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내화재의 특성
1.1.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
1.1.1. 발화단계
내화조건물은 목조건물에 비해서 기밀성이 좋으며, 개구부가 닫혀 있어 산소공급이 없이 출화해도 실내에 있는 산소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산소가 감소함에 따라 화점부근에서 그다지 확대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시기에는 불완전 연소로 인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여 실내에 충만하게 된다. 그 후 화열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결국은 창유리 기타 불안전한 곳을 파괴하게 된다.
1.1.2. 성장단계
성장단계는 창유리 등의 파괴와 문이 열려 대류가 일어나면 연소가 왕성하게 되어 실내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 후 결점 부분의 파괴개소는 점점 크게 되어 그 부분에서 검은 연기와 불꽃이 분출하게 된다. 이때가 바로 전실 화재로 발전하느냐에 달려있다.
즉, 성장단계에서는 대류에 의해 연소가 활발해지면서 실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화재가 점점 확산되어 전실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1.2. 전실화재이후단계(post-flashover fires)
1.2.1. 전실화재단계
전실화재단계는 방 전체가 불에 휩싸인 상태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섬광 현상이 발생하고, 실내 화재의 연소열에 의해 실내 온도가 최고 온도에 도달하여 천장과 보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단계에서는 방 안의 모든 가연성 물질이 복사열에 의해 열분해가 되고 가연성 증기가 발생한다. 또한 방 전체에 불이 났을 경우 소방실 온도가 500~800℃ 정도로 매우 높다. 산소는 거의 0%, CO는 10~20%, CO2는 20% 이상이며, 대피 또는 초기 소화에서 내화성으로 관점이 변화한다. 화재가 발생한 객실에 있던 모든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2.2. 전실화재 이후 단계
전실화재 이후단계에서는 화재 확대 과정, 연소실 내부 상황, 화재 진압 방법 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화재 확대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