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르몬
1.1. 콜레스테롤 유래 호르몬의 체내작용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생성한다. 콜레스테롤에서 유도되는 호르몬에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체내작용을 갖는다."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대표적으로 코르티솔(cortisol)이 있다. 코르티솔은 대사 효과로 단백질 분해와 단백질로부터 당 신생을 촉진하여 혈당을 상승시키며, 과잉 분비는 쿠싱 증후군을 초래한다. 또한 스트레스 적응 효과로 단백질과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켜 혈당과 유리 아미노산의 농도를 높여 조직 재생에 활용되게 한다. 더불어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로 알레르기나 자가 면역질환의 치료, 조직이식 거부반응 예방에 사용된다. 그러나 감염에 취약해지며 위궤양, 고혈압, 죽상경화증,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전엽 억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대표인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와 칼륨 배출을 촉진하여 체내 전해질 양을 조절한다. 또한 출혈 등으로 혈압이 낮아지면 신장에서 레닌이 분비되고 알도스테론 작용으로 나트륨 재흡수가 증가하여 체액량과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높인다."
안드로겐의 대표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정소의 리디히세포에서 분비되며, 세르톨리세포를 자극하여 남성 생식기 분화와 기능을 유지한다. 또한 성기 주위 체모 분포, 음성 변화, 여드름, 골격 성장, 성욕 촉진, 단백질 동화, 뼈 성장 및 골단 선 폐쇄 등의 작용을 한다."
에스트로겐은 주로 난소에서 생성되며, 월경 주기 조절, 제2차 성징 발현, 자궁내막과 성기 상피세포 증식, 배란 유도, 임신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 등의 역할을 한다. 에스트로겐은 단백질, 지질, 무기질 대사와 여러 효소 작용에도 영향을 준다."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은 난소의 황체와 태반에서 주로 생성되며, 자궁 내막을 성장시켜 수정란 착상을 준비하고, 임신 유지를 위해 자궁 운동을 억제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또한 유방의 젖 생산을 증가시키지만 일부 평활근에 작용하여 임신 중 변비와 속쓰림을 초래할 수 있다."
1.2. 당질 코르티코이드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대표적인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체내작용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 효과로 단백질 분해와 단백질로부터 당 신생을 촉진하여 혈당을 상승시킨다. 코르티솔의 과잉 분비는 쿠싱 증후군을 초래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 고혈당과 단백질 부족을 들 수 있다.
둘째, 스트레스 적응 효과로 단백질과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여 혈당과 유리 아미노산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조직의 재생에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가 있어 합성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의 치료나 조직이식의 거부반응을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다만 합병증으로 감염에 취약하며, 위궤양, 고혈압, 죽상경화증,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전엽을 억제하여 조직의 비가역적 위축을 유발할 수 있다.""
1.3.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체내작용은 다음과 같다.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대표적인 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와 칼륨의 배출을 촉진하여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 역할을 한다. 출혈 등으로 인해 혈압이 낮아지면 신장에서 레닌이 분비되고, 이는 알도스테론 분비를 증가시켜 신장에서 나트륨 운반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이로 인해 나트륨이 재흡수되고 물도 콩팥에서 흡수되어 체내에 보유되어 혈압이 정상범위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알도스테론은 체내 전해질 균형과 혈압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1.4. 안드로겐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이 대표적인 호르몬으로, 주로 정소에서 리디히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이 호르몬은 남성의 이차 성징 발현과 성기능, 성욕 촉진, 근육 및 골격 발달, 단백질 동화 작용 등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테스토스테론은 정소의 간질 세포에서 분비되며, 혈중에서 성호르몬 결합 단백질인 알부민 등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이렇게 운반된 테스토스테론은 정소 세관 내의 세르톨리 세포를 자극하여 정세관과 정세관 사이 조직의 리디히세포에서 정자 생성을 촉진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은 남성 외성기의 발달과 주위 체모 분포, 음성 변화, 여드름 등의 남성 이차 성징 발현에 관여한다.
더불어 테스토스테론은 단백질 동화 작용과 뼈의 성장, 골단 선 닫기 등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의 과잉 분비는 음성적 피드백 작용으로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안드로겐은 남성의 생식기능과 이차 성징 발달, 골격 및 근육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라고 할 수 있다.
1.5.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은 난소에서 주로 분비되는 여성 성 호르몬으로, 난포기와 황체기에 농도가 높아진다. 에스트로겐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제 2차 성징의 발현, 월경 주기의 유지, 자궁내막 및 외성기의 발육 촉진, 그리고 임신 중 태아와 여성의 생리적 변화에 관여한다.
난소 안에 있는 난포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 호르몬의 자극에 따라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증가하며, 이는 황체 형성 호르몬과 함께 최대에 도달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