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변속기 장단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9.17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자동변속기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변속기 시스템의 이해
1.1.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
1.2.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1.3. 무단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4. 자동화 수동 변속기(AMT: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1.5.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Dual Clutch Transmission)

2. 킥다운(Kick-down) 기능
2.1. 킥다운의 개념
2.2. 킥다운의 작동원리
2.3. 킥다운의 활용

3. 오버드라이브(Overdrive) 장치
3.1. 오버드라이브의 정의
3.2. 오버드라이브의 장점

4. 차동제한장치(Limited Slip Differential)
4.1. 차동제한장치의 특징
4.2. 차동제한장치의 종류

5. 자동차 주요 시스템 분석
5.1. 현가장치
5.2. 조향장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변속기 시스템의 이해
1.1.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는 운전자가 직접 기어를 변경하는 기계식 변속기이다. 선택기어식 변속기라고도 불리는 수동 변속기는 대부분의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는 일정 속도로만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엔진의 동력 전달을 끊어야 하거나 후진하기도 해야 하는데, 이러한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장치가 클러치(clutch)이다. 운전자가 발로 클러치를 조종하면서 손으로 변속 레버를 직접 조작하는 변속기가 수동 변속기이다.

수동 변속기는 기어 변환 방식에 따라 선택접동식, 상시물림식, 동기물림식의 3종류가 있다. 이 중 변속 조작이 가장 쉬운 동기물림식이 승용차, 버스, 트럭 등 거의 모든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동기물림식 수동 변속기는 주축에 있는 싱크로나이저 허브, 싱크로나이저 슬리브, 싱크로나이저 링, 키 및 스프링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싱크로나이저 허브는 주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주에는 슬리브와 결합하여 슬리브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기어가 있다. 싱크로나이저 슬리브는 허브 위에 물려서 움직일 수 있으며, 바퀴 둘레에 시프트 포크가 물릴 수 있는 홈이 파여 있다. 변속 시 시프트 포크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면 싱크로나이저 링의 동기화 작용에 의해 변속기의 클러치 기어에 물리게 된다. 싱크로나이저 링은 각 기어에 마련된 경사면에 결합되어 변속 시 경사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에 따라 클러치 작용을 한다.

수동 변속기에는 변속 과정에서 동력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므로 달리는 중간에 엔진이 정지할 우려가 있으며, 가속 및 감속 시 충격과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자동 변속기에 비해 동력 손실이 적어 연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륜구동형과 후륜구동형 수동 변속기의 차이는 변속기와 차동장치의 위치에 있다. 전륜구동형은 변속기와 차동장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후륜구동형은 변속기와 차동장치가 분리되어 차량 후면에 위치한다.


1.2.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기어비가 선택되어 치합되는 자동변속장치이다. Transmission뿐만 아니라 Clutch 기능도 함께 갖고 있어 Automatic Transmission (A/T, AT, No-Clutch, Automatic Gear Box)라고 부른다. 이 A/T는 차를 달리는데 필요한 발진조작과 Gear Change를 자동화한 것으로 유압이나 전자제어로 기어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또한 차마다 설정된 속도와 Accelerator의 밟기에 따라 적정한 Gear를 선택하는데, 필요에 따라 가속 때도 자동적으로 변속하는 것을 Full Automatic이라 한다.

A/T는 Manual에 비해 운전이 용이하고 E/G과 동력전달장치 외에 기계적 접촉이 없기 때문에 각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정비하기 어렵고 연료소모가 약 10%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EAT)는 기계식 A/T와 구조는 기본적으로 같으나 Control Valve 기구를 Solenoid Valve 기구로 대체하여 유압의 유로를 ECU에서 제어 개폐한다. 주요 구성부품으로는 토오크컨버터, 클러치 디스크, 브레이크 디스크, 유성기어장치, 유압제어장치, 전자제어장치 등이 있다.


1.3. 무단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무단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ying Transmission)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벨트와 경사를 갖는 풀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속 충격이 없는 매끄러운 가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비의 면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이 통상적인 장점이다.

그 구조상 CVT는 엔진 파워가 작은 소형 FF차 전용의 시스템이었지만 닛산이 개발한 엑스트로이드 CVT의 경우는 디스크와 파워 롤러를 사용한 새로운 구조를 이용해 3000cc급 터보의 FR차에까지 대응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금속 벨트 타입의 CVT 차량이 주류이며 현대자동차의 EF 쏘나타, 기아자동차의 옵티마등에 선보인 바 있으며, 대우자동차의 마티즈에는 고무벨트식 CVT가 첫 선을 보인 바 있다.

이 무단 변속기는 변속 충격이 전혀 없고 변속비의 폭이 넓어...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5278&mobile&categoryId=200000504
http://cafe.naver.com/mecha4222/57
http://blog.naver.com/yonghwab?Redirect=Log&logNo=10028909688
http://cafe.naver.com/deksan/269
http://www.carlife.net/bbs/board.php?bo_table=school&wr_id=1522&sca=%C0%DA%B5%BF%C2%F7%B0%F8%C7%D0&page=8
두산백과
naver 백과
수업교재
[1] Zhigang Yang, Changxiu Cao, “A Method of Optimal Shift Control Base on Pattern Recognition and Learning Algorithm”, JAN 2002, P955~P959
[2] 이현동. 설승기. 조한상. 이종무 , “Advanced Gear Shifting & Clutching Strategy for a Parallel Hybrid Vehicle”, NOV 2000, P26~P32
[3] Guihe Qin. Anlin Ge, “Cruise Control of Autonated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PR 2003, P18~P22
[4] Jonas Frediricksson. Bo Edgard , “Nonlinear Control applied to Gearshifting i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s”, DEC 2000, P444~P449
[5] Lei Yulong, Li Younjin , “Research on Gear Position Decision and Combination Control in Braking Condition”, 2001, P227~P231
[6] Luigi GieImo, “speed control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with dry clutch”, DEC 2004, P1709~P1714
[7] MO, C.Y., Beaumount, A.J. andpowell, N.N. Active, Control of Driveability, SAE Paper No. 960046, 1996.
[8] Fredriksson, J. and Egardt, B. “Nonlinear Control of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for Powertrain Control Applications”, accepted for publication at 2000 ASME International Mechanical Engineering Congress & Exposition, Orlando, Florida, Nov 5- 10,2000.
[9] Lei Yulong,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PH. D
dissertation of Jilin University of Technology, Chanchun City, Page 66-80.
[10] M. Link. B. Voss, “The automated shift transmission 0possiblity and limits in production-type vehicle”, 200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