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발생 및 예방 방법 설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13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말라리아 발생 및 예방 방법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말라리아 개요
1.1. 정의
1.2. 원인
1.3. 말라리아 원충의 종류
1.4. 말라리아 원충의 생활사

2. 말라리아 발생 현황
2.1. 전세계 발생현황
2.2. 국내 발생현황
2.3. 말라리아 위험지역

3. 말라리아 증상
3.1. 일반적인 증상
3.2. 말라리아 유형별 증상

4. 말라리아 진단
4.1. 진단검사 방법
4.2. 검사장비를 활용한 진단

5. 말라리아 환자관리
5.1. 환자 발생 시 조치사항
5.2. 치료 방법 및 약물

6. 말라리아 예방
6.1. 모기 예방 방법
6.2. 화학적 예방법

7. 응급처치 약물

8. 특수 상황의 치료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말라리아 개요
1.1. 정의

말라리아는 Plasmodia라 불리우는 혈액 기생충 질환으로 얼룩날개모기속 암모기에 의해서 흡혈을 통해 전염되는 질환이다. 말라리아는 전세계의 40% 100여 개 국 이상이 이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대부분 국가에서 말라리아는 계절적 양상을 가진다."


1.2. 원인

말라리아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말라리아는 Plasmodia라 불리는 혈액 기생충 질환으로, 얼룩날개모기속(Anopheles)의 암컷 모기가 인체를 흡혈하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모기에 의해 암컷 모기의 장내에서 포자소체로 발생한 말라리아 원충이 모기의 타액선으로 이동하여 사람을 물 때 혈액 내로 주입되면서 인체감염이 일어난다. 이렇게 포자소체가 혈액에 들어가 간세포와 적혈구를 공격하며 증식하면서 말라리아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둘째, 말라리아의 역학에는 종족, 성별, 연령, 면역, 지역, 기후, 온도, 습도 등의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모기의 존재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된 전파 모기인 Anopheles sinensis가 말라리아 유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말라리아는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것 외에도 수혈감염, 태반감염, 주사기 오염에 의한 감염(마약중독자)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 침입할 수 있다. 이처럼 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한 흡혈과 함께 혈액매개감염, 수직감염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는 질병이다.


1.3. 말라리아 원충의 종류

사람에 기생하여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에는 4종류가 있다"" 첫째, 열대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은 주로 아열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하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 매우 문제시되고 병원성이 가장 높아 중증말라리아로 진행될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둘째, 삼일열원충(Plasmodium vivax)은 열대열말라리아보다 증상은 심하지 않은 편이나, 지리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온대, 아열대 지방에 존재한다" 셋째, 사일열원충(Plasmodium malariae)은 열대열말라리아와 거의 비슷한 특성을 보이나 발생 빈도가 훨씬 낮다" 넷째, 난형열원충(Plasmodium ovale)은 아프리카 지역 및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지역에서만 국소적으로 분포한다" 이외에도 원숭이열원충(Plasmodium knowlesi)이 존재하는데, 이는 원숭이열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종으로 최근 사람에게서의 감염이 확인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 주로 분포한다"


1.4. 말라리아 원충의 생활사

말라리아 원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다. 말라리아는 사람에서의 생활사인 Schizogony와 모기에서의 생활사인 Sporogony로 나누어진다. 처음 모기가 사람을 물면 혈관을 따라 간으로 이동하며 간세포에서 증식을 실시하거나 휴면상태로 존재하다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혈중으로 나오게 된다. 혈중에서는 적혈구에 영양체인 윤상형에서 증식형, 분열체 과정을 거치며 분열체가 수 십 개의 분열소체를 방출하게 되면 각각의 적혈구에 들어가 같은 cycle을 반복한다. 이 중 일부가 생식모세포형태로 존재하며 모기가 이런 상태의 사람을 흡혈하였을 때 이로 인해 모기로 넘어가 증식하고 다시 모기의 증식과정을 통해 위와 침샘에 존재하다가 사람에게 넘어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말라리아는 사람과 모기 사이를 오가며 번식하는 기생충 질환이다."


2. 말라리아 발생 현황
2.1. 전세계 발생현황

전세계적으로 말라리아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WHO(1955년)에 따르면 매년 2억 5천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이 중 250만 명이 사망한다고 한다. 최근 들어 말라리아 약제에 대한 내성이 늘고, 온난화로 인해 모기가 증가하며 전세계적으로 여행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말라리아 발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말라리아는 전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거주하는 약 100여 개국 이상에서 유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계절적 양상을 보인다. 적어도 매년 3-5억의 인구가 말라리아에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매년 100-280만 명 정도가 말라리아로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열대지방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가 주요 문제이지만, 온대지방에서도 삼일열 말라리아가 널리 분포되어 있어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지역은 말라리아로 인한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세계 말라리아 환자의 약 90%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 이 중 대부분이 열대열 말라리아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지역에서도 말라리아가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숭이열 말라리아 환자 발생 사례도 보고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는 여전히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향후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2.2. 국내 발생현황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발생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토착형 말라리아는 이미 10여 년 전에 박멸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해외여행 도중 열대성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례가 1년에 10건 정도 보고돼 왔다. 그러나 1993년 경기도 북부지역의 한 군부대에서 외국 여행경력이 없는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한...


참고 자료

■ http://www.infectionKorea.org 대한감염학회

■ http://www.kodc.or.kr 한국희귀의약품센터(Korea Orphan Drug Center)

■ http://www.malaria.co.kr/home.htm 고려대학교 진단검사의학과, 해외여행자 클리닉

■ http://travelinfo.cdc.go.kr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 http://www.medcity.com 메드시티-건강의료 포털

■ 칼 짐머, 기생충 제국, 궁리출판, 2004.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2022년도 말라리아 관리지침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act=view&list_no=719416#
네이버 지식백과-말라리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590&cid=51007&categoryId=5100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