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낭 및 담즙의 기능
1.1. 담낭의 해부학적 구조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도 부르며 간의 우엽 하면에 밀착한 가지 모양의 주머니 같은 구조로, 길이 7~10cm, 직경 2.5cm, 용량 30~35mL의 크기를 가진다.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저장하고 담즙의 수분을 흡수하여 최대 10배까지 농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수축하여 담즙을 담낭관(cystic duct)을 통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으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담낭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1.2. 담즙의 생리적 작용
담즙의 생리적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즙은 리파아제의 지방 유화작용을 도와 지방 소화를 촉진한다. 담즙은 지방 분자를 작은 입자로 분해하여 리파아제가 지방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둘째, 담즙은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A, D, E, K의 흡수를 촉진한다. 담즙은 이들 지용성 비타민이 장관에서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셋째, 담즙은 콜레스테롤 흡수를 촉진한다. 담즙이 부족하면 콜레스테롤 흡수가 저하되어 지방변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담즙은 Fe, Ca 등의 무기질 흡수를 촉진한다. 담즙은 이들 무기질이 장관에서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섯째, 담즙은 장관 내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담즙에는 살균 작용이 있어 장내 세균 증식을 억제한다.
마지막으로, 담즙은 담즙색소, 호르몬, 약물 등의 배설 통로 역할을 한다. 이들 물질들이 간에서 생성된 후 담즙을 통해 장관으로 배출된다.
즉, 담즙은 지방 및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무기질 흡수를 촉진하며, 장관 내 항균 작용과 배설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담즙의 생리적 작용은 인체의 중요한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2. 담낭 질환의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인
2.1. 담석증의 원인
담석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담즙 구성의 변화가 담석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담즙은 주로 담즙산, 콜레스테롤, 빌리루빈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성분의 균형이 깨지면 담석 생성의 위험이 있다. 담즙산 부족, 콜레스테롤과 빌리루빈의 과잉이 대표적이다.
또한 담즙의 정체도 담석증을 야기할 수 있다. 담낭의 수축력 저하나 괄약근 경련으로 인해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담즙이 정체되어 담석이 형성될 수 있다.
감염이나 유전적 소인도 담석증의 원인이 된다. 세균 감염으로 담즙 내 염증이 생기면 담석 형성이 촉진되고, 일부 유전자형과 담석 발생 위험이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콜레스테롤 담석과 혼합석이 80%, 색소 담석이 20%를 차지한다. 담석이 생성되면 담관을 막아 폐색을 유발하고 황달, 지방 흡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2.2. 급성 및 만성 담낭염의 발생 원인
급성 및 만성 담낭염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석이 주된 원인이다. 담석이 담낭관의 입구를 막으면 담즙이 정체되어 염증이 생기는데, 대부분의 담낭염 환자에서 담석이 동반된다. 담석은 담즙 구성의 변화, 담즙 정체, 감염, 유전적 소인 등에 의해 발생한다. 담즙에 콜레스테롤과 빌리루빈이 과잉 생성되면 결정화되어 담석이 형성되고, 담낭 수축력 저하 및 Oddi 괄약근 경련으로 인해 담즙이 정체되면 담낭염이 유발된다. 또한 세균 감염이나 유전적 요인 등이 담석 형성에 기여한다. 담석은 담관을 막아 폐색을 일으키고 황달, 지방흡수 장애 등을 초래한다.
둘째,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감염 등도 담낭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담석 없이도 비결석성 담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담낭 혈류 저하나 해부학적 문제로 인해 세균이 침입하면 감염이 일어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급성 담낭염이 여러 차례 재발하여 만성적인 염증 상태가 지속되면 만성 담낭염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만성 담낭염은 담석증과 관련이 있다. 반복된 급성 발작으로 인해 담낭벽의 섬유화와 비후가 생기면서 만성화되는 것이다.
즉, 담낭염은 주로 담석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외에도 외상이나 기형, 기저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이 만성화되면서 지속적인 염증 상태가 유발되기도 한다.
3. 담낭염의 증상과 진단
3.1. 임상 증상
담낭염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담낭염은 증상이 없이 무증상으로 발생하다가 때때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가장 흔한 증상은 소화 후 우상복부나 명치 통증이다. 통증은 음식 섭취 후 서서히 발생하여 강도가 점점 심해지며, 오른쪽 어깨나 등으로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환자는 몸을 구부리거나 다리를 끌면서 움직이는 것을 기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또한 반동성 압통과 복부 근육 긴장이 나타나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