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학의 정의와 특징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 화학, 유전학 및 미생물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이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활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한다. 임상병리학은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를 임상병리학자라 하며, 이와 같은 검사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을 임상병리사라고 한다.
1.2. 임상병리학의 연구 분야
임상병리학의 연구 분야는 다양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임상병리학은 크게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분야로 구성된다""
임상화학은 혈액, 소변, 기타 체액 내 존재하는 화학 물질의 변화를 연구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하는 분야이다"" 임상혈액학은 혈액세포의 형태와 기능, 혈액응고 및 지혈 과정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임상면역학은 체내 면역 기전을 연구하여 면역질환의 진단과 면역치료법 개발에 기여한다""
임상미생물학은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을 연구하여 감염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한다"" 임상생리학은 인체의 생리학적 기능을 측정 및 분석하여 정상과 병적 상태를 구분하고 진단에 활용한다"" 면역혈액학은 혈액형 및 수혈과 관련된 면역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세포유전학은 염색체와 유전자의 이상을 분석하여 유전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분자유전학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진단한다"" 조직병리학은 조직 및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여 암 등 질병의 진단과 예후 평가에 활용한다""
이처럼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 치료, 예후 판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 분야로, 의학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3. 임상병리사의 역할
임상병리사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 화학, 유전학 및 미생물학적으로 검사하는 전문가이다. 임상병리사는 3년 전문대학 이상의 임상병리학 전공과 한국 보건의료인국가 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임상병리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로 구성된다.
임상병리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혈액세포 성분의 형태, 백분율 및 절대수를 계산하고 혈액 응고인자를 검사하여 질병을 진단한다. 둘째, 환자의 소변 내 이화학적 물질을 검사하여 질병을 진단한다. 셋째, 혈액 내 화학물질의 양을 정확히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한다. 넷째, 세균을 배양하고 동정하여 감염을 확진한다. 다섯째, 항원과 항체를 검출하여 감염 병원체를 확인한다. 여섯째,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형 검사 및 교차시험을 수행하여 적합한 혈액을 환자에게 제공한다. 일곱째, 폐기능, 심장기능, 뇌기능 등의 생리적 검사를 수행한다. 여덟째, 조직과 세포를 염색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한다. 아홉째,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핵의학 검사를 수행한다. 열째, 세포유전검사와 분자생물학검사를 통해 유전질환과 원인불명의 기능장애, 염색체 이상 질환을 진단한다.
이처럼 임상병리사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에 필수적인 검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2. 임상병리 검사 도구와 활용
2.1. 채혈 도구
채혈 도구는 임상병리 검사에 사용되는 핵심적인 기구들이다. 채혈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 도구로는 진공채혈관(vacutainer system), 채혈용 바늘, tube holder 등이 있다. 진공채혈관은 미리 일정한 양의 진공이 형성되어 있어 채혈 시 정확한 양의 혈액을 얻을 수 있다. 채혈용 바늘은 혈관에 삽입되어 혈액을 채취하는 역할을 하며, tube holder는 진공채혈관을 고정시켜 주는 도구이다. 이러한 채혈 도구들은 혈액 검사를 위한 필수적인 기구로 활용되고 있다. 채혈 과정에서 적절한 도구 사용은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는 데 중요하다.
2.2. 검사 기기
2.2.1. HbA1c 검사
HbA1c 검사는 장기간 혈중 포도당 농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이다. 적혈구는 약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지지만, 당화가 일어난 적혈구의 수명은 조금 더 짧아진다. 이를 이용하여 최근 3개월간의 평균 혈당 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정상 HbA1c 수치는 4%~5.9%이며, 이는 평균 혈당 농도 65~135 mg/dL에 해당한다. 검사 방법은 항원-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