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윤리적 딜레마의 발생 원인과 사례를 정리하고 그 해결책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2.1. 비밀보장에서의 딜레마
2.2. 자기결정에서의 딜레마
2.3. 동료 간 갈등
2.4. 진실 말할 의무
2.5. 제한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
2.6. 온정주의
2.7. 서비스 과실
3. 윤리적 딜레마 해결방안
3.1. 윤리 원칙 우선순위의 설정
3.2. 자기성찰
3.3. 팀 협력과 상담
3.4. 전문적 교육과 자기 발전
3.5. 윤리적 결정의 준거틀 활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는 우리 사회의 복지적 안녕을 보장하는 중요한 수단이고, 이것이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선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의 질적 수준도 지속해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에 관련된 여러 분야 중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이 클라이언트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사회복지실천 현장 분야는 사회복지의 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이므로 우리 사회는 이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지난 교과과정에서 사회복지실천론 과목을 배우며 사회복지실천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실천기술을 학습한 바 있고, 그중에서도 윤리적 딜레마 부분에 깊은 인상을 받았기에 이하의 본문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윤리적 딜레마의 발생 원인과 사례를 정리하고 그 해결책에 대해 써보고자 한다.
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2.1. 비밀보장에서의 딜레마
비밀보장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동의 없이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정보를 누설하지 않는 원칙을 의미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학대, 제3자에 의한 위협 상황에 놓여있는 경우 또는 자살시도 및 자해를 하게 될 경우 비밀 보장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법적 명령에 의해 관련된 정보를 당국에 보고하는 경우 또는 교육과 슈퍼비전을 위한 전문가 회의 등 전문적 이유에서도 클라이언트 정보 공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로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제3자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경우 제3자를 보호하기 위해 정보를 공개해야 할지에 대한 딜레마를 겪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비밀 보장은 사회복지사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의무 중 하나이지만, 다른 이해관계자의 안전이나 복지를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그 의무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딜레마 상황에서 어떠한 결정이 가장 바람직한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2.2. 자기결정에서의 딜레마
클라이언트 자기결정은 클라이언트가 자신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스스로 선택과 결정할 수 있는 권리, 욕구를 인정하는 윤리 원칙을 의미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가 너무 어린 경우, 정신 연령이 낮아 스스로 결정할 능력이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 결정이 타인 또는 사회에 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으면 사회복지사는 어느 범위까지 클라이언트 자기 결정을 한정할지 딜레마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신적 장애가 있어 스스로 결정할 능력이 부족한 클라이언트가 위험한 행동을 하려 할 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할지, 아니면 클라이언트와 타인의 안전을 위해 개입할지 고민하게 된다. 이처럼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사회복지사의 보호의무 사이에서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사는 상황에 따라 어느 선까지 개입할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2.3. 동료 간 갈등
동료 간 갈등은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자주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 중 하나...
참고 자료
김용민(2011).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박지영(2020).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오정수(2022).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교안
崔錦株.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2001. 대한민국
오혜경.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인 의사결정. 서울: 북카페, 2005.
[사회복지개론]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 저. (2019)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