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박출량 감소(Decreased Cardiac Output)
1.1. 정의 및 관련 요인
심박출량 감소(Decreased Cardiac Output)는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이 신체의 대사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관련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심박동수의 변화이다. 심박동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심박출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심박출량의 변화이다. 심장의 수축력이나 이완력의 변화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다. 셋째, 심근수축력의 변화이다. 심근경색, 심근병증 등으로 인한 심근수축력 저하는 심박출량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넷째, 심장 리듬의 변화이다. 부정맥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심장 수축 패턴은 심박출량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다섯째, 후부하의 변화이다. 동맥혈관저항의 증가로 인해 후부하가 증가하면 심장의 수축 능력이 저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다. 여섯째, 전부하의 변화이다. 전부하가 증가하면 심장이 과도한 부담을 받아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심박출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1.2. 특성 및 증상
심박출량 감소(Decreased Cardiac Output)의 특성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각종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는데, 첫째로 심박동수와 리듬의 변화가 있다. 부정맥, 서맥, 빈맥, 심전도 변화, 심계항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둘째로 호흡기계 증상으로 수포음(crackles) 등 비정상적 호흡음이 청진되고, 산소포화도(SPO2) 감소, 기침,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기좌호흡 등이 나타난다. 셋째로 순환기계 증상 및 징후로 좌심실 심박출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40% 이하로 저하, 저혈압, S³, S⁴ 심음,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상승, 폐동맥압 상승 등이 나타난다. 넷째로 체내 수분 축적으로 인한 체중증가, 부종(edema), 소변량 감소 증상이 있다. 다섯째로 조직 관류 저하로 말초 맥박이 감소하고, 차고 축축한 피부, 모세혈관 재충만(Capillary refill) 시간이 지연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여섯째로 불안, 안절부절 못함, 의식 수준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활동 지속성 감소, 피로 호소가 있다."
1.3. 간호목표 예시
간호목표 예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로, "대상자의 말초 부종이 호전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체내 수분 축적으로 발생한 부종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대상자의 활력 징후가 정상 범위이다"라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활력징후의 변화, 특히 맥박, 혈압, 호흡수의 변화가 정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통해 환자의 활력징후를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지속적으로 시간당 소변량이 30cc 이상 유지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신장관류 저하를 개선하여 소변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체액 균형 유지와 신장기능 회복을 위한 목표라고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대상자는 사람, 시간, 장소에 대한 적절한 인식으로 입증되는 명료한 의식을 유지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뇌관류 저하로 발생할 수 있는 의식 수준의 변화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신경학적 증상 관리를 위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대상자의 안정시 산소포화도(SPO2)가 95%를 유지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조직 관류 저하와 이에 따른 호흡기계 증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산소화 상태의 안정화를 위한 목표라고 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대상자는 수포음(crackles)없는 정상 호흡음을 보인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폐울혈과 그에 따른 호흡기계 증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호흡기계 증상 관리를 위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일곱 번째로, "대상자의 말초 맥박이 강하게 촉진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말초 관류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조직관류 개선을 위한 목표라고 볼 수 있다.
여덟 번째로, "대상자의 피부가 따뜻하며 건조하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말초 관류 저하와 체내 수분 축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또한 조직관류 개선과 체액 균형 유지를 위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아홉 번째로, "대상자는 피로감이 나아졌다고 말한다"는 목표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전반적인 증상 호전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의 주관적인 자각 증상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열 번째로, "교육 후 대상자는 약물 복용시 주의점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는 목표는 환자 교육을 통해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대상자의 질병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