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수학습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교육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1.2.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1.3.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변화
1.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인재 역량
2.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2.1. 관리적 접근
2.2. 치료적 접근
2.3. 자유교육적 접근
2.4. 교사의 역할 변화
3. 유아교육평가 동향
3.1. 전통적 평가방식의 한계
3.2. 대안적 평가 방법의 등장
3.3. 평가 방법의 특징과 활용
4. 표집의 개념과 의의
4.1. 양적연구의 관점에서 본 표집
4.2. 질적연구의 관점에서 본 표집
4.3. 양적연구를 위한 표집 방법
4.4. 질적연구를 위한 표집 방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교육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제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기술의 융합, 기술의 지능화, 기술의 기하급수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정보기술과 기존 산업 및 서비스가 융합되어 신기술, 네트워크로 세상이 연결되고 사물이 지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산업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지능정보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가상현실, 로봇 등이 있다. 사물 인터넷은 인터넷을 통해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가정, 교통, 도시 등 모든 분야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실시간 정보 교환이 가능해진다.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하게 되는 기술이다. 가상현실은 인공기술로 만든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환경이며, 교육, 미디어, 의료 등의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로봇은 인간의 신체적 기능을 높여주거나 위험한 직업을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노동·일자리 분야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20년까지 사무·행정, 제조·생산 분야의 일자리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비즈니스·금융 및 경영, 컴퓨터·수학 분야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 분야는 일자리가 다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긍정적으로는 지능정보기술과 여러 분야의 모델이 결합되어 새로운 직업이 탄생할 수 있지만, 부정적으로는 상당수의 직업 소멸로 인한 실업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차 산업혁명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 전반의 혁신적인 변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1.2.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분야의 변화이다. 사물 인터넷은 인터넷을 통해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로, 가정, 교통, 도시 등 모든 분야가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건강 상태 모니터링으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실종된 사람을 찾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침해와 조직에서의 감시가 우려된다.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것으로, 가상현실은 인공기술로 만든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환경이다. 가상현실은 인간의 경험의 폭을 크게 확장하며 교육, 미디어, 의료 등의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로봇은 위험한 직업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인간의 신체적인 기능을 높여주기도 한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기술의 융합, 지능화, 기하급수적 성장으로 나타나며, 이는 모든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이다.둘째, 노동·일자리 분야의 변화이다. 2020년까지 사무·행정, 제조·생산 분야의 일자리가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비즈니스·금융 및 경영, 컴퓨터·수학 분야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교육 분야는 일자리 증가가 다소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긍정적인 측면은 4차 산업혁명의 지능정보기술과 여러 분야의 모델이 결합하여 직업 혁신으로 새로운 직업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은 상당수의 직업 소멸로 실업의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전문가는 주요 직업 중 인공지능(AI)의 대체율이 가장 낮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다.
1.3.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변화
4차 산업혁명은 교육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교육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먼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학교교육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교실수업과 교과서 중심의 교육은 점점 약화될 것이다. 대신 온라인 교육과 개인 맞춤형 교육이 확대될 것이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학습할 수 있게 되며, 개인의 수준과 흥미에 맞추어 교육내용과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교사의 역할 또한 변화할 것인데, 지식전달자에서 학습코칭자로, 학습조력자로 역할이 변화할 것이다.
둘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내용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인공지능, 디지털리터러시, 창의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내용과 방법이 강조될 것이다. 기존의 개별 교과 중심에서 벗어나 융합교육이 확대될 것이다.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등 21세기 핵심역량 교육이 강조될 것이다.
셋째, 교육평가 방식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지필고사 중심의 전통적인 평가방식에서 벗어나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자기 평가 등 다양한 평가방식이 도입될 것이다. 단순한 지식 및 기능 평가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역량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능형 평가 시스템이 등장할 것이다.
이와 같이 4차 산업혁명은 교육 분야에 ...
참고 자료
새로운 미래가 온다 (다니엘 핑크, 한국경제 신문사, 2007)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교육의 핵심 키워드 (김지영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교육학 전공 교수, 에스엠라운지)
박남기(2016)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이지헌, 가르치는 일이란 무엇인가?, 교육과학사
조벽.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 해냄
김종원,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2010
조용환(2004). 질적 연구의 방법과 사례, 서울 : 교육과학사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김윤옥외 6명(2006).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이은해 외 공저(2009), 아동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최성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 2005
반원희, 교육연구방법과 통계분석, 양서원, 2011
제니퍼 메이슨, 김두섭 역(2009) /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
박성희(2008)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도서출판 원미사
유택열(2005) / 실천연구와 방법,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