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적으로 지능적인 발달이 지연되거나 출생 시부터 발달이 느리게 진행되는 아이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언어적 특성에서도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의 언어적 기술이 발달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문제는 아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지도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지원전략을 사용하여 아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사소통 지원전략에는 청각적 지원, 시각적 지원, 체험적 학습, 놀이치료, 인터랙티브 학습 등이 있으며, 이들을 통해 아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지도방법은 개별화된 계획을 수립하여 아이들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게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아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삶을 살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지적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2.1. 운동적 특성
지적장애아동의 운동적 특성으로는 대근육 발달과 소근육 발달에서 문제를 겪는다. 일반 아동들은 평균 13개월에 걷는 반면, 지적장애아동은 기기, 서기, 걷기 등의 대근육 운동 발달에 지체를 보인다. 소근육 발달에 있어서도 손 기술을 정확히 구사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근육반응의 지체로 인해 균형잡기 기능에 결함을 나타낸다. 즉, 지적장애아동은 약한 체력, 낮은 민첩성, 지구력 부족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운동기능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볼 수 있다."
2.2. 인지적 특성
지적장애아동의 인지적 특성은 기억, 주의집중, 모방학습능력, 일반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기억이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주의가 필요하고, 자극을 부호화시키는 과정에서 자발적인 기억전략을 사용해야 하는데 지적장애아동들은 단기기억에서 저장되는 정보의 양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현저히 적고, 기억전략을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이에 어려움이 있다.
주의집중이란 감각기억에서 단기기억으로 전이되기 위해서 선택적 주의집중이 요구되는데 지적장애아동은 주의집중의 지속시간, 집중의 범위와 초점, 선택적 주의집중에 어려움이있다. 이에 지적장애아동은 한 과제에서 다음 과제로의 이동 과정에서 주의집중 하기에 어려움을 보이기도 하고 부적절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모방학습능력이란 행동 관찰을 통해 모방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지적장애아동들은 주위 사람들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며, 그것을 기억하거나 재생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일반화란 특정 자극에 대한 조건반응이 생겼을 때 그와 비슷한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는데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학습한 기술을 다른 환경이나 과제에 적용하는 일반화 능력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아동은 학습한 내용을 다른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처럼 지적장애아동은 기억, 주의집중, 모방학습, 일반화 등의 인지적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3. 사회·정서 및 행동적 특성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정서 및 행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사회적 기술이다. 지적장애 아동들은 타인과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관계에 있어 심한 거부감부터 지나친 친밀감까지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