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구기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탐색적 연구, 기술적 연구, 설명적 연구
1.1. 연구 목적과 방법에 따른 연구 유형
1.2. 탐색적 연구의 특징과 용도
1.3. 기술적 연구의 개념과 목적
1.4. 설명적 연구의 의의와 필요조건
2. 탐색적 연구의 사례와 개요
2.1. 탐색적 연구를 위한 사례 선정 기준
2.2. 분노조절장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2.3. 중고차 시장 허위·미끼 매물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3. 연구 설계: 연구 질문과 변수 설정
3.1. 연구 질문의 개념과 작성 방법
3.2.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개념 및 설정
3.3. 사례별 연구 질문과 변수 설정
4. 자료 수집 및 확보 방안
4.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자료 유형
4.2. 통계 자료와 면담 자료의 확보 방안
4.3. 개방형 면담 질문지 작성의 의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탐색적 연구, 기술적 연구, 설명적 연구
1.1. 연구 목적과 방법에 따른 연구 유형
연구 목적과 방법에 따른 연구 유형에는 크게 탐색적 연구, 기술적 연구, 설명적 연구가 있다.
첫째, 탐색적 연구는 연구문제나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 실시하는 예비 조사의 성격을 지닌다. 탐색적 연구는 연구문제를 파악하고 연구의 우선순위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실제로 연구문제에 대한 탐구가 가능할 것인지를 미리 가늠할 수 있다. 탐색적 연구에는 문헌조사, 경험자 조사, 특례 조사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둘째, 기술적 연구는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상황을 예측하는 조사이다. 기술적 연구는 탐색적 연구와 달리 본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다만 기술적 연구는 단순히 현상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은 없다. 기술적 연구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가 있다.
셋째, 설명적 연구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명적 연구에서는 가설 설정이 필수적이며, 실험설계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따라서 설명적 연구는 단순히 현상을 기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제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탐색적 연구나 기술적 연구와 구분된다.
1.2. 탐색적 연구의 특징과 용도
탐색적 연구의 특징과 용도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는 연구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할 때 주로 실시하는 연구이다. 이는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예비조사의 성격을 지닌다. 탐색적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를 파악하고 연구의 우선순위를 수립할 수 있다. 즉, 연구문제에 대한 사전적인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할 경우 탐색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어떤 주제를 연구문제로 설정했을 때 실제로 이 연구문제에 대한 탐구가 가능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
탐색적 연구는 주로 선행 자료나 문헌을 재검토하는 문헌조사, 연구 분야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경험자 조사(전문가의 의견 조사), 연구자가 특히 관심을 갖는 현상 중에서 특정한 사례를 선택해서 이것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특례 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탐색적 연구의 단점은 연구 질문에 대한 충분한 답을 주지는 못하며, 연구결과들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하지만 탐색적 연구는 답에 대한 힌트를 제시하거나 구체적이고 만족할 만한 답을 얻기 위해 필요한 연구방법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3. 기술적 연구의 개념과 목적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의 개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기술적 연구는 사건이나 상황을 객관적으로 기술(describe)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연구를 통해 과학적 관찰을 하고 관찰한 내용을 기술하게 된다. 기술적 조사는 사회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발전시키기에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지만, 결코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우선적인 관심이 없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의 정신질환자들 가운데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여 대상자들의 생활환경에 대한 수준, 제때 필요한 약을 복용할 수 있는 사람의 비율, 평균 재정수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대규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특별한 사회문제의 영역에 대해서 정의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많은 표본조사연구(survey)들이 기술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표본연구(survey research)는 집단의 특성을 서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전체적 접근을 피한다. 기술적 연구는 양적 연구 외에 민족학(ethnography), 기관에서의 사례연구(case study) 등과 같은 질적 연구들 가운데에도 많이 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서 '기술'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1.4. 설명적 연구의 의의와 필요조건
설명적 연구(explanatory research)의 목적은 원인을 밝힘으로써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설명적 연구는 가설 형성을 필요로 한다. 가설은 확실한 요인들(factors) 사이의 관계에 관해서 측정 가능한 진술들이다. 이러한 진술들은 "만약 X라면 Y다."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연구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나는 증거에 따라 이러한 가설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수 있다.
설명적 연구에서는 인과관계(causality)를 형성하기 위해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J, Song., M, Kim., & Bhattacherjee, A., “Social Science Research: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In Korean]” (2014). KOCW Open Access Textbooks.
https://ko.surveymonkey.com/mp/descriptive-research/
https://www.nocutnews.co.kr/news/5419263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96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신종익, 임상준, 2004.11.29. <행정조사의 실태와 개선 방안>
행정논총 제43권 제4호, 강은숙, 이달곤, <정책사례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
조선비즈, 권오은, 2020.10.15. 광화문 집회금지 행정소송 3라운드.. 거리두기 1단계 vs 코로나 위험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