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조기 양막 파열(PPROM)은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PPROM의 발생률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발생률도 높은 편이다. 따라서 PPROM으로 자연분만을 한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문헌 고찰을 하고 PPROM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PPROM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중재 방법을 제시하며, 산욕기 동안 산모가 필요로 하는 자가 교육 내용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연구의 목적
조기 양막 파열(PPROM)로 자연분만(NSVD)을 한 산욕기 기간 산모를 대상으로 문헌 고찰하며 PPROM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PPROM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간호 문제를 알아보고 중재 방법을 계획하며 산욕기 동안 필요한 자가 교육 내용을 알아보고자 본 사례로 연구를 선정하였다.
2. 문헌고찰
2.1. 조기 양막 파열의 정의
조기 양막 파열이란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임신 37주 이전에 조기 양막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며칠에서 몇 주 후에 분만이 시작된다. 조기 양막 파열은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산모에게는 감염성 질환인 융모양막염의 위험이 높아지고, 복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융모양막염의 증상으로는 발열, 자궁 압통, 냄새나는 양수, 농성의 질 분비물, 오한 등이 있다. 자궁 내 감염은 태아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태아에게는 호흡곤란증, 뇌실 내 출혈, 동맥관개존증, 괴사성 장염 등의 조산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2.2. 원인 및 위험 요인
조기 양막 파열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조산아 출산 경험이 조기 양막 파열의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조산 경험이 있는 산모의 경우 임신 38주 미만에 조기 양막 파열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과거 조산 경험은 자궁 경부 약화와 관련이 있어 이후 임신에서 조기 양막 파열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성관계 역시 조기 양막 파열의 위험 요인이다. 성관계는 상행성 감염을 유발하여 자궁 내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조기 양막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임신 중 성생활은 주치의와 상의 후 결정해야 하며, 임신 말기로 갈수록 주의가 필요하다."
셋째, 자궁 내압 증가는 조기 양막 파열의 원인이 된다. 쌍둥이 임신이나 다태아 임신, 다량의 양수, 자궁근종 등의 경우 자궁 내 압력이 증가하여 조기 양막 파열의 위험이 높아진다."
넷째, 임신성 고혈압, 당뇨 등의 동반 질환도 조기 양막 파열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은 임신부의 전신 상태를 악화시켜 조기 양막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
다섯째, 양막 단백분해효소 증가와 관련된 유전적 요인도 조기 양막 파열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양막의 약화와 조기 파열이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조기 양막 파열의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에는 과거 조산 경험, 성관계, 자궁 내압 증가, 동반 질환,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과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임신부의 건강 관리와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
2.3. 증상 및 합병증
조기 양막 파열의 증상 및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질로부터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다. 투명하거나 옅은 노란색의 액체가 분출되듯이 또는 조금씩 흘러나오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자궁 수축이 동반되는 경우 자궁 압통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질 또는 자궁 내 외상이 있는 경우 출혈을 보일 수도 있다.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자궁 내 감염이다. 조기 양막 파열 후 많은 경우 곧바로 진통이 발생하지만, 진통이 시작되지 않고 12-24시간이 경과하면 융모양막염(자궁 내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융모양막염은 산모에게 발열, 자궁 압통, 냄새나는 양수, 농성의 질 분비물, 오한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감염이 진행되면 복막염으로 이어져 산모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자궁 내 감염은 태아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된다.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의 또 다른 합병증으로는 조산아 합병증이 있다. 만삭 전 양막 파열로 분만하는 경우 신생아는 호흡곤란증, 뇌실 내 출혈, 동맥관 개존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임신 26주 이전에 조기 양막 파열이 발생하면 신생아 사망률이 37%까지 높아진다.
그 밖에 전치태반의 위험도 2-3배 가량 높아지고, 산후 자궁내막염도 자주 발생한다.
2.4. 진단 방법
조기 양막 파열의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균적인 질경검진, 나이트라진 검사, 양치검사로 이루어진다. 질경검진을 통해 양수가 유출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질 분비물과 양수의 산도 차이를 이용하여 양수를 식별하는 검사이다. 양치상 검사는 분비물을 유리표면에 문질러 양치엽상이 나타나면 양수로 판단할 수 있는 검사이다. 자궁경부의 내진은 감염의 위험이 있어 금기이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이 의심되나 질내의 분비물 누출이나 울혈이 없다면 진단을 위해 다른 검사가 필요하다. 초음파로 양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양수 PH7.0~7.3 (노란색>녹색), Actim test, 양수 속에 고농도로 있는 IGFBP-1(insulin-like growth binding protein-1)이 검출되어 2줄이 나오면 양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2.5. 치료 및 간호
조기 양막 파열 환자의 치료와 간호는 임신 주수와 태아의 폐 성숙도에 따라 달라진다. 37주 미만의 조기 양막 파열의 경우에는 분만을 지연시키는 것이 좋다. 태아의 폐 성숙도를 고려하여 덱사메타손이나 베타메타존과 같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