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 연구
1.1. 일반적 사항
이 환자는 여성으로 만 79세이다. 체중은 53.9kg이고 신장은 153cm이며, 2019년 5월 17일부터 5월 23일까지 6일간 입원했다. 주호소는 흉통과 운동 시 호흡곤란이었으며, 진단명은 불안정 협심증이다. 2019년 5월 18일에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았다.
1.2. 대상자의 건강력
대상자의 건강력은 다음과 같다.
가족력으로는 어머니가 고혈압을 앓고 있었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과 협심증을 앓고 있었다"". 현 병력으로, 발병 당시부터 입원일까지 약 2년간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입원 기간 동안 협심증 증상이 악화되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았다"". 대상자는 이러한 과거력으로 인해 협심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1.3. 건강사정
대상자는 건강관리 양상에 있어 "짠 음식을 최대한 멀리하고 매일 1시간씩 걷기 운동을 시행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과거력으로 이미 AP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로서 AP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대상자는 "음주나 흡연은 전혀 하지 않으며, 개인위생은 양호하다"고 하였다.
영양-대사 양상에서는 "평상 시 골고루 균형 있는 음식을 섭취하며, 짠 음식은 되도록 적게 먹으려고 노력 중이다. 식욕은 양호하며, 일반식을 섭취 중이다. 하루 섭취하는 평균 수분량은 약1200ml로 양호하다"고 하였다.
배설양상에 대해서는 "배변은 하루에 약 한 번 정도의 횟수로 양, 색 모두 양호하며 배변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배뇨는 하루에 약 일 곱번 정도의 횟수로(urinary frequency) 양, 색은 양호하며 배뇨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하였다.
활동과 휴식양상에 대해서는 "단순한 걷기나 몸을 움직이는 것에 있어서는 전혀 어려움이 없지만, 격렬한 활동 시 호흡곤란을 느낀다(DOE). 하루에 한 시간씩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휴식 시에는 소파에 누워 TV시청하는 것을 즐긴다. 평소 수면시간은 약8시간이나, 병원에서 환경변화로 인해 깊고 충분한 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역할관계 양상에 대해서는 "남편과 사별하고 아들과 함께 사는 중이며 딸도 있다. 직업은 없지만 가정경제 상태는 양호해서 치료비지불능력이 충분하다"고 하였다.
인지-지각 양상에 대해서는 "자신의 질환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으며, 의료진의 지시에 따른 치료이행정도가 양호하다"고 하였다.
기타 알레르기는 없으며, 최근의 생활 변화나 위기, 스트레스는 따로 없다고 하였다.
1.4. 신체 검진
신체 검진 결과,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BP: 136/89mmHg, HR: 109회/분, BT: 36.8도씨, RR: 26회/분, SPO2: 91%로 나타났다.
머리 부위에서는 압통 없이 모두 양호한 소견이었다. 피부는 색깔, 윤기, 탄력성, 손톱 모두 양호했다. 얼굴의 균형, 형태, 압통 검진 결과 역시 정상 소견이었다.
눈 검진에서 사시, 시력, 공막, 결막, 동공 크기와 대칭성, 시야 및 안구 모두 문제가 없었다. 귀 검진에서도 청력, 외이, 분비물, 고막, 이개 등이 정상 범주였다.
코 부위의 외형, 비강, 중격, 부비동의 압통 소견도 정상이었으며, 구강, 입술, 치아, 잇몸, 점막, 혀, 구개, 편도선 검진에서도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림프절 검진 결과 경부, 쇄골하, 상박, 액와, 서혜부림프절, 대퇴림프절 모두 양호했다. 유방의 외형과 유두도 정상이었다.
호흡기 검진에서는 DOE(운동 시 호흡곤란) 소견이 있었다. 그 외 순환기, 복부, 생식계, 항문, 하지, 관절, 신경계 검진에서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다.
1.5. 진단적 검사
혈액 검사 결과, 대상자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가 188 mg/dL로 정상범위(30-150 mg/dL)를 초과하여 상승되어 있었다. 이는 지질대사 이상을 나타내는 소견으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에 해당한다. 또한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48 mg/dL로 감소되어 있어 동맥경화 진행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DL 콜레스테롤은 145 mg/dL로 정상범위(~130 mg/dL)를 초과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수치도 214 mg/dL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지질 대사 이상은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에 해당한다.
혈액 검사 결과 백혈구(WBC) 3.74 x 10^3/mm^3, 적혈구(RBC) 3.87 x 10^6/mm^3으로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이는 빈혈이나 감염 등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혈소판 수치도 155.3 x 10^3/mm^3로 감소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혈액학적 이상소견들은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심전도 검사 결과, PR 간격, QRS 지속시간, QT/QTc 간격 등이 정상 범위였으나 ST 분절의 하강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는 허혈성 심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불안정 협심증 진단에 부합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상자의 혈액 검사 및 심전도 검사 결과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과 불안정 협심증을 시사하는 소견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진단적 검사 결과를 토대로 불안정 협심증 진단이 내려졌으며, 이에 따른 적극적인 약물 치료 및 관상동맥중재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1.6. 사용되는 약물
대상자에게 사용된 약물은 다음과 같다.
플라비톨정 [Plavitor Tab.]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불안정성 협심증 또는 비Q파 심근경색)이 있는 환자에게 급성기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투여된다. 초기 1일 1회 300mg을 부하용량으로 시작하고 이후 1일 1회 75mg을 유지용량으로 경구 투여한다. 이때 아스피린 75~325mg도 1일 1회 병용 투여해야 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장애, 호중구감소증/무과립구증, 위장관계 증상, 발진 및 기타 피부질환 등이 있다.
보령바이오아스트릭스캡슐100mg [Boryungbio Astrix Cap. 100mg]은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투여된다. 1일 75-300mg을 경구 투여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아나필락시스 쇼크, 홍반, 간지러움증 등의 과민증 반응과 재생불량성빈혈,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식욕부진, 위장관계 증상, 간질장애 등이 있다.
이소트릴지속정60mg [Isotril ER Tab. 60mg]은 관상동맥심질환, 협심증 발작, 심근경색, 만성심근기능부전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1일 1회 60mg을 경구 투여하며, 초기에는 2-4일간 30mg으로 시작하여 천천히 증량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어지러움증, 심박수 증가, 저혈압, 홍조, 구역, 구토, 설사, 간기능장애, 황달, 근육통 등이 있다.
바스티난엠알서방정 [Vastinan SR Tab.]은 1차 항협심증 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증상 치료를 위해 병용요법으로 투여된다. 1일 2회 1회 35mg씩 아침, 저녁 식사 시 경구 투여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어지러움, 두통, 소화기 증상, 발진, 가려움증, 무력감 등이 있다.
크레스논정10mg [Cresnon Tab. 10mg]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어 죽상동맥경화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투여된다. 초회용량은 1일 1회 5mg이며, 더 많은 LDL-콜레스테롤 감소가 필요한 경우 유지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1형 당뇨병, 두통, 어지러움, 위장관계 증상, 근육통, 피부 증상 등이 있다.
아서틸정8m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