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종류의 최근 식품가공기술 및 개발동향 에 대한 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09.12
52,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 가지 종류의 최근 식품가공기술 및 개발동향 에 대한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개발이란 무엇인가
1.1. 새로운 식품 만들어내기
1.2. 기존 제품 개선하기
1.3. 식품 개발의 필요성

2. 신제품 개발 순서
2.1. 시장동향 분석
2.2. 컨셉 작성
2.3. 소비자 니즈 조사
2.4. 제품 디자인 선정
2.5. 원료 조사 및 사용 가능성 검토
2.6. 제조공정 및 비용 산출
2.7. 품목제조보고서 및 유통기한 설정

3. 약과 제품 개발
3.1. 약과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3.2. 컨셉 설정 근거
3.3. 최종 컨셉
3.4. 제품 디자인 요소
3.5. 사용 원료 및 특성
3.6. 제조공정 및 비용

4. 식품공전 기준 및 시험법
4.1. 생산 부문 지원
4.2. 관리 부문 지원
4.3. 영업 부문 지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개발이란 무엇인가
1.1. 새로운 식품 만들어내기

새로운 식품을 만들어내는 것은 식품 개발의 핵심 요소이다. 기존에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기존 제품에 새로운 성분이나 기능을 추가하여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식품 개발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소비자들의 니즈와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컨셉을 설정해야 한다. 새로운 원료와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제조공정 및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기한 등을 설정하여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는 것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반영한 혁신적인 식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1.2. 기존 제품 개선하기

약과는 전통간식으로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근래에 들어 새로운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전통적인 약과는 밀가루, 꿀, 설탕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칼로리와 당류가 높고, 주로 튀겨서 조리됨에 따라 지방 함량도 높은 편이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우려로 약과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 약과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건강에 더 부합하는 약과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먼저 밀가루를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율무분말로 대체하여 칼로리와 탄수화물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집청 과정에서 사용되는 조청, 꿀 등의 당류 함량이 높은 재료 대신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되는 알룰로스를 사용하여 당류 함량을 크게 낮출 수 있다. 기름을 사용하여 튀기는 조리 방식 대신 오븐에 굽는 방식을 적용하면 지방 함량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기존 약과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약과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건강한 전통간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선호할 수 있는 약과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1.3. 식품 개발의 필요성

식품 개발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로 인한 여성의 경제활동 및 취업률 증가, 1~2인 가구 증가,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구조 변화로 간편식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득 수준 상승, 정보화, 도시화, 식품가공기술 및 유통기술 발전, 편의성 및 간편성에 대한 요구, 외식문화 확산으로 다양한 식문화를 추구하게 되면서 HMR(Home Meal Replacement)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둘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양, 품질, 안전성, 신선도 등에서 신뢰도가 높은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식품 기업들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맛, 영양, 신선도 등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셋째, 식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제품 차별화를 위해 새로운 식품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형마트,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채널이 등장하고 제품의 종류도 더욱 많아지고 세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품 개발은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고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2. 신제품 개발 순서
2.1. 시장동향 분석

사회 동향 분석에 따르면, 인구 구조 변화, 환경 문제, 법적 규제 등 식품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먼저 인구 구조 변화를 살펴보면, 20~30대 인구가 줄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들의 소비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캐릭터 마케팅이나 신기한 콜라보 제품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2030세대가 단순히 맛있다는 이유 외에도 SNS에 공유하거나 수집욕을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식품을 구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 문제와 관련해서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친환경 종이 포장재로 대체하거나, 친환경 비닐, 에탄올 잉크, 콩기름 잉크 등을 사용하는 등 식품 분야에서도 환경을 고려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식품 분야의 HACCP 의무 적용, 표시기준 신설 등 정부의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HACCP 인증은 2024년까지 모든 과자류 제조업체에 의무화되며, '설탕 무첨가', '무가당' 등의 표시기준이 신설되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한편 비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 식물성 대체육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육류 섭취를 줄이려는 사회적 움직임을 반영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당, 저칼로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설탕 수입량은 감소하는 반면 대체 감미료인 에리스리톨의 수입량이 크게 늘어났다. 또한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식품 분야에서는 인구 구조 변화, 환경 문제, 법적 규제, 건강에 대한 관심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식품 기업들은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소비자의 needs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2. 컨셉 작성

컨셉의 작성을 위해 약과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그리고 최근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첫째, 약과는 주재료인 밀가루, 꿀, 설탕 등으로 인해 열량이 높고 당류 함량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약과는 기름에 튀겨서 제조되어 지방 함량도 높아 체중 증가의 우려가 있다. 최근 건강한 식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약과의 문제점은 소비자들이 약과를 기피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약과의 당류 함량이 높아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약과에 들어가는 주재료인 밀가루와 집청용 조청, 꿀 등이 당 함량이 높아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있는 소비자들이 섭취하기 어려운 제품이다. 이에 대해 저당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약과의 포장 방식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약과는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용기에 랩으로 싸여있는 형태로 판매되어 개별 포장이 되어있지 않아 섭취와 보관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포장재 사용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약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건강과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당류를 줄이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원료를 사용한 약과, 오븐에서 굽는 방식으로 제조한 약과, 개별 포장된 약과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동향을 바탕으로 우리는 열량과 당류를 낮추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원료를 사용하며, 편리한 개별 포장 방식을 적용한 "레몬밤 담은 율무다운 약과"를 개발하고자 한다.


2.3. 소비자 니즈 조사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약과를 구매할 때 맛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크기는 작은 약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약과의 높은 칼...


참고 자료

장성호, HMR 트렌드와 발전방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13p ~ 17p
유아름, 최윤상, 홍정선, 최희돈, 식품 가공기술과 포장기술을 활용한 가정대용식 제품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2017, 39p ~ 50p
이감용, HMR 시장의 성장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381p ~ 391p
Mertens. B. and Knorr. D. Developments of nonthermal processes for food preservation. Food Technol. 46(5): 124-127 (1992)
Vieths, S, Jankiewicz, A, and Holzhauser, T, Characterization of allergens and detection of potentially allergenic constituents in processed foods, Anal-Taschenb 20 : 3-44 (1999)
Ahvenainen, R. New approaches in improving the shelf life of minimally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Trends in Food Sci. Technol. 7 : 179-187 (1996)
Spiegelhalter F., Lauter, F.R. and Russell, J.M.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products in a commercial laboratory J.Food Sci, 66(5): 634-640 (2001)
Butler, J.E.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J. of immunoassay 21(2&3) : 165-209 (2000)
Neil, HM Annual meeting papers address minimal processing. Food Technol. 53(9) : 118-122 (1999)
Hite, B.H. The effects of pressure in the preservation of milk. Bull. 58: 15-35 (1899)
Smelt, J.P.P.M., Rijke, A.G.F. and Wouters. P.C.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by high pressure in The Properties of water pp.398-417. In: Food ISOPOW 6 conference. Reid. D. (ed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London, Weinheim, New York, Tokyo, Melbourne, Madras. (1997)
Hoover, D.G., Metrick, C.D Papneau, A.M, Farkas, D.F and Knorr, Biological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food microorganisms. J. Food Technol.43(3): 99-107(1989)
Heremans, K. High pressure effects on proteins and other biomolecules. Ann. Rev. Biophys. Bioeng. 11: 1-21(1982)
Morild, E. The Tlieory of pressure effects on enzymes. Adv. Protein Chem. 34: 93-166(1981)
Cheftel, J.C. Application des hautes pressions en technologic alimentaire. J. Actualite des Industries Alimentaires et Agro-Alimentaires. 108(3): 141-153 (1991)
Kuribayashi, T and Hayashi, R. Extraction of pectin by high pressure treatment. In: High Pressure Science for
Food. Hyashi, R. (eds.). San-Ei Pub. Co., Kyoto, Japan (1991)
Hayashi, R.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to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Philosophy and development. Eng. and Food. 2: 815-826 (1989)
Farr, D. High pressure technology in food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nol. 1: 14-16 (199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