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모세오경의 이해
1.1.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는 다음과 같다. 모세오경은 원래 하나의 책으로 기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세오경은 한 명의 저자, 즉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는 모세오경 내에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후기 성경 저자들과 성경 전체 내에서 모세오경의 저작권이 모세에게 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세오경은 역사적인 서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창세기 1-11장이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구성하고 있다. 모세오경의 저자는 모세이지만, 성령의 감동 아래 그의 기록 목적과 하나님의 의도가 일치하고 있다. 이처럼 모세오경은 한 권의 책으로 기록되었으며, 모세라는 한 명의 저자에 의해 작성되었다.
1.2. 모세오경의 역사적 맥락
모세오경의 역사적 맥락은 출애굽 시기와 가나안 정복 초창기로 볼 수 있다"" 모세는 이 시기에 오경을 기록하였다"" 모세의 주요한 관점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언약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리고 모세오경에는 시내산 언약과 더 나아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성취된 새 언약이 연결되어 있다""
모세는 위대한 우주의 창조주이자 역사의 주관자로서의 하나님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모세오경의 역사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이 아닌 하나님의 구속역사요, 그들을 통한 세상의 구속의 역사임을 밝히고 있다""
모세오경에 기록된 사건들은 대부분 제한적이고 국지적으로 일어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천지창조나 홍수 기사와 같은 전 우주적인 규모의 사건도 포함되어 있다""
1.3. 모세오경의 신학적 주제
모세오경의 신학적 주제는 창조와 죄의 역사, 족장들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시내산 언약, 제사와 예배, 성결과 윤리 규범, 광야 생활과 새로운 지도자에 대한 준비로 구성된다""
먼저 창세기 1-11장은 창조와 죄의 역사를 다룬다. 세일해머는 이 부분이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형성한다고 본다. 저자의 신학적 관심사는 첫째로 족장들의 하나님과 시내산 언약의 하나님을 세상의 창조주와 연결시키고, 둘째로 족장들의 부르심과 시내산 언약의 목적이 창조에 있어서 하나님의 원래의 목적을 재성취시키는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창세기에서 다루는 언약은 하나님의 새 창조의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출애굽기와 레위기에서는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시내산 언약, 그리고 제사와 예배, 성결과 윤리 규범이 다루어진다. 세일해머는 성막이 아담의 범죄로 잃어버린 하나님과 인간의 교제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본다. 레위기에서는 '거룩함'이 중심 주제로, 제사와 백성들의 삶의 거룩을 유지하기 위한 명령이 주어진다""
민수기에서는 광야 생활과 새로운 지도자에 대한 준비가 언급된다. 특히 저자는 민수기를 이스라엘이 가나안으로 출발하는 과정과 율법의 가치 및 정당성을 알리기 위한 서술로 이해한다. 반항적인 죄와 율법에 순종해야 함이 강조되며, 언약을 지키는 백성의 축복과 지도자들의 역할이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신명기에서는 모세의 회고와 마지막 격려, 새로운 지도자 여호수아와의 언약이 등장한다. 세일해머는 신명기를 오경의 주석으로 보며, 모세가 율법 준수를 통한 하나님의 축복을 말함으로써 에덴에서 잃어버린 선과 악의 회복을 기록한 것으로 이해한다. 특히 아브라함과 모세의 대비를 통해 율법 이전과 이후 하나님 백성의 삶의 특징을 믿음, 불신, 신뢰, 실패로 제시하고 있다""
종합하면, 모세오경의 신학적 주제는 창조와 죄의 역사, 족장들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시내산 언약, 제사와 예배, 성결과 윤리 규범, 광야 생활과 새로운 지도자에 대한 준비로 구성된다. 저자는 이 주제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에덴 동산에서 잃어버린 하나님과의 교제 회복과 선과 악의 회복을 보여주고자 한다.
2. 창세기
2.1. 창세기 1-11장: 창조와 죄의 역사
창세기 1-11장은 창조와 죄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이 부분은 창세기 전체뿐만 아니라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형성하고 있다. 이 장들은 족장들의 서술(창 12-50장)에 대한 배경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세오경의 중심 주제인 시내산 언약(출애굽기-신명기)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
세일해머에 따르면, 모세오경의 저자는 창세기 1-11장이 서론으로 기능하도록 조심스럽게 선택하고 배열하였다. 그는 창세기 1-11장, 즉 11장 26절까지가 12-50장, 즉 11장 27절부터 50장까지의 족장들의 역사 서술에 대한 배경을 만들어주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모세오경 전체의 서론 역할과 모세오경의 중심 주제인 시내산 언약의 배경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저자의 신학적 관심사는 첫째, 족장들의 하나님과 시내산 언약의 하나님을 세상의 창조주와 연결시키고, 둘째, 족장들의 부르심과 시내산 언약의 목적은 창조에 있어서 하나님의 원래의 목적을 재성취시키는 것이다. 즉 언약이 하나님의 새 창조의 방편이라는 것이다.
창세기 12-50장은 아브라함, 이삭, 에서, 야곱과 요셉에 따라 역사적 서술의 형태를 띠며 족장들을 전개하고 있다. 이 전개를 통해 저자는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인 축복의 계획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