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래디자인융합센터
1.1. 건축 개요
미래디자인융합센터의 건축 개요를 살펴보면, 건물의 공사명은 "미래디자인 융합센터"이고,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1110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의 용도는 문화 및 집회시설이며, 건축면적은 3,576.87㎡, 대지면적은 182,506㎡, 연면적은 6,311.13㎡의 규모이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조이고, 지하 1층, 지상 2층, 높이 15.02m의 규모로 지어졌다. 외부마감은 노출콘크리트와 24mm 복층유리, 내부마감은 벽 지정도장, 바닥 화이트에폭시 라이닝, 천장 질석계뿜칠로 되어 있다. 설계기간은 2012년 1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공사기간은 2013년 10월부터 2015년 2월까지였다.
1.2. 친환경 건축물이란
친환경 건축물이란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 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 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 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한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친환경 건축물은 건물 전체의 수명 주기 동안 에너지 사용, 자원 사용,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연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건축물은 에너지 절감, 자원 절약, 환경오염 저감, 실내 환경 개선 등의 측면에서 친환경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단열, 고효율 설비,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의 기술을 적용하며, 자원 절약을 위해 재활용 자재 사용, 우수 및 중수 재활용 등의 방안을 포함한다. 또한 오염물질 저감, 실내 공기질 개선,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 등을 통해 거주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이처럼 친환경 건축물은 건물 전 생애주기에 걸쳐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 시공, 운영되는 건축물로 볼 수 있다.
1.3. 선정 이유
여러 패시브 건축물들이 많지만 설비를 이용하기 이전에 건물 자체적으로 친환경적 효과를 낼 수 있는 디자인의 건축물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중에서도 미래디자인융합센터는 배치와 형태가 주변의 공원과 광장들과 연계되고 도시 한 가운데 오픈 스페이스에 자리잡아 최대한 넓게 펼쳐주는 형태로 배치되어 도시공간을 가로막지 않고 건물을 통해 공원을 계속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과 여지를 남겨두었다.
1.4. 친환경 요소
1.4.1. 우수채집
박공 형태의 창고가 나란히 기대어 있는 건물의 형태는 자연스레 Y자 형상의 구조적 모듈을 갖게 되는 입면 디자인 컨셉으로 인한 경사로 효율적인 우수채집을 가능하게 하였다. 건물 입면의 경사진 형태를 통해 빗물이 효과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수집된 우수는 건물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
1.4.2. 비드 냉각 플랜지
비드 냉각 플랜지는 물 재킷 내에서 물을 비등(沸騰)시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냉각 계통을 간결하게 할 수 있지만 장치가 복잡한 편이다.
건축물 내부로 들어온 우수는 이 비드 냉각 플랜지를 통해 냉각되어 온도가 유지된다. 또한 일부 물은 보관되어 정수 후 다른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물 사용이 절약된다. 이는 친환경 건축물의 핵심 요소로서, 에너지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