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 중심 사례관리(개입)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해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례관리 개념
3. 가족 중심 사례관리(개입)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
3.1. 개인
3.2. 가족
3.3. 가족과 실천가의 협력
3.4. 지역사회
3.5. 가족센터
3.6. 가족지원사업
4. 시사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사회복지란 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학업적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돕는 사회복지 활동이다. 학교사회복지의 목적은 학생 개인의 복지 증진뿐만 아니라, 학교 커뮤니티와 가족, 지역사회와의 조화로운 관계 구축에도 있다. 가족 중심 사례관리(개입)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 구성원들의 의견과 참여를 존중하며, 가족이 가진 자신만의 문제해결 방식과 자원을 활용하여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관리 방법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가족 중심 개입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 및 활용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사례관리 개념
사례관리(Care management)란 전통적 사회복지의 실천이 빈약하고 파편적이라는 비판의 대안으로 부각되어 공공 뿐만아니라 민간 실천현장에서 크게 주목받으며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례관리를 명확한 개념으로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NASW(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13)에서는 사례관리를 사회복지차원에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클라이언트를 옹호하고, 서비스를 제공 및 연계하며, 모니터링 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정순둘·조지혜·신수정(2015)은 사례관리를 클라이언트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자원 및 서비스 연계를 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이라고 말했다. 또한 생태체계적 관점을 바탕으로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욕구와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생활환경 속에서 필요한 서비스 및 자원을 연계하여 사회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통합적인 접근법이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관리의 개념정의를 종합해보면 사례관리란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사회서비스 자원을 지원 및 연계하여 클라이언트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증진시키는 복지 매니지먼트라고 할 수 있다."
3. 가족 중심 사례관리(개입)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
3.1. 개인
개인자원이란 개인의 내적 세계의 가치관이나 신념, 세계관, 때로는 종교적 성향, 실존의식 등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가족 중심 사례관리(개입)에서 개인자원은 가족 전체에 대한 개입에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가족 전체를 단위로 보기보다는 대부분 문제가 있...
참고 자료
홍순혜, 조성심, 방진희, 엄경남, 안정선(2015).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현황과 방향 -대학 학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주석진(2016). 학교사회복지론. 양서원.
박정윤, 전미경, 차지영, 박연숙(2018). 서울지역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족사례관리사업 효율성 제고방안.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센터 홈페이지. http://familynet.or.kr/web/lay1/S1T296C297/contents.do
임경선(2023). 학교사회복지론. 서울: 어가.
박정윤. 2011. 위기가족의 향후전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175호.
권진숙·박지영. 2011.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김승권. 2012. 한국가족의 위기성 및 취약성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김유경 외. 2009. 한국가족의 위기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 -경제위기 이후 가족생애주기별 위기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