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에이즈(AIDS) 바로 알기
1.1. 에이즈(AIDS) 정의
에이즈(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영어 머리글자인 AIDS를 영자로 발음한 소리이며, 우리말의 정식명칭은 후천성면역결핍증이다. '면역결핍증'은 인체 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를 파괴하여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에이즈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한 인체 내에서는 활동이 억제되어 병을 유발하지 못하던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원체로 재활하거나 새로운 균이 외부로부터 침입, 증식함으로써 발병하는 일련의 모든 증상들을 칭하는 말이다.
1.2. HIV와 AIDS의 차이
HIV와 AIDS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HIV 감염인은 HIV가 인체 내에 침투하여 자리 잡고 있지만 일정한 면역지수를 유지하여 신체상 뚜렷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만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 에이즈 환자는 HIV에 감염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면역체계가 파괴되어 에이즈 정의 질환에 속하는 각종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를 말한다. 즉, HIV 감염인은 현재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면, 에이즈 환자는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에 걸리게 되는 상태이다.
에이즈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로, 이는 후천적으로 면역기능이 결핍되는 증후군을 뜻한다. 반면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를 지칭한다. 따라서 HIV 감염은 에이즈로 발전할 수 있지만, HIV 감염 상태와 에이즈 발병 상태는 구분되어야 한다.
HIV 감염인은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지만 일정 수준의 면역 기능을 유지하고 있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HIV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면역 체계가 파괴되면 각종 기회감염과 악성 종양이 발병하게 되어 에이즈 환자로 진행된다. 즉, HIV 감염인은 에이즈로 발전할 수 있는 상태이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제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HIV 감염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
1.3. 에이즈 감염 경로
에이즈 감염 경로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감염인과의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HIV 감염인과 한 번의 성관계로 감염될 확률은 1%미만이지만, 전 세계 HIV 감염인의 80%, 국내의 경우 98%가 성관계에 의해 감염되고 있다. 둘째, 감염된 혈액의 수혈이나 감염인이 사용한 주사기의 공동 사용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셋째, 감염된 산모로부터 출생되는 신생아에게 수직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넷째, 일상적인 생활접촉, 즉 악수, 포옹, 공중목욕탕 이용, 기침, 재채기, 식사 등을 통해서는 감염되지 않는다. 이처럼 에이즈는 주로 성관계와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1.4. 에이즈 증상
에이즈(AIDS)의 증상은 감염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근육통, 피로감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이후 무증상기로 접어들면 약 8-10년 동안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 기간 동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