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구 지역사회 건강 문제점 진단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업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2024 대구 지역사회 건강 문제점 진단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업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간호실습과 현황 분석
1.1.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
1.1.1. 현황 분석
1.1.2. 센터의 지역보건체계 평가
1.2. 건강문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1.3. 목적 및 목표 설정
1.4. 전략 수립
1.5. 세부 계획 수립

2.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2.1. 현황분석
2.1.1. 인구사회학적 특성
2.1.2. 지역의 건강수준
2.1.3. 만성질환 현황
2.2. 우선순위 결정
2.3. 목적 및 목표설정
2.4. 세부 사업 계획
2.5. 프로그램 설계
2.6. 프로그램 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실습과 현황 분석
1.1.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
1.1.1. 현황 분석

센터에 내방하는 근로자들의 건강 수준 및 건강결정요인 평가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20년 대구 달서구의 산업대분류별 종사자 수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가장 많은 3,750명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3,464명, 운수 및 창고업 1,268명, 건설업 1,233명, 숙박 및 음식점업 1,083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2024년 1~3월 전체 산업재해 현황을 보면, 재해자는 9,341명, 사망자는 42건으로 집계되었다.

2022년 대구 달서구의 종사자 수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50-59세가 11,981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49세 10,246명, 30-39세 9,723명, 60세 이상 6,884명, 30세 미만 7,458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2년 대구청의 지방고용노동관서별 및 유해인자별 실시사업장 현황을 보면, 소음 관련 사업장이 가장 많은 3,727개소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분진 3,750개소, 금속 3,464개소, 유기화합물 1,083개소, 야간작업 1,233개소 순이었다.

대구 달서구의 현재흡연율은 2020년 18.3%에서 2021년 19.2%로 증가했다가 2022년 16.8%, 2023년 17.1%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하루 약 80명의 방문객 중 60%가 흡연자로 관찰되었다.

월간음주율은 2020년 45.5%에서 2021년 51.5%, 2022년 51.8%로 증가하다가 2023년 50.8%로 소폭 감소하였고, 고위험음주율은 2020년 9.0%, 2021년 9.8%, 2022년 7.3%, 2023년 10.0%로 변동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자가보고)은 2020년 29.4%, 2021년 25.1%, 2022년 27.8%, 2023년 31.0%로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걷기 실천율은 2020년 48.6%, 2021년 43.0%, 2022년 48.1%, 2023년 55.0%로 변동이 있었다.

건강생활실천율은 2020년 35.7%, 2021년 32.4%, 2022년 40.0%, 2023년 45.0%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주관적 건강인지율은 2020년 58.4%, 2021년 45.2%, 2022년 45.7%, 2023년 43.9%로 감소 추세에 있다.

한편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 표면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현재 1.09°C 상승했으며, 가까운 미래에 1.5°C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는 감소 추세이나 폭염은 현재 자연재해 인명피해 1위 재난으로, 대구광역시 일부 지역의 폭염 재해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 산재 승인 업종별 비중은 노출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온열질환 환자수도 연도별로 변화가 있었다. 또한 대구 달서구의 당뇨병 진단 경험률과 혈당수치 인지율, 고혈압 진단 경험률과 방문객 고혈압 비율 등이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의 연도별 난청 및 호흡기계 질환자 수 추이, 방문객들의 피로와 근골격계질환 호소 비율 등도 확인되었다.


1.1.2. 센터의 지역보건체계 평가

센터의 지역보건체계 평가"는 산업재해 및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와 관련된 사업주의 의무사항들을 수행하기 위한 보건관리위탁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업환경관리, 건강관리, 보건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사고 사망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기술지원 민간위탁사업과 예방접종사업 등을 통해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일반·특수·채용 건강진단, 작업환경측정 등의 사업을 통해 근로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인간공학 컨설팅과 실내환경 컨설팅 사업을 통해 작업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있으며, 법정직무교육과 안전보건지킴이 양성과정 등을 통해 보건관리 담당자들의 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처럼 센터는 산업보건 분야에서 산업안전보건법에 근거한 다양한 사업들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지역사회의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고, 지역사회의 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건강문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현황 분석을 통해 도출된 건강문제들 중 우선적으로 해결이 필요한 문제들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건강문제들의 크기, 심각성, 문제해결의 추정효과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현재 지역사회간호실습 현황 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건강문제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소음 노출로 인한 직업성 난청 증가, 둘째, 고혈압 증가, 셋째, 분진으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 증가, 넷째, 야간업무와 교대근무로 인한 만성 피로 가능성, 다섯째, 고열환경 노출로 인한 열중증 질환의 발생 증가, 마지막으로 진동 노출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이다.

이러한 건강문제들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BPRS 기준을 활용하였다. BPRS는 건강문제의 크기(B), 심각성(B), 그리고 사업의 추정효과(C)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각 요소에 대한 점수를 종합한 결과, 직업성 난청 증가가 189점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고혈압 증가(176점), 호흡기계 질환 증가(150점), 열중증 질환 발생 증가(126점), 만성 피로 가능성(112점),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102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지역사회의 가장 시급한 건강문제는 소음 노출로 인한 직업성 난청이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 대책 마...


참고 자료

대한산업보건협회.(n.d). 대한산업보건협회. https://kiha21.or.kr/
대구지역본부ㅣ대한산업보건협회. (n.d). 대구지역본부
https://kiha21.or.kr/%ed%98%91%ed%9a%8c%ec%86%8c%ea%b0%9c/%ec%a0%84%ea%b5%ad%ec%84%bc%ed%84%b0%ec%95%88%eb%82%b4/%eb%8c%80%ea%b5%ac%ec%a7%80%ec%97%ad%eb%b3%b8%eb%b6%80/
통계청.(n.d). KOSIS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통계지리정보서비스. (n.d). SGIS통계청 총조사 시각화지도.
https://sgis.kostat.go.kr/view/totSurv/populationDash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n.d). 산업재해예방안전보건공단사업소개.
https://www.kosha.or.kr/kosha/business/rskassessment.do#/a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n.d). 산업재해예방안전보건공단 직무교육센터.
https://www.dutycenter.net/dutyedu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4). 산업재해예방안전공단자료마당.국가승인통계
https://oshri.kosha.or.kr/kosha/data/industrialAccidentStatus.do?mode=view&articleNo=450084&article.offset=0&articleLimit=10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2023). HIRA빅데이터개방포털.
https://opendata.hira.or.kr/op/opc/selectMedInfoSvcList.do
고용노동부. (2011). 고용노동부서울지방고용노동청뉴스.공지.
https://www.moel.go.kr/local/seoul/news/notice/noticeView.do?bbs_seq=1315285528447
통계청. (2023). 통계청통계개발원한국의사회동향 발간등록번호 11-1240245-000014-10.
https://www.kostat.go.kr/menu.es?mid=a90104010100
기후청보포털. (2023). 기후변화2023종합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 1360000-001797-01.
http://www.climate.go.kr/home/cc_data/2023/%5B%EA%B5%AD%EB%AC%B8%20%EB%B2%88%EC%97%AD%EB%B3%B8%5D%20%EA%B8%B0%ED%9B%84%EB%B3%80%ED%99%94%202023%20%EC%A2%85%ED%95%A9%EB%B3%B4%EA%B3%A0%EC%84%9C_Web%EC%9A%A9.pdf
김연정.(2024.06.30.). '폭염 속 노동'에 6년간 온열질환 산재 147건·사망사고 22건.
연합뉴스. 1면. https://www.yna.co.kr/view/AKR20240629034200001?input=1195m
지역사회보건학 편찬위원회. (2022).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2 (p. 809-894). 수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2021).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224-265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2021).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596-623
KOSIS 국가통계포털. (접속일: 2022.10.11.)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지리정보서비스. (접속일: 2022.10.11.) 통계지리정보서비스 (kostat.go.kr)
정은숙, 박지현(2020). “노인 대상 치매파트너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배윤정 외 7인(2004.06). 지역주민대상 걷기동아리 결성 및 활성화가 참여자의 심폐기능과 걷기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
홍영익(2013). 지하철노선이 동별 인구와 고용자 수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대구시를 중심으로
박세정 외 4인(2014.12). 노인의 국민체력100 체력증진교실 참여가일상생활체력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염병화(2008.08). 댄스 스포츠 교실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라이프 스트레스와 신체적 존중감 및 사회적 행복감의 인과관계
윤정애 외 5인(2016.12).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의 비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