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달평가 및 관찰
1.1. 기본생활
1.1.1.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유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 1~2세 영유아들은 스스로 음식을 먹고, 신발을 벗고 신는 등 자립적인 생활습관을 기르기 시작한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영유아들이 스스로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도구 사용에도 능숙해지고 있다. OO는 편식이 없이 음식을 골고루 먹으며, 스스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먹는다고 한다. OOO도 음식을 흘리는 일은 있지만 스스로 도구를 사용하여 먹을 수 있다. 특히 편식 없이 새로운 음식에도 거부감 없이 잘 먹는다고 평가된다.
한편, OO의 경우 아직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과 식사 시간에 교사의 도움을 받아 음식을 먹어야 하며, 음식을 많이 흘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OO도 스스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먹으려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만 1~2세 영유아들은 자신의 음식을 스스로 먹으려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교사나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개별적인 지원과 격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문서에서는 영유아들이 스스로 물건을 정리하고 정해진 자리에 놓는 등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O는 등원 시 가방을 사물함에 정리하고, 낮잠 시간에 사용한 이불을 정리할 수 있다. OOO도 자신의 도시락 통과 양말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영유아들은 점차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고 정리하는 능력을 기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생활습관 형성을 넘어 자아존중감과 자율성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OOO의 경우 여전히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모습을 보인다. 가방과 신발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혼자 하기 어려워하며, 교사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 이처럼 영유아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발달 수준에 맞춘 개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만 1~2세 영유아들은 자신의 일상생활을 스스로 수행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개인차가 크게 나타난다. 영유아의 자립심과 자신감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사와 보호자의 체계적인 지도와 격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2. 규칙 및 습관 형성
'1.1.2. 규칙 및 습관 형성'은 어린 영유아들이 어린이집 및 가정 내에서 습득하는 일상적인 활동들과 관련된 영역이다. 이 시기 영유아들은 점차 규칙과 습관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먼저, 어린이집에 등원하면서 영유아들은 정해진 시간에 등원하고 하원하는 등의 일과 규칙을 익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 문서에서는 OO가 어린이집에 도착하자마자 선생님을 보고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다가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신발을 벗어 신발장에 넣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또한 OO는 전반적으로 정해진 하루일과 시간을 잘 지키는 습관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영유아들은 점차 어린이집의 생활 규칙을 익히고 실천하는 습관을 기르게 되는 것이다.
가정에서도 영유아들은 식사, 간식, 낮잠 등의 일상적인 활동에서 규칙과 습관을 익힌다. 한 문서에서는 OO가 식사 시간에 스스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바르게 앉아 음식을 먹는다고 하였다. 또 다른 문서에서는 OO가 편식이 없고 새로운 음식에도 거부감이 없어 밥 먹는 것에 대해 즐거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이처럼 영유아들은 가정에서 식사, 배변, 휴식 등의 일상생활 속에서 규칙과 습관을 익히고 실천하게 된다.
놀이와 활동에서도 영유아들은 규칙과 습관을 배운다. 한 문서에서는 OO가 정리 음악이 나오면 놀이하던 장난감을 바구니에 넣어 정리하는 등의 습관을 기르고 있다고 하였다. 다른 문서에서는 OO가 자신의 물건을 스스로 정리하고 배변 습관도 잘 지키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처럼 영유아들은 놀이와 활동 속에서 규칙과 습관을 익히고 실천하게 된다.
이처럼 영유아기에는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놀이와 활동을 통해 다양한 규칙과 습관을 익히고 실천하게 된다. 이는 영유아들이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