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폐렴 고체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렴
1.1. 정의
1.2. 병태생리 및 분류
1.2.1. 해부학적 분류
1.2.2. 원인균에 따른 분류
1.3. 증상 및 합병증
1.3.1. 바이러스성 폐렴
1.3.2.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1.3.3. 세균성 폐렴
1.4. 진단
1.4.1. 진찰 소견
1.4.2. 진단검사
1.5. 치료 및 간호
1.5.1. 치료
1.5.2. 간호
2. 간호과정
2.1. 시나리오
2.2. 간호진단
2.2.1.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2.2. 과도한 가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렴
1.1. 정의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1.2. 병태생리 및 분류
1.2.1. 해부학적 분류
폐렴은 해부학적으로 폐의 한 엽 또는 일부가 포함된 대엽성 폐렴, 폐의 소엽을 침범하는 소엽성 폐렴, 양측폐의 전반적인 세기관지염 또는 기관지 주위염을 나타내는 간질성 폐렴, 소엽성 폐렴과 간질성 폐렴을 모두 포함하는 기관지 폐렴으로 분류된다"
1.2.2. 원인균에 따른 분류
폐렴은 원인균에 따라 바이러스성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세균성 폐렴, 흡인성 폐렴 등으로 분류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있다. 주로 2-3세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며 추운 계절에 흔히 나타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 균주 중 M.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며, 5-12세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고 가을과 겨울에 호발한다.""
세균성 폐렴은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등에 의해 발생한다. 3개월 이하 영아에게는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장내세균 등이 흔한 원인균이며, 3개월-5세 아동에게는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포도상구균이 흔하고, 5세 이후 아동에게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많이 발생한다.""
1.3. 증상 및 합병증
1.3.1.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은 바이러스가 기관지의 상피 세포에 침투하여 세기관지염을 일으키고, 폐간질과 폐포까지 퍼지면서 폐렴이 발생하는 것이다. 흔한 원인 바이러스로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arainfluenza virus, adenovirus 등이 있다. 2-3세 아동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추운 계절에 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급성 또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미열, 가벼운 기침, 권태감 등의 경증 증상과 고열, 심한 기침, 허탈감 등의 중증 증상으로 나타난다. 발병 초기에는 기침 시 분비물이 없고, 산재된 악설음과 천명이 들리는 특징이 있다. 경증의 경우 감기증상과 유사하지만 며칠 후부터 기침이 심해지고 숨을 가쁘게 쉬거나 흉부함몰이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기관지 확장증, 만성 폐섬유증 등의 만성폐질환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X선 검사상 기관지 주위를 따라 미만성 침윤이 관찰되고, 말초 백혈구 수와 적혈구 침강속도가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치료는 주로 대증요법으로 이루어지며, 산소공급, 흉부물리요법, 수액요법 등이 시행된다. 이차적인 세균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병행한다.
1.3.2.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 중에서 M.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는 폐렴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5-12세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며, 가을과 겨울에 흔히 발생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특징적인 증상은 오래 계속되는 심한 기침과 38℃ 이상의 열이다. 마이코플라즈...
참고 자료
최신 아동건강간호학1, 김영혜 외(2016), 수문사
최신 아동건강간호학2, 김영혜 외(2019),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list.nhn?cid=50871&categoryId=50871#con2
드럭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킴스 https://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totalSearch?Keyword=Hokunalin%20patch
서울아산병원 약물검색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27
타진법 https://blog.naver.com/slammm/221095128574
아동건강회복간호 (2018), 김미예 외, 수문사 (p. 27-32)
아동건강증진간호 (2018), 김미예 외, 수문사 (p. 178 / p. 365-367 / p. 457-458)
기본간호학Ⅱ (2018), 김종임 외, 수문사(p. 43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폐렴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 폐렴
질병관리청 – 예방접종 도우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18), 원종순 외, 현문사
양선희 외. (2016). 제2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윤은자 외, (2016).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영혜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정혜훈 외, 폐렴의 정의 및 분류, 1996년