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의 생활문화나 식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해 순환기계 질병 중 하나인 심근경색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급성심근경색의 발병환자의 25~35%는 병원 방문 이전에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인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은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므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고, 한번 폐색된 혈관은 수술 후에도 재협착될 가능성이 크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신속한 치료와 수술 후 환자 간호가 어느 때보다 회복과정에 큰 영향을 준다. 갈수록 증가하고있는 심근경색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내가 간호사가 되어서 심근경색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고, 환자의 회복과 질병에 대한 합병증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자 공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선택하게 되었다.
1.2. 가상 시나리오
54세 남성 안oo 씨는 운동 후 갑자기 급심한 흉통을 호소하면서 응급실에 내원했고,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받아 지금 입원 1일째이다. 통증은 줄었지만 지금은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며 본인에게 무슨 다른 문제가 있는 거냐며 걱정하며 간호사에게 묻고 있다.
간호사는 안oo 씨에게 소변이 잘 안나오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심근경색으로 심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면서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도 감소하여 소변량이 적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심근으로의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신장 기능도 함께 저하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이해시켰다. 앞으로 계속 관찰하며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안심시켰다.
2. 문헌고찰
2.1. 급성심근경색의 정의 및 특징
급성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가 발생하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하나이다.""
급성심근경색은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화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며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심근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 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2.2. 원인
급성심근경색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의 진행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되는 것이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대부분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된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2.3. 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 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