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계항진의 기전과 특징
1.1. 심계항진의 정의
심계항진(palpitation)은 심장의 활동을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는 심장의 움직임에서 빠르거나 느리게 뛰는 감각, 강하게 뛰는 느낌 등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심박이나 리듬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환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심계항진은 과다한 운동, 긴장, 열병 등에서도 나타나지만 위험한 부정맥에 의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 깊은 감별이 요구된다.
1.2. 심계항진의 작용 기전
심계항진의 작용 기전은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심장 활동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심장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때는 느낄 수 없지만, 심계항진 시에는 심장의 활동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심박이나 리듬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Extrasystolic beat가 다음의 sinus beat를 막아 ventricular filling을 늘리고, 이로 인해 stroke volume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흉곽 안에서의 심장 움직임이 강하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환자가 우울하거나 긴장했을 때 심계항진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심리적 요인이 심장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3. 심계항진의 발생 요인
심계항진의 발생 요인은 크게 심장 요인, 내분비 및 대사 요인, 약물 및 기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심장 요인으로는 심장의 조기수축인 조기심방수축(premature atrial contraction),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방실결절 재입장 빈맥(atrioventricular nodal reentrant tachycardia),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방조동(atrial flutter),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심근허혈(myocardial ischemia), 선천성 심장병, 판막 심장병 등이 있다. 이러한 심장 질환들은 심장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심계항진을 유발할 수 있다.
내분비 및 대사 요인으로는 갑상선항진증(thyrotoxicosis), 부신경절종(pheochromocytoma), 빈혈, 저산소증, 저용량, 전해질 이상 등이 있다. 이러한 내분비 및 대사 이상은 심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심계항진을 유발할 수 있다.
약물 및 기타 요인으로는 디기탈리스, 카페인, 알코올, 교감신경흥분제 등의 약물 복용,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한 부정맥 등이 있다. 이러한 약물이나 생리적 변화 역시 심장에 영향을 미쳐 심계항진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계항진의 발생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심장 자체의 문제, 내분비 및 대사 이상,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심계항진 환자의 경우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심계항진의 원인
2.1. 심장 요인
심장 요인에 의한 심계항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불규칙한 심장박동인 부정맥은 심계항진의 가장 주된 심장 요인이다. 심방조기수축(Premature Atrial Contraction, PAC), 심실조기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유발하여 심계항진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 방실결절 재입선성 빈맥(AV nodal reentrant tachycardia), 심방세동, 심방조동 등의 상심실성 부정맥도 심계항진을 유발한다. 심실 빈맥 또한 심계항진을 초래할 수 있다."
둘째, 관상동맥 질환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도 심계항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의 비정상적인 활동을 유발하여 심계항진을 유발할 수 있다. 천생성 심질환이나 판막 질환 역시 심계항진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정형외과적 질환과 같은 비심장성 요인에 의해서도 심계항진이 유발될 수 있다. 정형외과적 문제로 인한 통증, 스트레스, 긴장 등은 교감신경계 항진을 유발하여 심계항진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계항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심전도, 심초음파, 운동부하검사 등의 임상 검사가 필수적이다.
2.2. 내분비 및 대사 요인
내분비 및 대사 요인에 의한 심계항진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내분비 질환이다. 갑상선 호르몬은 심장 근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심근 수축력을 높인다. 이로 인해 갑자기 빠른 심박동을 느끼는 심계항진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페오크로모사이토마는 부신 수질에서 과다하게 카테콜아민을 분비하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심계항진, 고혈압, 발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