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경 개발과 보존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
1.1. ESG 경영의 개념
1.2. ESG 경영의 중요성
1.3. 국내 기업의 ESG 경영 사례: 삼성전자
2. 자연생태계 보호와 생태관광(교육)
2.1.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개념과 지정 현황
2.2. 창덕궁 후원의 생태적 중요성
2.3. 창덕궁 후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 인간 행동의 결정요인: 유전과 환경의 관계
3.1. 생물학적 결정론 및 유전자 결정론
3.2. 환경적 결정론
3.3. 유전과 환경의 공존 가능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
1.1. ESG 경영의 개념
ESG 경영의 개념은 기업의 의사결정과 경영활동에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와 관련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이다.
ESG는 2004년 유엔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기업가치와 기업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의 가치가 재무제표와 같은 정량적인 지표에 의해 주로 평가되었지만, 최근에는 기후변화 위기와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ESG와 같은 비재무적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다.
환경(Environment) 측면에서는 기업이 얼마나 친환경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지, 탄소 배출 감소, 기후변화 대응, 환경오염 방지, 생태계 보호 등을 평가한다. 사회(Social) 측면에서는 근로자와 소비자의 인권 보호, 다양성 고려, 개인정보 보호, 지역사회와의 상생 등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지배구조(Governance) 측면에서는 이사회의 투명성, 윤리경영, 반부패 활동 등을 평가한다.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최근의 흐름 속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기업의 ESG 실천 수준을 고려하여 제품을 선택하고 있으며, 투자자들도 기업의 ESG 성과를 중요한 투자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ESG 경영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1.2. ESG 경영의 중요성
ESG 경영이 중요해진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첫째, 동일한 산업 내에서 유사한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무한경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강화되었는데,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의 가치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가치를 함께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의 ESG 경영을 강화해야 한다.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ESG 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 예를 들어 환경을 파괴하거나 인권을 침해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외면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공유하고 확산시키기 때문에 기업은 소비자의 반응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 즉, ESG 경영은 오늘날 소비자들이 기업에 요구하는 바이기 때문에 기업이 이에 부응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둘째,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자본주의의 모순과 부작용은 대부분이 기업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시민들은 기업이 사회적 문제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양극화와 같은 문제에 대한 책임은 국가보다는 기업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기업은 자신들이 야기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
참고 자료
KDI 경제정보센터, 경제로 세상 읽기, 2021년 7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 ESG 경영
오마이뉴스, 안치용, 김유승, 이주현, 이윤진, 2022.7.10. 나이키의 두 얼굴, [ESG 세상] 아동 노동의 그림자 떨쳐낸 나이키의 변신, 그러나...
삼성전자 홈페이지; 지속가능경영
https://www.samsung.com/sec/sustainability/main/
창덕궁 후원관람, 창덕궁관리소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http://www.cdg.go.kr/cms_for_cdg/show.jsp?show_no=50&check_no=14&c_relation=26&c_relation2=88
양진영, 창덕궁 후원의 수목 현황 및 관리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창덕궁 후원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계획, 2009
생태·경관보전지역,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https://www.kbr.go.kr/content/view.do;jsessionid=oiTub6Y3BeX5ybLwhaxEhF0A3KRi2SADwHPvIUy7DQEdn1xfbejh7GuvWElbZ5jA.nsns_web_servlet_engine1?menuKey=454&contentKey=21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현황 22년 7월, 환경부
매트 리들리 저, 『본성과 양육』, 김영사, 2004년
프랭크 설로웨이 저, 『타고난 반항아』,사이언스북스, 2008년
로버트 라이트 저, 『도덕적 동물』, 사이언스북스, 2003년
리처드 도킨스 저, 『이기적인 유전자』, 두산잡지BU, 1992년
이순묵, 도경수, 한규석, 최윤경 공저, 『인간과 심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