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제마케팅 디즈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즈니 해외진출 개요
1.1. 디즈니사의 해외진출 배경
1.2. 디즈니랜드의 해외 진출 현황
2. 도쿄 디즈니랜드 사례
2.1. 도쿄 디즈니랜드 설립 과정
2.2. 도쿄 디즈니랜드의 운영 현황
3. 유로 디즈니랜드 사례
3.1. 유로 디즈니랜드 설립 과정
3.2. 유로 디즈니랜드의 경영 방식
3.3. 유로 디즈니랜드의 실패 요인
4. 홍콩 및 상하이 디즈니랜드
4.1. 홍콩 디즈니랜드 설립 계획
4.2. 상하이 디즈니랜드 건립 논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즈니 해외진출 개요
1.1. 디즈니사의 해외진출 배경
디즈니사가 해외진출을 고려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디즈니사의 해외진출은 기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어떤 사업이든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는 없으며, 일정 수준까지는 수익이 발생하지만 그 후에는 경쟁기업들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업 간 경쟁이 발생하면서 시장 규모는 거의 변하지 않은 채 경쟁자가 많아져 수익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해결책은 두 가지다. 보통 그 사업을 포기하고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거나, 아직 시장성이 있는 다른 나라로 가서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현재 미국의 경우 많은 테마파크들이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디즈니사도 해외진출을 고려하게 되었다. 이미 미국에는 Magic Kingdom, Sea World 등 다양한 대형 테마파크가 존재한다. 따라서 디즈니사는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그동안의 미국 시장에서의 경영활동 경험을 토대로 시장성이 있는 다른 나라에 진출하여 사업을 시도하게 된 것이다.
즉, 디즈니사 역시 국내시장의 성장한계, 과도한 경쟁, 규제 등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국내에서의 성공에 힘입어 해외시장으로의 발걸음을 내디디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디즈니사는 그동안 미국에서의 성공에만 만족하지 않고, 많은 디즈니 캐릭터와 만화 등의 상품들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보다 많은 수익과 이윤을 창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윤극대화는 물론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해 디즈니사만의 브랜드 가치와 노하우, 차별적인 기술을 통해 해외진출을 시도하게 되었다.
즉, 디즈니사는 국내시장의 한계, 경쟁심화, 그리고 기존 사업의 확장 및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을 고려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디즈니랜드의 해외 진출 현황
디즈니랜드의 해외 진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디즈니사는 1971년에 플로리다 주 올랜도에 '월트 디즈니월드'를 개설하며 해외 진출을 시작했다. 이후 1983년에는 일본 지바현 우라야스시에 '도쿄 디즈니랜드'를, 1992년에는 프랑스 마른-라-발레에 '유로 디즈니랜드(현재 '디즈니랜드 파리')'를 개장하였다.
도쿄 디즈니랜드의 경우, 디즈니사는 공원이나 부지에 대한 지분을 소유하지 않고 일본 오리엔탈 랜드 컴퍼니와의 계약을 통해 공원의 계획, 설계, 제조, 건설 등을 지원하고 입장료 수입과 상품 및 음식물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로 받는 방식으로 진출하였다.
반면 유로 디즈니랜드의 경우, 디즈니사는 프랑스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공원과 호텔시설 등에 대한 49% 지분을 확보했다. 또한 총 수익의 3~6%에 해당하는 경영 수수료와 입장료 수입의 10%, 음식물 매출액의 5%를 로열티로 받기로 했다.
이처럼 디즈니사는 일본과 유럽 진출 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외 진출을 전개하였는데, 이는 리스크 관리와 수익 창출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2. 도쿄 디즈니랜드 사례
2.1. 도쿄 디즈니랜드 설립 과정
도쿄 디즈니랜드는 1983년 일본의 대기업인 오리엔탈 랜드 컴퍼니(Oriental Land Company)사와 디즈니사의 계약에 따라 설립되었다. 디즈니사는 이곳에 자금을 제공하지 않았고 공원 및 부지에 대한 소유권도 갖지 않았다. 대신 디즈니사는 총괄적인 계획, 설계, 제조, 건설 기간 동안의 훈련과 완공 후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받았다. 또한 입장료 수입의 ...
참고 자료
“디즈니 랜드”, 『네이버 백과사전』
“유로 디즈니”,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블로그, “테마파크”, (http://blog.naver.com/joongsun?Redirect=Log&logNo=20036061049)
네이버 블로그, 『한국적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정책방향』, (http://cafe.naver.com/spotop.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541)
김주헌, 『국제마케팅』, 문영사
다음 카페, “디즈니랜드 사례”, (http://cafe.daum.net/dongatm)
디즈니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