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최근 식품가공기술 및 개발동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식품분야 친환경 소재 현황
2.1.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필요성
2.2. 유니소재
3. Active packaging
3.1. 서론
3.2. Active Packaging의 필요성
3.3. 기능성 포장의 적용과 예
3.4. Active Packaging의 기술 범위 및 개발 현황
4. Smart packaging & Intelligent packaging
4.1. 서론
4.2. 지능형 포장의 적용범위
4.3. 지능형 포장의 적용 예
4.4. 미래전망
5. 생분해 포장소재
5.1. 서론
5.2. 바이오 플라스틱
5.3. 생분해 플라스틱
5.4.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5.5.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화 동향
6.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현황
7. 출처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수렵시대가 지나고 농경시대가 시작되면서부터 밀·쌀 등의 식물성 식품재료가 인류의 주식량을 이루고 있으며, 동물성 식품재료에 비해 생산 소비량이 훨씬 많아지고 있다. 비록 영양 면에 있어서는 동물성에 뒤지지만 생산성에 있어 월등하기 때문에 중요한 식량이 되고 있는 것이다. 곡류는 농산물 중에서도 가장 많이 생산되고 전분질이 주성분을 이루는 인류의 주식량으로써 유럽·미국·중국 등은 밀을, 아시아·중동 등은 쌀을, 라틴아메리카는 옥수수를 많이 이용하지만 그밖에도 보리, 호밀, 수수, 조, 메밀 등이 일부 이용되고 있다.
쌀(米, rice, Oryza sativa L.)은 고대 인도어 "사리"가 우리나라에 와서는 "쌀"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고 또 다른 주장은 쌀은 먹으면 살(肉)이 되고 사람이 살아(生)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양식이기 때문에 '살'이 '쌀'이 됐다는 견해다. 이는 그만큼 한국인이 쌀을 가장 귀중한 양식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쌀은 밀·옥수수와 함께 세계 3대 곡물 중에 하나이며, 전 세계에서는 총 인구의 40% 정도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살아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90% 이상의 쌀이 단순히 밥을 짓는데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나머지 가공품으로는 술이나 떡, 전분질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쌀의 구성성분으로는 탄수화물이 78%정도로 가장 높고 대부분이 전분으로 되어있다. 단백질은 6~7%정도로 밀보다는 함유량이 적지만 질적으로 훨씬 우수하다. 지방질은 대부분이 불포화지방산으로 쌀겨와 배아에 풍부하다. 같은 면적에서 재배할 경우 밀에 비해서 3배 이상의 인구를 부양할 수 있으나 이정도의 수확량을 얻기 위해서는 노동력 역시 3배 이상 들어간다. 우리나라 벼농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지위지 변진조》와 《삼국사기》로 기원전 1세기경으로 추정되며, 330년의 벽골제 축조 사실로 미루어 4세기경에는 남쪽으로 벼농사가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이외로 쌀의 역사가 그리 길지는 않지만 지난 1500여 년간 쌀밥 중심의 식생활을 하면서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지탱해 준 생명줄이다.
2. 식품분야 친환경 소재 현황
2.1.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필요성
식품 포장의 대표 소재인 플라스틱은 분해가 되지 않아 환경을 위협하는 주요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식품 포장은 식품을 단순히 보관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합기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난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가 폐기된 후 분해되지 않고 종국적으로 환경을 위협하는 일명 부표나 포장재 등의 '하얀 오염물질' 형태의 문제로 인해 친환경 소재가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식품업계는 ESG 경영에 초점을 맞추면서, 친환경 포장재 도입을 확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친환경 포장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요구 역시 커지고 있다. 친환경 포장으로 전환하는 방식에는 포장재 사용량 자체를 줄이거나, 포장재 소재를 변경하거나, 포장재 소재를 단일/단순화(유니소재)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쌀 소비량의 해결방안으로 여겨지고 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2. 유니소재
유니소재란 자연순환을 고려한 친환경 설계로, 재질의 수를 줄이거나 제품의 구조개선을 통해 자원관리 및 자원순환을 촉진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소재의 수를 줄이는 것은 원천소재 개발 및 기존 제품의 단일화(단순화)를 의미하고, 제품의 구조개선은 제품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해체 분리가 용이하게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제품 본래의 성능과 기능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설계, 생산, 단계부터 수거, 재활용 등을 고려해 유해물질 사용을 저감하고, 사용 후 제품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제품의 재질을 단일화하거나 단순화한 것이다. 이는 통합성, 병용성, 독창성의 특징과 녹색성장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친환경적, 지속가능성 선순환 물질흐름이 가능한 혁신적인 개념이다. 또한 포장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품을 소비자가 분리, 배출할 때 쉽게 분리하여, 각기 단일재질로 배출할 수 있게 하거나, 포장재가 재활용 공정을 저해하지 않고 포장재의 재활용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재생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3. Active packaging
3.1. 서론
제품의 보존적인 기능을 더한 포장을 기능성 포장(Active packaging)이라 표현할 수 있고, 정보전달의 기능을 더한 포장을 지능형 포장(Intelligent packaging)이라 표현할 수 있다. 소비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포장의 개념이 식품 유통과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게 되었다. 지능형 포장은 소비자까지의 유통과정에서 통신과 정보 교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능형 포장은 저장 유통 환경을 감지하고 필요한 환경조건을 유지시키는 요소를 가진다. 따라서 지능형 포장은 수송, 저장, 유통, 소매 및 소비의 과정에서 상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체크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지능형 포장은 측정된 상품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소비자나 생산자에게 미리 필요한 경고를 주거나 조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포장은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며 고품질의 식품을 전달하고 이용하게 할 것이다.
식품의 잔존 품질을 육안적으로 알려주는 시간온도적산계와 바코드체계가 현존하는 지능형 포장의 예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RFID 시스템, 선도 지시계 등이 지능형 포장의 예이다. 따라서 지능형 포장은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며 고품질의 식품을 전달하고 이용하게 할 것이다.
3.2. Active Packaging의 필요성
패시브 배리어제의 도입에 의한 플라스틱 패키징은 내용물을 보호하고, 유통기간의 연장 및 품질유지라는 점에서 과거 20-30년간에 걸쳐 소비자용 식품메이커에 공헌하여 왔다. 최근에는 저장학적 의미의 기능성 패키징 이외에는 소비자의 편리성, 품질관리의 용이성, 그리고 환경 보존의 개념이 추가되어 이들 기능과 융합된 새로운 액티브 패키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3.3. 기능성 포장의 적용과 예
기능성 포장에 대해서는 식품의 저장 및 유통 기간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포장필름이나 포장용기내에 어떤 첨가제를 넣는 포장을 말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포장 내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을 갖게 되고 능동적인 환경기체변형의 기능을 가진다.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나 선도유지제는 산소의 흡수 제거, 미생물 성장의 억제, 에틸렌 가스의 흡수, 수분 흡수, 온도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국내에서 이용되는 기능성 ...
참고 자료
1. 「식품공전」,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2002
2. 이부용, 세계의 기능성식품 개발 및 시장 현황, 식품기술, 15(1), p.69-80, 2002.3
3. 이진만 등, 약용식품으로 한약재의 이용, 식품산업과 영양, 5(1), p.50-56, 2000
4. 구흥회, 생약자원을 이용한 신제품개발 실천전략, 식품산업과 영양, 5(3),
p.14-20, 2000
5. 이상윤, 식품산업에서 생약자원의 활용과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5(3), p.21-26,
2000
6. 박종철 등, 한방생약자원의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식품산업과 영양, 5(3),
p.27-37, 2000
7. 김광중, 한의학 이론을 응용한 한방자원의 활용방안, 식품산업과 영양, 5(3),
p.38-46, 2000
8. 이영종, 한의학과 食療, 식품산업과 영양, 5(3), p.1-9, 2000
9. 황금희 등,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생물활성 천연물의 국내 연구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28(3), p.75-105, 1995
10. 하상도, 기능성식품 기술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14호, p.28-37, 2003. 여름
11. 김석현, 기능성식품 관련 특허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14호, p.81-90, 2003.
여름
12. 장경원, 기능성식품 시장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14호, p.136-144, 2003. 여름
13. 김정원, 최근 기능성식품 관련 특허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10호, p.63-71,
2002. 여름
14. 장경원, 외국 기능성식품 관련 연구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10호, p.20-24,
2002. 여름
15. 김정원, 기술-제품 연관분석에 따른 국내 식품산업기술 현황 평가, 보건산업기
술동향, 통권7호, p.22-36, 2001. 가을
16.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http://www.hfood.or.kr/
17.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식품정보센터, http://infocenter.kfri.re.kr/
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Biozine(http://biozine.kribb.re.kr)
19. 약업신문, http://www.yakup.com
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시장 동향, 유영선, 소규호, 한국식품과학회지 40(4), 2008, 365-374, 한국식품과학회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유영선, 오유성, 청정기술 21(3), 2015. 141-152, 한국청정기술학회
기능성 및 지능형 포장, 이동선, 식품산업과 영양 11(1), 2005. 34-4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Smart Food Packing, 이동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산업심포지움발표집 2005. 17-50,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식품의 선도 유지를 위한 액티브 포장 연구 고찰 기능성 방출 조절 포장 중심, 이명호, 이윤석, 식품과학과 산업 50(2), 2017. 27-36, 한국식품과학회
액티브 포장기술 연구에 대한 현황, 김재능, 이윤석, 한국포장학회지 12(1), 2006. 13-20
식품포장분야 동향 보고서, 이경미, 조영진, 관순종, 2021,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 2014, 2015, 2016)
식품수급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
농림업 주요통계, 농림부(2007)
통계로 보는 쌀이야기, 경남지방통계청(2008)
우리나라 식량안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철호 외 5명 공저(2009)
2014 주요작물 생산동향, 통계청(2014)
쌀, 농업관측센터(2015년 11월호, 12월호)
한국 쌀 수출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박정화 외 7명 공저, (2014)
농업·농촌경제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5년 겨울호)
다양한 쌀과 가공식품, 어떤 것들이 있을까?, 농촌진흥청 보도자료(2015. 10. 11.)
2015년 가공식품 소비량 및 소비행태 조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5. 11.)
농업과 ICT의 융합, 한국형 스마트 팜 확산, 농림축산식품부(2016. 1.)
쌀 가공 식품 수요 촉진을 위한 신상품 개발 전략, 식품유통연구 제27권 4호(2010.12.)
쌀 가공 식품, 식품과학과 산업(2009. 12.)
쌀 가공 식품 산업, 식품산업과 영양(2008. 12.)
쌀 가공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및 사랑채 전시회 개최, 농림축산식품부(2015.09.01.)
쌀 소비촉진 가공기술 산업화 연구, 농림수산식품부(2010)
유기쌀을 이용한 고순도의 이소말토 올리고당 시럽 제조방법, ㈜오트피아 특허(2014.09)
탈모예방 및 발모 관련 화장품 특허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3년 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미강유 생리활성물질 농축, 산업식품공학(2013.11.)
초임계 유체 미립자제형기술을 이용한 벼 도정부산물의 두발건강용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신라대학교(2014.11.)
초임계유체 공정에 의한 유효지방산이 풍부한 현미유의 추출, Korean J. Chem. Eng(1997)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식품공정, NICE(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vol. 23)(2005)
초임계 유체 기술, 경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여상도, 청문각(2013)
네이버 캐스트(navercast.naver.com)/빅데이터(Big Data)
쌀 박물관(www.rice-museum.com)
한국 쌀 가공식품협회(www.krf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