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계획서
1.1. 일반 현황
비건디저트카페는 대표자의 생년월일이 2023년이며, 성별은 성별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직업은 창업 유무에 따라 예비창업자로 확인됩니다. 기술분야는 제과 분야입니다. 사업비 구성계획은 정부지원금 62백만 원, 대응자금 현금 8백만 원, 대응자금 현물 16백만 원으로 총 86백만 원입니다. 주요성과는 고용 1명(대표자 제외), 매출과 수출은 해당사항이 없으며, 투자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팀 구성은 대표자 외에 매니저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 창업아이템 개요
비건디저트카페는 동물성 식품을 배제하고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는 비건 고객들을 타깃으로 하는 창업아이템이다. 이는 좋은 원료와 실측한 영양성분으로 식단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당류 최소화와 대체감미료 사용을 지양한다. 특히 성분이 좋은 빵과 식사대용으로 담백한 빵을 찾고 있는 고객들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수의 취향으로 여겨지던 비건 문화를 다수의 취향으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1.3. 문제인식(Problem)
1.3.1. 창업아이템의 개발동기
빵을 만들 때 흔히 사용하는 재료인 유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채식 재료만을 사용한 비건 디저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개발동기이다. 기존 비건 제품들이 대부분 비건 인증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라 비건 인증과 더불어 글루텐 프리 인증을 동시에 받아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수의 취향으로 알려진 비건이 다수의 취향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1.3.2. 창업아이템의 목적(필요성)
다수의 취향에 맞는 비건 디저트를 보편화하는 것이 창업아이템의 목적이다. 빵을 만들 때 흔히 사용하는 유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채식 재료만을 사용하여 글루텐프리 제품, 탄수화물 비중을 낮춘 제품을 주 디저트로 개발하고 점차 다양한 비건 디저트를 개발함으로써 고객의 선택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수의 취향으로 알려진 비건 디저트를 다수의 취향으로 인식개선하는 것이 이 창업아이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1.4. 실현가능성(Solution)
1.4.1. 창업아이템의 사업화 전략
비건디저트카페의 사업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비즈니스 모델은 비건을 하고 있는 고객층, 다이어터들, 알레르기 및 당뇨 환자들, 기타 웰빙식품을 선호하는 고객층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는 자사몰 중심의 온라인 판매채널을 구축하고 카카오메이커스 등 바이럴 마케팅에 강한 플랫폼에 입점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바이럴 마케팅과 SNS 후기 등을 통해 제품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제품 구현 정도에 있어서는 시각디자이너를 섭외하여 건강한 비건, 안전한 음식을 어필할 수 있는 제품 포장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레시피 또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완성도 높은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제작 소요기간은 2022년 9월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디저트는 직접 제작할 예정이다.
제작 방법으로는 개업 전 2개월 동안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고 수정 및 보완을 거친 후, 시장조사와 상권분석을 통해 입점 장소를 선정하고 계약을 완료하여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후 1개월 전부터 필요한 설비와 기계, 기구를 구입하고 재료를 구매하며, 광고 및 홍보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