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비자행동 트렌드
1.1. 코로나 19 이후 가정 내 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
코로나 19(COVID 19) 이후 "가정 내 생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코로나 19의 발병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이 선포되면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특히 재택 근무의 증가, 외부 활동의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등으로 인해 사람들이 가정에 머무르는 시간이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홈코노미(Home Economy)라 불리는 새로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게 되었다.
홈코노미란 실내 또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들을 지탱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산업들로는 인테리어 및 리빙제품 산업, 홈 피트니스 산업, 음식 배달 산업, 신선식품 및 반조리제품 배달 등이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재택 근무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실내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났다. 홈 오피스, 홈 카페, 홈 피트니스 존 등으로 실내 공간을 전환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된 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
특히 홈 피트니스 산업은 대표적인 홈코노미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실내 피트니스 시설의 이용이 어려워지자,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운동할 수 있는 홈 피트니스 솔루션을 찾게 되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홈 피트니스 및 콘텐츠 기업인 펠로톤(Peloton)이다. 펠로톤은 2020년 매출이 약 7억 달러까지 상승하며 2019년 대비 180% 이상 성장했다. 이처럼 펠로톤과 같은 홈 피트니스 기업들은 "홈코노미의 넷플릭스"로 불리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가정 내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실내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인테리어 및 리빙제품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사람들이 자택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온라인 가구 및 인테리어 제품 기업인 웨이페어(Wayfair)의 주가는 코로나 19 이후 약 10배 가까이 상승하였다. 이는 재택 근무와 가정 내 여가 활동이 증가하면서 홈퍼니싱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종합해보면, 코로나 19로 인한 "가정 내 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는 홈코노미라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내었다. 특히 홈 피트니스와 인테리어 및 리빙제품 산업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러한 추세는 코로나 19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2. 동네 생활권 및 로컬의 중요성
한편 가정에 부여하는 소비자의 중요성이 제고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소비자들이 가정 주위의 생활 반경 – 로컬 생활 반경을 중시하게 되었다는 점 역시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집에 머물게 되면서,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로컬 상점들을 찾게 된 것이다. 여러 사람들과 부대껴야 하는 대형 쇼핑몰보다는 소규모의 로컬 상점을 찾아 쇼핑하기를 원하며, 지역 상권을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움직이기를 원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처럼 동네 생활권이 중요한 키워드로 부상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일종의 "로카보어(locavore,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이용해 만든 음식만을 먹는 사람)" 운동이 소비자 사이에서 퍼져나가게 되면서 이에 부응하는 소규모 브랜드와 상점들도 성장하고 있다.
2. 프랜차이즈산업 트렌드
2.1. 디지털화와 기술 혁신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온라인 판매 채널을 구축하고,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제공,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등 다양한 디지털 전략을 도입하여 고객과의 접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