICF (2001)
ICF(2001)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01년에 발표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이다. ICF는 ICIDH-2를 계승하면서 분류체계와 언어사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환경 지향적으로 ...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네이버 지식백과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ritoso/222869109708
고영찬(2002). 장애인의 사회진단에 있어 국제장애분류(ICF)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보건복지부 장애등급 판정 지침 2000p. 1.
World Report on Disability, WHO, World Bank, 2011,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64182
KoreaMed Synapse, 장애의 개념과 분류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2-537.pdf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발달장애정보, 용어사전. https://broso.or.kr/seoul/hp/svc/SelectDictonarty.do?pageIndex=3
한국장애인개발원, 148 ICF 기반의 장애사정체계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배포용).hwp, https://koddi.or.kr/system/download.jsp?type=hp_board&subType=ATT1&fileName=20171221184508001.pdf&filename=ICF+%EA%B8%B0%EB%B0%98%EC%9D%98+%EC%9E%A5%EC%95%A0%EC%82%AC%EC%A0%95%EC%B2%B4%EA%B3%84+%ED%99%9C%EC%9A%A9%EB%B0%A9%EC%95%88%EC%9D%84+%EC%9C%84%ED%95%9C+%EA%B8%B0%EC%B4%88%EC%97%B0%EA%B5%AC%28%EB%B0%B0%ED%8F%AC%EC%9A%A9%29.pdf&filePath=%2Fhp_board%2FATT1%2F20171221184508001.pdf
보건의료정보표준, 국제협력, WHO-IFC, ICF. https://www.hins.or.kr/menu.es?mid=a10402030000
보건의료정보표준, 알림마당, 자료실. https://www.hins.or.kr/board.es?mid=a10702000000&bid=0002&tag=&act=view&list_no=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