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요로감염 이론적근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2. 관계 문헌의 개요
1.2. 본론
1.2.1. 간호사정
1.2.1.1. 주관적 자료
1.2.1.2. 객관적 자료
1.2.2. 간호진단
1.2.3. 간호과정 적용
1.3. 세균성 급성 방광염
1.3.1. 환자 사례 소개
1.3.2. 문헌고찰
1.3.2.1. 병태생리
1.3.2.2. 원인
1.3.2.3. 증상
1.3.2.4. 진단 및 치료
1.3.2.5. 간호중재
1.4. 요로감염(UTI) 사례연구
1.4.1. 간호정보 조사
1.4.2. 간호과정 적용
1.4.2.1. 간호사정
1.4.2.2. 간호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즉 신우신염은 그 감염 원인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세균의 침범 외에도 몸에 이상이 있는지를 항상 점검해야 한다. 노인은 특히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고, 감염에 대한 관리가 취약하므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간호 문제가 된다. 이 질병을 사례연구 하여 신우신염에 대한 이론적 간호과정과 실질적으로 행해지는 간호행위에 대해 비교해보고, 행위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증상에 대한 문제해결 등 폭넓은 지식을 얻어 질적 간호를 수행하고자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1.1.2. 관계 문헌의 개요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에 대한 관계 문헌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요로감염이란 비뇨기계의 한 부분이 세균에 감염된 것을 말한다. 크게 상부요로감염과 하부요로감염으로 나뉘며, 상부요로감염에는 신우신염, 하부요로감염에는 방광염, 요도염 등이 있다. 이는 주로 소화기, 질 요도 주변에 존재하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 경로 중 요도로부터 방광으로 올라가는 상행성 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젊은 여성에게서도 해부학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없어도 잘 발생하며, 비뇨기계 관련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요로감염의 증상은 감염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상부요로감염(신우신염)의 경우 방광염 증상, 발열, 오한 등의 전신 증상, 옆구리 통증,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나며, 하부요로감염(방광염)의 경우 배뇨통, 빈뇨, 잔뇨감, 절박뇨, 야간뇨 등의 증상이 있다. 요도염의 경우 요도 분비물, 배뇨통, 요도 가려움증 등이 나타나거나 무증상일 수 있다.
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소변검사, 소변배양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이 활용된다. 소변검사를 통해 소변의 색, 양, 비중, pH 등을 확인하고 현미경 검사로 염증세포, 적혈구, 세균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소변배양검사는 원인균을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신우신염이나 재발성 요로감염의 경우 복부 초음파, 복부 CT, 배뇨 중 방광 요도조영술 등의 영상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주된 치료는 원인균에 대한 적절한 항균제 사용이다. 경험적 항균제 사용 후 배양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로 변경한다. 단순요로감염의 경우 3-7일, 복합요로감염은 7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신우신염은 신장 고름집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검사가 추가로 시행될 수 있다.
요로감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수분 섭취 증진, 피임법 선택, 면역력 증진 등이 중요하다. 방광염이 빈발하는 경우 항균제 장기 예방요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1.2. 본론
1.2.1. 간호사정
1.2.1.1. 주관적 자료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에는 "소변을 볼 때 타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화장실을 가고싶지 않아요.", "귀찮아서 소변 본 후에는 닦지 않고 그냥 나와요.", "소변에서 피가 보이는 것 같은데 괜찮은 건가요?", "골반 쪽이랑 아랫배가 아파요."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방광염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배뇨 시 작열감, 하복부 및 골반통증, 빈뇨 및 야간뇨, 혈뇨 등의 주관적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본 대상자의 경우에도 배뇨 시 통증과 불편감, 잔뇨감, 혈뇨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고 있어 급성 방광염으로 진단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1.2.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신체검진, 검사 소견, 의학적 치료 계획 등을 포함합니다.
신체검진 결과, 이 대상자는 체온이 상승되어 있고 좌하복부에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두 눈을 꼭 감은 채 찡그린 표정을 짓고 있었습니다. 또한 검사 소견으로 요검사 결과 세균이 다수 검출되었고 혈뇨 및 농뇨 소견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UTI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의학적 치료 계획으로는 경험적 항생제 투여와 더불어 요로감염의 원인균을 찾기 위한 소변 배양 검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요정체와 잔뇨 해결을 위해 필요 시 도뇨 시행이 계획되었습니다.
종합하면, 이 대상자는 UTI로 인한 고체온, 복부 통증 및 배뇨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검사 결과 세균 감염이 확인되어 항생제와 도뇨 등의 치료가 계획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세균 번식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 "감염과 관련된 배뇨곤란", "감염으로 인한 고체온", "투약과 질환에 대한 지식 부족", "급성방광염으로 인한 급성통증"이다.
세균 번식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은 대상자가 소변을 볼 때 타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고, 소변에서 혈액이 보이는 등의 주관적 증상과 급성 방광염 진단, 활력징후 상승, 소변 검사 결과 등의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개인위생 관리와 충분한 영양 섭취, 수분 섭취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감염과 관련된 배뇨곤란은 대상자가 빈뇨, 잔뇨감, 배뇨 시 작열감 등의 주관적 증상을 호소하고, 실제로 하루 10회 이상 배뇨하며 소변에서 혈액이 관찰되는 등의 객관적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배뇨 양상을 사정하고, 필요 시 인공 도뇨를 시행하는 등의 간호 ...
참고 자료
유양숙 외(2022)공저, 제 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286
유양숙 외(2022)공저, 제 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180-181
의학박사 안희경 외(2019)공저, 제 6판 인체해부학, 고문사, p322-323
배운철 외(2022)공저, 병리학, 은학사, 314p
윤숙례 외(2022)공저, 제 5판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p99, p422-423
Carolyn Jarvis(2021)저, 건강사정 8판, 학지사메디컬, p419
양선희 외(2021)공저, 제 4판 기본간호학Ⅰ,Ⅱ,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요로감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62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요로감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isease/view.do?CONT_ID=2376&CONT_SRC_ID=09a4727a8000f2e5&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요로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62 (2021.11.16.)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요로감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ntcnInfo/mediaRecsroom/wordDicary/wordDicaryView.do (2021.11.1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천식(Asthma)”,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11 (2021.11.20.)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9), p. 228-233. 256-261, 101-106
이동숙 외 편역, 「기본간호학Ⅰ」, 메디컬사이언스(2019), p. 114-126
약학정보원, “메코민캡슐, 타나민정, 치옥타시드에이취알정, 마그오 캅셀, 리바로정, 바스티난정, 플라빅스정, 자디앙정”, https://www.health.kr/, (2021.11.17.)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下」, 현문사,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C%84%B8%EA%B7%A0%EC%84%B1%20%EB%B0%A9%EA%B4%91%EC%97%BC%EC%9D%98%20%EC%95%BD%EB%AC%BC%EC%B9%98%EB%A3%8C.pdf
https://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급성 방광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6
기본간호학2, 영선희 외 공저, 현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