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자지출의 변화와 균형 GDP 및 승수
1.1. 투자지출의 변화에 따른 총지출 구조 변화
개방 경제에서 총지출은 가계와 기업, 정부와 해외 등 모든 경제 주체의 수요와 지출을 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총지출은 가계 소비(C), 기업 투자(I), 정부 지출(G), 그리고 순수출(NX)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총지출 = C + I + G + NX
따라서 기업의 투자지출이 변화하는 경우, 이는 곧 총지출의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투자지출이 기존의 10조원에서 30조원으로 20조원 증가한 경우, 이에 따른 총지출 구조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GDP 조세 가처분소득 세후소비 세후저축 투자 정부지출 수입 수출 순수출 총지출
100 20 80 95 -15 10 20 10 10 0 145
120 20 100 110 -10 20 20 10 10 0 160
140 20 120 125 -5 30 20 10 10 0 175
160 20 140 140 0 30 20 10 10 0 190
180 20 160 155 5 30 20 10 10 0 205
200 20 180 170 10 30 20 10 10 0 220
220 20 200 185 15 30 20 10 10 0 235
240 20 220 200 20 30 20 10 10 0 250
260 20 240 215 25 30 20 10 10 0 265
280 20 260 230 30 30 20 10 10 0 280
투자지출 증가에 따라 총지출이 145조원에서 280조원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방경제에서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면 이에 따른 총수요 증가로 이어져 전체적인 국민총지출이 확대되는 것을 보여준다.
1.2. 균형 GDP와 승수의 도출
1.2.1. 균형 GDP의 결정
균형 GDP는 국내총생산(GDP)과 총지출이 서로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국내총생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