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객담 배출법
1.1. 객담 배출법의 필요성
객담 배출법의 필요성은 객담을 자주 배출함으로써 객담이 기관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팽창부전, 무기폐, 그 밖의 폐합병증을 예방하고 객담에 의한 비효과적 호흡양상, 기관 내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으로 인한 호흡곤란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1.2. 객담의 정의
객담은 기관지나 폐로부터 생성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액체를 말한다. 가래의 주성분은 끈적끈적한 기관지 점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관지 점액은 정상적으로 기관지점막에 분포해 있는 점액선과 점막하선을 구성하는 점액선세포와 장액선세포로부터 분비된다. 가래의 점도는 기관지 점액의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더 높아진다. 즉, 가래의 점도가 높을수록 점액과 수분의 균형이 무너진 것을 의미한다."
1.3. 바른 기침법
기침을 하면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또한 담을 잘 나오지 않는 기침을 계속하게 되면 체력이 많이 소모되므로 효율적인 기침법을 몸에 익히도록 해야 한다. 기침을 할 때는 복부를 사용하여 기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복부를 이용하여 기침을 하면 객담 배출에 도움이 되며, 기침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나 선 자세로 기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른 기침법을 습득하면 객담 배출이 용이해지고, 기침으로 인한 불편감과 피로감도 감소시킬 수 있다.
1.4. 체위배출법
1.4.1. 체위배출법의 준비
체위배출법의 준비를 위해서는 먼저 기관지확장제 분무를 통해 객담의 이동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충분한 액체 섭취(삼킬 수 있는 사람에 한함)를 통해 객담의 점성도를 감소시켜 객담 배출을 도울 수 있다."
1.4.2. 체위배출법의 치료
체위배출법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먼저, 치료를 위한 폐엽을 결정한 후, 환자가 적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그리고 환자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베개를 사용한다. 자세 유지는 환자가 견딜 수 있으면 5~10분정도 유지하고, 타진과 진동을 사용하면 3~5분이면 충분하다. 트렌델렌버그 자세가 필요한 환자이면 옆을 떠나지 말고, 환자 스스로 자세를 바꿀 수 있다면 문제가 없다. 각각의 자세 이후 만약 가능하다면 깊은 호흡과 기침을 권장하며, 이때 복부를 사용해서 하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객담은 치료 후 즉시 움직이지 않으며, 객담 이동은 1시간 후에 발생할 것이다."
1.5. 타진법
1.5.1. 타진법의 준비
타진법의 준비는 다음과 같다.
PD 위치상에서 적절한 환자의 자세는 타진의 효과를 높인다.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진은 얇은 수건이나 옷 위에서 실시하는데, 이는 타진 시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타진을 실시하는 치료사와 환자의 높이를 잘 맞추어 실시해야 하는데, 이는 치료사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1.5.2. 타진법의 치료
타진법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손의 자세는 손가락을 컵 모양으로 만들고 엄지손가락을 모은다. 치료동안 손목, 팔, 어깨관절을 이완상태로 유지하면서 손의 컵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진 시 소리는 마주칠 때 가벼운소리처럼 공동 소리가 나게 해야 하며, 타진에서 홍반이 발생하면 두드림이 빠르거나 또는 손과 흉벽 사이에 공기가 충분하지 않거나 공기를 이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결과이다. 타진 속도는 분당 100~480 사이로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힘의 크기는 일정해야 하고, 과도해서는 안 된다.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정도의 적절한 힘의 양이 제공되어야 한다. 유아의 경우 손 전체를 사용하면 안 되며, 타진은 네 손가락의 컵 모양, 3개의 손가락 중 중지가 천막을 친 것 같은 형태 또는 손의 무지구와 소지구 표면을 이용한다. 타진 시 환자의 뼈 융기부, 척추뼈의 가시돌기, 어깨뼈 가시, 빗장뼈 등은 피해야 하며, 골다공증이나 응고장애 환자에게는 시행하면 안 된다.
1.6. 진동법
1.6.1. 진동법의 준비
환자는 적당한 체위 배출법 자세 또는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자세를 취한다""고 하였다. 이는 진동법을 시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체위 배출법의 자세와 동일한 자세를 취하여 진동법을 실시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 위에 얇은 수건 또는 옷 위에 실시한다"라고 하여, 진동을 위한 준비로 환자의 피부에 직접 가하지 않고 얇은 천을 통해 진동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이다.
1.6.2. 진동법의 치료
진동법의 치료는 적절한 고강도의 힘이 필요하고 객담을 뱉어내기 위해 객담이 폐 주위에서 큰 기도로 움직이도록 실시한다"" 진동은 치료사의 상지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흉벽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