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V-(으)니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문법 교육
1.1. 한국어 문법의 중요성
1.2. 문법 교육의 접근법
1.3. 'A/V-(으)ㄹ 것 같다'의 표현
1.3.1. 의미 정보
1.3.2. 형태통사 정보
1.3.3. 화용 정보
1.3.4. 관련 문법 정보
1.4. '-는 줄'의 표현
1.4.1. 의미 정보
1.4.2. 형태통사 정보
1.4.3. 화용 정보
1.4.4. 관련 문법 정보
1.5. 문법 교육의 방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문법 교육
1.1. 한국어 문법의 중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한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복합표현은 여러 형태의 통합형이므로 국어 문법의 기술 대상이 아니나, 한국어교육에서는 이러한 표현들이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기여하는 역할이 크며, 학습상의 비중이 높으므로 문법 범주에 함께 포함시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에게 어려운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한국어 습득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문법 교육의 접근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할 때, 문법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복합표현은 여러 형태의 통합형이므로 국어 문법의 기술 대상이 아니나, 한국어교육에서는 이러한 표현들이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기여하는 역할이 크며, 학습상의 비중이 높으므로 문법 범주에 함께 포함시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문법 접근적 성격보다 어휘 접근적 성격이 강한 문법 항목을 대상으로 초·중급에 적합한 PPP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가르쳐야 할 여러 가지 정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3. 'A/V-(으)ㄹ 것 같다'의 표현
1.3.1. 의미 정보
"A/V-(으)ㄹ 것 같다"는 주로 말하는 사람의 주관적이며 주관적인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 등에 붙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 표현은 추측의 의미를 전달하지만, 때에 따라 완곡하게 말하거나 겸손하게 말하는 등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표현인 '-ㄴ/는/ㄹ 모양이다', '-ㄴ가 보다' 등은 객관적이고 간접적인 정보에 근거한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ㄹ 것 같다"와 이들 표현 간의 차이를 학습자들에게 명확히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1.3.2. 형태통사 정보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유무에 따라 '-(으)ㄹ 것 같다'가 달리 활용된다" 먼저 받침이 있는 경우 '-을 것 같다'를 사용하고,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경우에는 '-ㄹ 것 같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찾다'...
참고 자료
서울대 한국어 2A Student's Book & Workbook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 (주)투판즈 / 2019.9.1
서울대 한국어 1A ~ 6B 교재
연세 한국어 1-1 ~ 6-2 교재
서강 한국어 1A ~ 6B 교재
세종 한국어 1 ~ 8 교재
신은희(2003), 한국어 문법 교수 방안 연구, 연세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선(2004), 기능에 기초한 한국어 문법 교수 방안 연구, 연세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윤희(2013), 한국어 사실인식 표현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