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교재 선정의 중요성
오늘날 교육에서 교재는 교육의 내용이자 학습자와 교사를 연계해 주고 있는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교재의 가장 큰 기능은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이겠지만 그 외에도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과정, 교수법과 유기적인 관계가 있다고 한다. 특히 국외의 한국어 교육 같은 경우는 외국이라는 환경속에서 실생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 즉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가 담당한다는 것을 고려하자면, 교재는 어쩌면 교육 전체의 성패를 좌우하는 교육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1.2. 교재 평가의 필요성
교재 평가의 필요성은 이전의 교재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적절한 교재를 선정하기 위해서이다. 좋은 교재를 선택하는 것은 학생의 학습 능력 향상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다운(2009)은 좋은 교재를 선택할 때 우선적으로 해야 할 절차로 이전의 교재를 평가하는 것이며, 교재 평가는 더 나은 교재를 선택하기 위한 교육적인 활동 지침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교재 평가는 보다 나은 교재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이자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2.1. 교재 선택과 평가 기준
교재 선택과 평가 기준에는 총 7가지 항목이 있다. 첫째, 서지적 측면으로 제목, 단계, 출판연도, 저자, 출판사, 출판인, 쪽수, 가격 등을 검토한다. 둘째, 교재의 목적과 목표이다. 교재가 일관되고 명확한 원리를 밝히고 있는지, 언어적 기술과 문화적 이해를 어떻게 목표로 하고 있는지, 학습자와 교사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유연성과 융통성이 있는지 등을 살펴본다. 셋째, 주제이다. 학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주제인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주제의 배열이 적절한지, 주제의 유형과 종류, 등급 설정의 타당성, 내용의 정확성과 실제성, 문화적 통합 등을 평가한다. 넷째, 어휘와 문장 구조이다. 어떤 문법/어휘 항목을 담고 있는지, 양이 적절한지, 문법 규칙 제시 방식, 어휘 배열 기준, 어휘 도입 방식, 구문의 길이와 복잡성, 학습자 수준과의 적절성, 새로운 어휘 반복도 등을 살펴본다. 다섯째, 연습과 활동이다. 학습 목표와의 부합성, 학습자가 배운 내용 포함 여부, 학습자 목표와의 적합성, 효과성, 의사소통 능력 신장 여부, 다양성, 학습 전략 개발 등을 고려한다. 여섯째, 외형적 특성이다. 표지, 크기, 가격, 구입 용이성, 부속 자료, 사용에 필요한 장비, 지질과 색상 등을 확인한다. 일곱째, 문화이다. 성취 문화 중심인지, 일상 문화를 포함하는지,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을 취하는지, 문화 내용 제시 방식, 문화 관련 활동 구성의 적절성 등을 살펴본다."
2.2. 구성 요소별 평가 기준
2.2.1. 서지적 측면
서지적 측면은 교재의 외형적인 정보로, 제목, 단계, 출판연도, 저자, 출판사, 출판인, 쪽수, 가격 등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서지적 정보는 해당 교재의 전반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교재의 제목은 해당 교재의 목적과 내용을 대략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단계나 출판연도는 교재의 수준이나 최신성을 나타낸다. 또한 저자와 출판사 정보는 교재 개발의 권위와 신뢰성을 암시한다. 쪽수와 가격 정보는 교재의 분량과 학습자의 경제적 접근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재 선택 시 이러한 서지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2.2. 교재의 목적과 목표
교재의 목적과 목표는 교재가 추구하는 원리와 학습자들이 습득해야 할 언어적 기술 및 문화적 이해 정도를 보여준다. 교재의 머리말에는 교재의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