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운동장애치료 지침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파킨슨병 간호
1.1. 파킨슨병의 특성
1.2.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진단
1.2.1. 낙상의 위험
1.2.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1.3.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중재
1.3.1. 낙상 예방
1.3.2. 언어 훈련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관리
2.1. PTSD의 정의 및 병태생리
2.2. PTSD의 증상과 진단
2.3. PTSD 환자의 간호과정
2.3.1. PTSD와 관련된 외상후증후군
2.3.2. 불안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2.3.3. 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위험
2.4. PTSD 환자의 간호중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파킨슨병 간호
1.1. 파킨슨병의 특성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운동장애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이다.
파킨슨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떨림, 근육 경직, 서동 및 자세 불안정 등이다. 이러한 운동장애 증상은 도파민 분비 감소에 따른 기저핵 기능 이상에서 기인한다. 초기에는 사지 운동 장애가 주로 나타나지만, 질병이 진행되면서 언어, 연하, 자율신경계 장애 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파킨슨병 환자들은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 능력이 저하되어 움직임이 느려지고 불안정해진다. 이로 인해 자주 넘어지거나 균형을 잃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안면근육의 경직으로 인해 표정 변화가 어려워지고, 말소리가 작아지거나 비성이 증가하는 등의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를 겪게 된다.
파킨슨병은 천천히 진행되는 만성 질환이므로, 환자들은 점진적으로 기능 저하를 경험한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 수행이 점점 어려워지며, 타인의 도움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파킨슨병 환자 간호에 있어서는 운동장애, 낙상 위험, 의사소통 문제 등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1.2.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진단
1.2.1. 낙상의 위험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진단 중 "낙상의 위험"은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로, 이는 신체 기동성 장애로 인한 것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떨림, 구부정한 걸음걸이, 자세 불안정 등의 증상으로 인해 낙상의 위험성이 높다.
낙상의 위험요인에는 고령, 근골격계 기능 장애, 하지 운동성 저하, 전신 쇠약, 미끄러운 바닥, 불편한 높이의 시설이나 기구 등이 있다. 파킨슨병 환자는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쉽게 낙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병실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위험요소를 평가하고 제거하도록 한다. 둘째,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근력과 균형감을 향상시킨다. 셋째, 낙상 예방법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확인한다. 넷째, 보조기구 사용을 권장하고 사용법을 교육한다. 다섯째,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여섯째, 자세에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장치를 사용하도록 한다. 일곱째, 운동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격려한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중재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2.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파킨슨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는 안면근육 강직과 관련이 있다""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운동장애 질환이다. 특히 안면근육의 강직으로 인해 말하기, 표정 짓기, 눈맞춤 등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흔히 발음이 불분명해지며 목소리가 작아지고 단조로워지는 등 대화 능력이 저하된다"" 이는 주로 발음에 관여하는 근육의 약화와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근육의 움직임이 느리고 부정확해지면서 다른 운동과의 조화가 잘 되지 않는다"" 심각한 경우 근육이 약화되어 말하기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로 인해 파킨슨병 환자들은 대인관계와 사회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가족과 친구들과의 대화가 원활하지 않고, 타인들과의 소통에도 장벽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고립감과 소외감을 더욱 가중시키며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파킨슨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정확히 사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우선 환자가 선호하는 의사소통 수단을 파악하여 글쓰기, 몸짓 등의 대안적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순한 문장 사용, 시청각 자료 활용, 충분한 반응시간 제공 등의 전략으로 대화를 촉진시키고 좌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지속적인 언어 훈련을 통해 근육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발음과 목소리 크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한 발성연습뿐만 아니라 호흡법, 구강운동 등 다양한 방법의 언어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함...
참고 자료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Fcare.pdf 낙상예방간호 실무 지침서 요약본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http://www.khna.or.kr/homecare_new/04_nerve/parkinson05.php
최진영, & 조현숙. (2019). 팀 접근 재활프로그램이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3), 199-206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27473&CONT_SRC=HOMEPAGE&CONT_ID=4197&CONT_CLS_CD=001022002
서울대학교병원_파킨슨센터
https://www.snumdc.org/movement-disorders/parkinson-disease/language-training/
이숙 외, 정신간호총론 제 7판, 수문사, 2019
변영순 외, 기본간호학, 계축문화사, 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강미정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1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김희숙 외, 정신간호학회지 13권 2호
제 6판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현문사 Mary Ann Boyd]
서울 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7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