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교안작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안작성 방법을 제시하시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상세정보

소개글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교안작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안작성 방법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그램개발의 실습
1.1. 프로그램개발 타당성 분석
1.1.1. 개발 필요성 검토 및 추진여부 결정
1.1.2. 프로그램 필요성
1.1.3. 프로그램개발의 궁극적 목적
1.1.4. 기존 유사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와 차이점, 차별화 방안
1.1.5. 프로그램의 장애요인과 기대효과
1.2. 상황분석
1.2.1. 프로그램 실시 기관의 조직 분석
1.2.2. 기관 외부환경분석
1.2.3. 상황분석 (SWOT분석)
1.2.4. 잠재적 학습자 집단 분석
1.3. 요구분석 및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1.4. 프로그램 설계
1.5. 학습자 교재, 워크북 및 교수자 매뉴얼 개발
1.6. 자원배분
1.7. 마케팅과 홍보

2.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2.1. 서론 (주제 선정이유)
2.2. 1차시 교육 프로그램 교안
2.2.1. 교육 목표, 주제, 효과
2.2.2. 교육 내용
2.2.3. 교육 활동
2.2.4. 활용 자료
2.3. 2차시 교육 프로그램 교안
2.3.1. 교육 목표, 주제, 효과
2.3.2. 교육 내용
2.3.3. 교육 활동
2.3.4. 활용 자료
2.4. 3차시 교육 프로그램 교안
2.4.1. 교육 목표, 주제, 효과
2.4.2. 교육 내용
2.5. 4차시 교육 프로그램 교안
2.5.1. 교육 목표, 주제, 효과
2.5.2. 교육 내용
2.5.3. 교육 활동
2.5.4. 활용 자료
2.6. 결론(맺은 말), 전체 느낀 점
2.7. 참고문헌

3. 교육훈련 분야의 대표적 모형과 요구분석 과정
3.1. 서론
3.2. Ulschak의 모형
3.2.1. 모형의 장단점
3.3. Rossett의 모형
3.3.1. 모형의 장단점
3.4. Witkin과 Altschuld의 모형
3.4.1. 모형의 장단점
3.5. 공통적인 요구분석 과정
3.6.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그램개발의 실습
1.1. 프로그램개발 타당성 분석
1.1.1. 개발 필요성 검토 및 추진여부 결정

개발 필요성 검토 및 추진여부 결정은 프로그램개발의 첫 단계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절차이다.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검토에는 사회적 요구, 기관(조직)의 요구, 개발자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먼저 사회적 요구를 살펴보면, 평생직장의 개념이 점차 사라지고 은퇴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은퇴 후 일할 곳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자신의 지식, 경험, 가치관을 바탕으로 강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학습자 요구도 증가하면서 강연, 강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기관(조직)의 입장에서는 강사가 되고자 하나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이들을 위한 아카데미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다.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첫째, 주 52시간 근무로 인한 여가 생활 및 취미 활동과 더불어 부수입 창출을 위해 자신의 전공 분야를 활용한 강사를 희망하는 직장인의 요구가 있다. 둘째, 은퇴 후 위험부담이 큰 사업이나 창업보다는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강사가 되고자 하는 노년층의 요구가 있다. 셋째, 사업장 홍보를 원하는 소상공인들의 요구가 있다. 넷째, 취준생들이 초기부터 커리어를 쌓기 위해 강사 활동을 희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기관(조직), 개발자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실제로 강사 육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강사 육성 프로그램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1.2. 프로그램 필요성

평생직장의 개념이 점차 없어지고 있으며, 은퇴 시기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은퇴 후 일할 곳이 필요한 지금, 자신의 지식, 경험, 가치관을 바탕으로 강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늘어났다. 평생교육의 학습자의 요구가 늘어나면서 강연, 강의의 시대가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사가 되고 싶으나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이들을 위한 아카데미 역할이 필요하다.


1.1.3. 프로그램개발의 궁극적 목적

프로그램개발의 궁극적 목적은 기존 고학력을 갖춘 강사에 의한 이론 바탕의 지식 습득이 주였던 것에서 벗어나, 실생활의 경험에 근거한 가장 유용하고 생동감 있는 삶의 지혜를 전달할 수 있는 강사를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강사는 오랜 시간으로 축적된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며, 학습자는 실생활에 가장 필요하고 유용한 지식을 손쉽게 습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사는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살려 강의를 통해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습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어 자신의 삶을 보다 현명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개인의 자아실현과 더불어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1.4. 기존 유사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와 차이점, 차별화 방안

기존 유사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와 차이점, 차별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사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를 살펴보면, 강사 양성 과정 학원과 비영리단체의 민간자격증 수료과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먼저 강사 양성 과정 학원(마이트임팩트스쿨)에서는 강의 콘텐츠를 만드는 길잡이 역할, 강의 기법, 강의 매너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비영리단체인 사단법인에서는 민간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수료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프로그램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민간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펙으로 강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둘째, 기존 학원의 강사 양성 과정이 강의 콘텐츠 제작과 강의 기법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본 프로그램은 초보 강사의 '첫 번째 강의'를 도와주고 강사 마케팅, 강사 홍보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별화 방안을 통해 본 프로그램은 '시작이 반'이라는 슬로건 하에 초보 강사들의 자신감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강사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 외에도 강사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처럼 기존 유사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본 프로그램은 자신이 가진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강사가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1.1.5. 프로그램의 장애요인과 기대효과

프로그램의 장애요인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요인으로는 첫째, 강사 양성 과정 후에 취업까지 연결해주고 사후 관리나 강의 연결에 대한 조건을 제시하기 어렵다. 둘째, 학습자들 대부분이 '1인 기업 프리랜서 강사'가 되기 위해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과정 수료 후 훈련기관에 의지하고자 한다. 셋째, 학습자 개개인의 전공분야가 달라 일대일 맞춤형 집중강의가 어렵다.

기대효과로는 첫째, 강사는 오랜 삶으로 축적된 자신의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와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미디어, 평생교육학습장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전공 분야를 가진 강사를 육성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부분의 발전이 가능하다."


1.2. 상황분석
1.2.1. 프로그램 실시 기관의 조직 분석

프로그램 실시 기관의 조직 분석은 다음과 같다.

영역 별 강점으로는 소수 인원으로 의사결정이 용이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고, 조직 구성원이 전문성이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약점으로는 한 사람에게 과도한 업무가 편중될 가능성이 높고, 구성원의 전공 분야가 비슷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어렵다는 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나 복지실습생의 활용, 구성원의 다양한 전공 분야 선발, 구성원의 소속감 향상을 위한 모임 및 회식 지원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재정 측면에서는 정부의 지원금으로 운영예산을 충당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지만, 지원금만으로는 운영예산이 부족한 약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체 및 개인의 후원금 유치, 프로그램 참가자로부터 일부 교육비 수령 등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취업 전 실습으로 인한 자신감 고취와 전문지식 및 경험을 갖춘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실력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높은 인건비 지출이 필요한 약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지 마인드와 전문성을 겸비한 교수진을 섭외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기관 외부환경분석

기관 외부환경분석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관 외부의 요인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지역적 요인으로 살펴보면, 해당 기관이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해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접근성이 좋다는 점이 기회 요인이다. 또한 정부기관, 기업체 등 직장이 많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잠재적 학습자가 많다는 것도 장점이다. 그러나 교통이 편리하여 인근 유사 기관으로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위협 요인도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직장인을 비롯한 잠재적 학습자가 많다는 점이 기회 요인이다. 그러나 문화센터 등 유사한 기관들이 많아 경쟁이 치열할 수 있다는 위협 요인도 있다.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해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개인의 자아실현 욕구가 증가한 점이 기회 요인이 된다. 그러나 다양한 여가생활 선택지로 인해 학습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울 수 있다는 위협 요인도 존재한다.

재정적 요인으로는 정부의 지원으로 재정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기회 요인이다. 그러나 관련 기관이 많아 큰 기관에 대한 재정 편중이 있을 수 있다는 위협 요인도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해당 기관이 위치한 지역의 편리한 교통과 많은 직장인 등 잠재적 학습자 풀, 그리고 정부 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이 기회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유사 기관과의 치열한 경쟁, 학습자들의 관심 유도 어려움, 재정의 편중 등이 위협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1.2.3. 상황분석 (SWOT분석)

상황분석 (SWOT분석)은 프로그램개발의 실시 기관을 대상으로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내부 환경 분석인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점으로는 첫째, 프로그램개발에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둘째, 이미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지원하기 때문에 민간자격증을 발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반면, 약점으로는 첫째, 다양한 직종·경력자가 지원하기 때문에 일일이 개인적 피드백이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과정 수료 후 사후관리나 취업연결이 어렵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외부 환경 분석인 기회와 위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회로는 첫째, 강의·경연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뮤지컬, 음악콘서트, 스포츠경기, 미술관 관람, 연극 관람처럼 강의·강연을 관람하려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제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IT기술의 발달로 각종 SNS, 유튜브를 통한 개인 홍보가 용이한 시대가 되었다는 점이다. 한편, 위협으로는 첫째, 강사 되는 과정의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강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강의를 진행할 곳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이러한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프...


참고 자료

젊어서 벌어도...27세부터 ‘흑자인생’, 59세부터 ‘적자인생’
(중앙일보, 2019.12.09. 허정원 기자)
어르신 삶에 활력을 넣어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신청하세요!
[출처] 제주특별자치도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ppyjejudo/222033794535
한국 소비자원 유튜브 [언택트시대 스마트하게 살아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opwPe5_g9L4&feature=emb_title
[언택트시대] 햄버거집 키오스크 주문, 망설이지 마세요!
https://www.kca.go.kr/smartconsumer/sub.do?menukey=7101&mode=view&no=1003015716&cate=00000180
[애드체크] 보험사들, 알아먹지도 못할 '속사포·깨알 광고' 왜 할까?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781
https://mnews.joins.com/amparticle/4307607
[중앙일보-비즈 칼럼] 악덕 상술에 우는 노인 더 늘기 전에 …
https://youtu.be/A4TsrbYLYoY
[박막례 할머니]
https://youtu.be/1BzqctRGgaU
ㅇㅇㅇ 원경교육평생원 인력개발과활용 교안, 2023.
서태영, “기업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이창훈, “기업의 요구 분석을 통한 기업 내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운영 및 효과 : Y벤처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